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rrival point, the present study ha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Iku/Kuru(go/come)」 and 「Kata/Ota(go/come)」 used in a scene where a speaker and a listener move together from the p...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37374
한경아 (부산대학교)
2019
Japanese
「iku/kuru」 「kata/ota」 ; scene where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move together ; relationship of the speaker and the arrival point ; Japanese and Korean ; motion verbs ;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Korean ; 「iku/kuru(行く/来る)」 「kata/ota(가다/오다)」 ; 화자와 청자가 함께 이동하는 장면 ; 화자와 도착점과의 관계 ; 일본어와 한국어의 이동동사 ; 일한대조연구
KCI등재
학술저널
75-91(1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rrival point, the present study ha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Iku/Kuru(go/come)」 and 「Kata/Ota(go/come)」 used in a scene where a speaker and a listener move together from the p...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rrival point, the present study ha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Iku/Kuru(go/come)」 and 「Kata/Ota(go/come)」 used in a scene where a speaker and a listener move together from the place of utterance.
In Japanese, if the place of utterance is the starting point, both「Iku(go)」 and 「Kuru(come)」 may be used. However, if the speaker is the central figure, such as a resident or owner of the arrival point or an organizer or planner of the event held at the arrival point, 「Kuru(come)」 should be used to indicate the speaker’s connection with the arrival point. 「Kuru(come)」 does not express the movement of the moving subject, itself, but rather that the arrival point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speaker, and that such movement has occurred in regard to the speaker. Therefore, the use of 「Kuru(come)」 signifies recommendation or permission by the speaker to accept the listener in his/her a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Kata/Ota (go/come)」 relates to the physical factors such as the starting and arrival points, and thus, the movement going far from the arrival point is referred to as 「Kata(go)」 and the movement coming toward the arrival point is referred to as 「Ota(come)」.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화자와 도착점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화자와 청자가 함께 발화 장소를 이동하는 장면에서의 「iku/kuru(行く/来る)」와 「kata/ota(가다/오다)」의 양상을 실례에서 살피며 「iku/kuru(...
본고에서는 화자와 도착점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화자와 청자가 함께 발화 장소를 이동하는 장면에서의 「iku/kuru(行く/来る)」와 「kata/ota(가다/오다)」의 양상을 실례에서 살피며 「iku/kuru(行く/来る)」와 「kata/ota(가다/오다)」의 의미기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본어에서는 「iku(行く)」뿐만이 아니라 도착점과 관련이 깊은 「kuru(来る)」로 출발점에서의 화자와 청자의 이동을 나타내는 예가 수집되었다. 「iku(行く)」는 이동 주체의 이동을 중시하는 반면 「kuru(来る)」는 도착점에 대한 화자의 관련성을 중시한다. 때문에 화자가 도착점의 거주자・소유자 또는 도착점에서 행해지는 이벤트의 주최자・기획자와 같은 중심인물인 경우에는 「kuru(来る)」를 사용하여 도착점과 화자와의 관련성을 나타낸다. 즉, 「kuru(来る)」는 이동 주체의 이동 그 자체보다 도착점이 화자와 관련 깊은 장소라는 점, 그리고 그 이동이 화자와 관련되어 발생된 행위라는 것을 나타내기에 「kuru(来る)」의 사용에는 화자가 청자를 자신의 영역에 받아들이고자 하는 권유나 허가의 의미가 발생된다.
한편 한국어는 「kata(가다)」가 사용된 예만 수집되었는데 「kata/ota(가다/오다)」는 출발점과 도착점이라는 보다 물리적 요인을 중시하기에 출발점에서 멀어지는 이동은 「kata(가다)」로 나타내고 도착점에 다가오는 이동은 「ota(오다)」로 나타낸다.
참고문헌 (Reference)
1 韓京娥, "「~ていく/くる」と「-e kata/ota」に関する一考察-移動を表す用法を中心に-" 188-193, 2011
2 韓京娥, "「行く」 「来る」と「가다kata」 「오다ota」の選択要因" 306-311, 2008
3 定延利之, "「時間から空間へ?<空間的分布を表わす時間語彙>をめぐって" 東京大学出版会 183-215, 2002
4 韓京娥, "移動方向動詞と結合している「ていく/くる」と「e kata/ota」-一人称の移動を対象に-" 九州大学大学院言語文化研究院 28 : 145-156, 2012
5 韓京娥, "日本語の「~てあげる・くれる」と韓国語の「-e cwu-(~テアゲル・クレル)」の意味機能-与格と共起している文を中心に-" 2005
6 韓京娥, "日本語の「~てあげる・くれる」と韓国語の「-e cwu-(~テアゲル・クレル)」の意味機能" 2005
7 韓京娥, "日本語の「~てあげる・くれる」と韓国語の「-a/e cwuta」の意味機能" 日本語教育学会 136 : 78-87, 2008
8 澤田淳, "日本語の直示移動動詞の選択原理について-「行く/来る」の選択はどのようにして決まるのか?-" 松山大学 38 (38): 237-290, 2018
9 한경아, "日本語の「行く」「来る」と韓国語の「가다kata(行ク)」「오다ota(来ル)」 - 話し手と聞き手が一緒に移動する場面を中心に -" 한국일본학회 (108) : 49-64, 2016
10 韓京娥, "方向性を持った補助動詞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ていく/くる」 「てやる/くれる」と「e kata/ota」 「e cwuta」について-" 東京大学 2013
1 韓京娥, "「~ていく/くる」と「-e kata/ota」に関する一考察-移動を表す用法を中心に-" 188-193, 2011
2 韓京娥, "「行く」 「来る」と「가다kata」 「오다ota」の選択要因" 306-311, 2008
3 定延利之, "「時間から空間へ?<空間的分布を表わす時間語彙>をめぐって" 東京大学出版会 183-215, 2002
4 韓京娥, "移動方向動詞と結合している「ていく/くる」と「e kata/ota」-一人称の移動を対象に-" 九州大学大学院言語文化研究院 28 : 145-156, 2012
5 韓京娥, "日本語の「~てあげる・くれる」と韓国語の「-e cwu-(~テアゲル・クレル)」の意味機能-与格と共起している文を中心に-" 2005
6 韓京娥, "日本語の「~てあげる・くれる」と韓国語の「-e cwu-(~テアゲル・クレル)」の意味機能" 2005
7 韓京娥, "日本語の「~てあげる・くれる」と韓国語の「-a/e cwuta」の意味機能" 日本語教育学会 136 : 78-87, 2008
8 澤田淳, "日本語の直示移動動詞の選択原理について-「行く/来る」の選択はどのようにして決まるのか?-" 松山大学 38 (38): 237-290, 2018
9 한경아, "日本語の「行く」「来る」と韓国語の「가다kata(行ク)」「오다ota(来ル)」 - 話し手と聞き手が一緒に移動する場面を中心に -" 한국일본학회 (108) : 49-64, 2016
10 韓京娥, "方向性を持った補助動詞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ていく/くる」 「てやる/くれる」と「e kata/ota」 「e cwuta」について-" 東京大学 2013
11 한경아, "文化と日韓対照研究 -「~てくれる」文の<恩恵>と「-아/어 주다(~テクレル)」文を中心に-" 대한일어일문학회 (64) : 147-160, 2014
12 神尾昭雄, "情報のなわ張り理論" 大修館書店 1990
접경지대(Contact Zone)의 개념으로 보는 이문화 접촉의 의미 ― 조선시대 일본인 마을 왜관(倭館)에서 발생한 교간사건을 중심으로 ―
對應規則을 통한 日本漢字音 지도 방안― ㅈ・ㅊ 계열을 중심으로 ―
고빈도 동사의 콜로케이션 분석 ― 일본어 능력시험 어휘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4-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4 | 0.725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