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다이쇼(大正)시대의 작가 아리시마 다케오 작품에서 보이는 외래어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아리시마다케오 작품에는 다양한 외래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특히 외래어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37370
2019
Japanese
KCI등재
학술저널
21-36(1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다이쇼(大正)시대의 작가 아리시마 다케오 작품에서 보이는 외래어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아리시마다케오 작품에는 다양한 외래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특히 외래어의 ...
본고는 다이쇼(大正)시대의 작가 아리시마 다케오 작품에서 보이는 외래어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아리시마다케오 작품에는 다양한 외래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특히 외래어의 어휘적 특징 및 표기방법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아리시마연구는 물론 당시의 외래어사용실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큰 의의를 가진다.
본고에서는 쇼분카쿠(叢文閣)에서 발간된 『有島武郎全集』 제1권부터 제7권까지를 대상으로 식(食)관련 어휘를 추출하고 이를 ‘야채 및 과일’ ‘요리’ ‘과자’ ‘음료’ ‘식(食)관련 도구’ ‘기타’의 6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었으며, 유입시기, 유입언어별로 분석하였고 아리시마다케오가 실제로 사용한 외래어표기의 혼용(ゆれ)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각 카테고리에서 출현작품수가 많은 단어의 경우 특징작품과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아리시마다케오가 빈번하게 사용했던 외래어라고 할 수 있다.
외래어의 유입배경과도 관련해서 영어가 원어인 단어, 메이지(明治)시대에 유입된 단어가 가장 많이 보였으나, 그 외로는 네덜란드어가 원어인 단어 및 에도(江戸)시대에 유입된 단어가 다수 보였다. 또한 대상 단어를 출현 작품수 및 총 출현수를 기준으로 하여 아리시마가 빈번하게 사용한 단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has examined the loanwords that appeared in the works of Arishima Takeo among the authors who were active during the Taisho(大正) period. Various loanwords were used by Arishima Takeo, and specifically, we focused on the lexical ch...
The current study has examined the loanwords that appeared in the works of Arishima Takeo among the authors who were active during the Taisho(大正) period. Various loanwords were used by Arishima Takeo, and specifically, we focused on the lexical characteristics and notation of those loanwords. The significance of our study is not only just examination of Arishima’s works but also determination of the status of the then usage of different loanwords.
First, all diet-related words were extracted from Takeo Arishima’s Book No. 1 to No. 7 published by Shofun Kaku. Next, those words were divided into 6 categories - ‘vegetables and fruits’, ‘cooking’, ‘confectioneries’, ‘beverages’, ‘food-related appliances’, and ‘others.’ They were analyzed in regard to entry time and original language. The combined use (ゆれ) of loanword notation used by Arishima Takeo was also examined.
If a loanword was derived from several works of Arishima according to the above categories, it was inferred as widely used instead of any specific work’s usage. Such words were regarded as ‘frequently used’by Arishima Takeo.
In connection with the loanword entry background, the loanwords from English and the loanwords entered during the Meiji period constituted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loanwords from Dutch and loanwords entered during the Edo period. Furthermore, based on the number of works with the appearance of the target words and on the total number of appearance of the target words, the words that were frequently used by Arishima were identified.
참고문헌 (Reference)
1 カタジーナ, "近代日本の食文化における「西洋」の受容" 日本調理科学会 28 (28): 76-81, 1995
2 湯浅英男, "谷崎潤一郎の卍(マンジ) における文体的特徴について(二) : 「大阪語」の中のオノマトペと外来語" 神戸大学国際文化学部 96 : 37-80, 2006
3 杉本雅子, "森鴎外「雁」における外来語--使用実態と特徴" 全国大学国語国文学会 176 : 26-38, 2003
4 杉本雅子, "森鴎外の外来語研究 : 小説51作品を対象に" 国際基督教大学 2004
5 "有島武郎全集 第7巻" 叢文閣 1925
6 "有島武郎全集 第6巻" 叢文閣 1924
7 "有島武郎全集 第5巻" 叢文閣 1924
8 "有島武郎全集 第4巻" 叢文閣 1924
9 "有島武郎全集 第3巻" 叢文閣 1924
10 "有島武郎全集 第2巻" 叢文閣 1924
1 カタジーナ, "近代日本の食文化における「西洋」の受容" 日本調理科学会 28 (28): 76-81, 1995
2 湯浅英男, "谷崎潤一郎の卍(マンジ) における文体的特徴について(二) : 「大阪語」の中のオノマトペと外来語" 神戸大学国際文化学部 96 : 37-80, 2006
3 杉本雅子, "森鴎外「雁」における外来語--使用実態と特徴" 全国大学国語国文学会 176 : 26-38, 2003
4 杉本雅子, "森鴎外の外来語研究 : 小説51作品を対象に" 国際基督教大学 2004
5 "有島武郎全集 第7巻" 叢文閣 1925
6 "有島武郎全集 第6巻" 叢文閣 1924
7 "有島武郎全集 第5巻" 叢文閣 1924
8 "有島武郎全集 第4巻" 叢文閣 1924
9 "有島武郎全集 第3巻" 叢文閣 1924
10 "有島武郎全集 第2巻" 叢文閣 1924
11 "有島武郎全集 第1巻" 叢文閣 1924
12 星野裕子, "月刊 食道楽 における外来語の機能─明治末期と昭和初期に刊行されたグルメ雑誌を資料にして─" 十文字学園女子大学 47 : 91-104, 2017
13 鈴木俊二, "日本文学作品のなかの外来語" 国際短期大学 9 : 23-52, 1994
14 南直人, "日本における西洋の食文化導入の歴史" 大阪国際大学 18 (18): 89-100, 2004
15 今井美樹, "料理雑誌からみた明治後期の食情報─月刊 食道楽 と庖丁監梅 を中心に─" 日本調理科学会 35 (35): 196-208, 2002
16 石田美代子, "大阪府立工業高等専門学校研究紀要 第3巻" 大阪府立工業高等専門学校 1-8, 1969
17 "コンサイスカタカナ語辞典" 三省堂 2010
접경지대(Contact Zone)의 개념으로 보는 이문화 접촉의 의미 ― 조선시대 일본인 마을 왜관(倭館)에서 발생한 교간사건을 중심으로 ―
對應規則을 통한 日本漢字音 지도 방안― ㅈ・ㅊ 계열을 중심으로 ―
고빈도 동사의 콜로케이션 분석 ― 일본어 능력시험 어휘를 중심으로 ―
宮内庁書陵部蔵 『春秋経伝集解』 鎌倉中期点의 蟹攝 反切下字에 대하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4-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4 | 0.725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