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요인으로 분석한 한류산업의 형성과 발전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Wave" Industries According to the Influx ofJapanese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84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경제발전구조는 제조업중심의 수출주도형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고부가가치 지향형 중화학공업 내지 개방형 자본-기술집약적 산업형태로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식민지 지배를 받...

      우리나라 경제발전구조는 제조업중심의 수출주도형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고부가가치 지향형 중화학공업 내지 개방형 자본-기술집약적 산업형태로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식민지 지배를 받은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첨단기술 집약형 산업구조를 갖게 된 한국경제는 21세기에 이르러 제3차 초부가가치형 서비스산업으로의 진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서비스 산업중에서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IT산업과 더불어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가 국가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콘텐츠 산업은 한국경제의 기본이 되는 철강 산업 부문을 능가하고 있으며, 예상 밖의 이러한 한류산업의 형성은 직접적인 효과 이상의 시너지(파급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새로운 연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아시아문화의 유입에 폐쇄적인 경향이 보이던 일본이 어떻게 한류산업을 꽃피우게 되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함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본이 외래문화, 특히 한류문화를 유입하게 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민족문화상품론, 경쟁우위론, 대체적 서브컬처론, 퇴줄-항의 이론에서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콘텐츠산업은 타국에게 자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하여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일본의 외래문화 도입형태를 영국이나 필리핀과 같은 다른 섬나라 국가와 구분하여, 일본인 내지 일본문화의 독자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근-현대사적 역사에서 볼 때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은 구미 중심이었지만, 오늘날 일본은 아시아 문화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외래문화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셋째, 일본의 콘텐츠산업의 발전현황을 케릭터나 애니메이션, 영화, 만화등 다양한 장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한국의 콘텐츠산업이 발전하게된 동기와 현황등을 소개하고, 한류산업이 성공하게된 요인을 서술하였다. 특히, 한국드라마인 경우에는 퇴출과 항의 이론에 근거한 분석을 시도했다. 마지막으로, 한류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함과 더불어, 일본에서의 한류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금후의 전망등을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 the motive of importing Korean wave in terms of the theories of national cultural good, competitive superiority, alternative subculture and exit-protest as we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a huge influence on making a foreign co...

      This paper present the motive of importing Korean wave in terms of the theories of national cultural good, competitive superiority, alternative subculture and exit-protest as we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a huge influence on making a foreign country introduce the products of another country.
      Secondly, this paper explains the Japanese form of introducing foreign culture. Formerly, Japan concentrates on introducing Western culture, however, today Japan is actively introducing other Asian culture and is making then the foreign culture in Japan more multi-national.
      Thirdly, this paper surveys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es that deals with animation and movie characters.
      Fourthly, this paper introduces the rise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nd discusses the factors which have led to its success. Also, the Korean drama industry is analyzed in terms of exit-protest theory.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vision of the Korean wave industry and discusses both i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경제발전구조는 제조업중심의 수출주도형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고부가가치 지향형 중화학공업 내지 개방형 자본-기술집약적 산업형태로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식민지 지배를 받...

      우리나라 경제발전구조는 제조업중심의 수출주도형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고부가가치 지향형 중화학공업 내지 개방형 자본-기술집약적 산업형태로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식민지 지배를 받은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첨단기술 집약형 산업구조를 갖게 된 한국경제는 21세기에 이르러 제3차 초부가가치형 서비스산업으로의 진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서비스 산업중에서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IT산업과 더불어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가 국가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콘텐츠 산업은 한국경제의 기본이 되는 철강 산업 부문을 능가하고 있으며, 예상 밖의 이러한 한류산업의 형성은 직접적인 효과 이상의 시너지(파급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새로운 연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아시아문화의 유입에 폐쇄적인 경향이 보이던 일본이 어떻게 한류산업을 꽃피우게 되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함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본이 외래문화, 특히 한류문화를 유입하게 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민족문화상품론, 경쟁우위론, 대체적 서브컬처론, 퇴줄-항의 이론에서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콘텐츠산업은 타국에게 자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하여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일본의 외래문화 도입형태를 영국이나 필리핀과 같은 다른 섬나라 국가와 구분하여, 일본인 내지 일본문화의 독자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근-현대사적 역사에서 볼 때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은 구미 중심이었지만, 오늘날 일본은 아시아 문화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외래문화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셋째, 일본의 콘텐츠산업의 발전현황을 케릭터나 애니메이션, 영화, 만화등 다양한 장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한국의 콘텐츠산업이 발전하게된 동기와 현황등을 소개하고, 한류산업이 성공하게된 요인을 서술하였다. 특히, 한국드라마인 경우에는 퇴출과 항의 이론에 근거한 분석을 시도했다. 마지막으로, 한류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함과 더불어, 일본에서의 한류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금후의 전망등을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 the motive of importing Korean wave in terms of the theories of national cultural good, competitive superiority, alternative subculture and exit-protest as we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a huge influence on making a foreign co...

      This paper present the motive of importing Korean wave in terms of the theories of national cultural good, competitive superiority, alternative subculture and exit-protest as we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a huge influence on making a foreign country introduce the products of another country.
      Secondly, this paper explains the Japanese form of introducing foreign culture. Formerly, Japan concentrates on introducing Western culture, however, today Japan is actively introducing other Asian culture and is making then the foreign culture in Japan more multi-national.
      Thirdly, this paper surveys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es that deals with animation and movie characters.
      Fourthly, this paper introduces the rise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nd discusses the factors which have led to its success. Also, the Korean drama industry is analyzed in terms of exit-protest theory.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vision of the Korean wave industry and discusses both i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이론적 접근과 파급 형태
      • III. 일본의 외래문화 도입과 문화형성
      • IV. 일본의 콘텐츠 산업의 위치
      • V. 한국의 콘텐츠 산업의 현황
      • I. 서론
      • II. 이론적 접근과 파급 형태
      • III. 일본의 외래문화 도입과 문화형성
      • IV. 일본의 콘텐츠 산업의 위치
      • V. 한국의 콘텐츠 산업의 현황
      • VI. 일본에서의 한류산업 형성
      • VII.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어령, "한류의 시작과 끝은 어디인가" 549 : 2005

      2 イヤンジン, "韓流社會學" 岩波新書 2008

      3 日経ビジネス, "韓流企業家が目指す街ー聖地に宿る熱源"

      4 손대현, "韓國 엔터테인먼트産業의 잠재력 評價와 展望: 韓流理論의 모색"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7 (17): 231-248, 2005

      5 三橋貴明, "韓国人がタブーにする韓国経済の真実" PHP研究所 2011

      6 李元範, "越境する日韓宗教文化" 北海道大学出版会 2011

      7 三浦隆之譯, "組織社会の理論構造" メネルヴァ書房 1975

      8 "桑原政則"

      9 日経トレンディ, "日本の何でも韓国化ー化粧品,”“日経トレンディ"

      10 若杉大, "捏造剽窃なりすましで嗤われる韓国" オークラ出版 2012

      1 이어령, "한류의 시작과 끝은 어디인가" 549 : 2005

      2 イヤンジン, "韓流社會學" 岩波新書 2008

      3 日経ビジネス, "韓流企業家が目指す街ー聖地に宿る熱源"

      4 손대현, "韓國 엔터테인먼트産業의 잠재력 評價와 展望: 韓流理論의 모색"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7 (17): 231-248, 2005

      5 三橋貴明, "韓国人がタブーにする韓国経済の真実" PHP研究所 2011

      6 李元範, "越境する日韓宗教文化" 北海道大学出版会 2011

      7 三浦隆之譯, "組織社会の理論構造" メネルヴァ書房 1975

      8 "桑原政則"

      9 日経トレンディ, "日本の何でも韓国化ー化粧品,”“日経トレンディ"

      10 若杉大, "捏造剽窃なりすましで嗤われる韓国" オークラ出版 2012

      11 小滝透, "反日嫌韓の謎88" 飛鳥新社 2009

      12 新宅純朗, "何が韓流ドラマの興隆をもたらしたのか" グローバルビジネスリサーチセンター 5 (5): 94-99, 2006

      13 大田修, "マンガ嫌韓流のここがデタラメ" モンズ出版 2006

      14 デジタルコンテンツ協会,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市場規模とコンテンツ産業の構造変化に関する調査研究" デジタルコンテンツ協会 2007

      15 ジョセフ・S・ナイ, "スフト・パワー" 日本経済新聞社 2004

      16 経済産業省商務情報政策局, "コンテンツ産業의 国際展開と波及効果"

      17 経済産業省商務情報政策局, "コンテンツ産業の現状と今後の発展の方向性"

      18 知的財産戦略本部 コンテンツ専門調査会, "わが国のコンテンツビジネスの飛躍的拡大に向けて 現状編" コンテンツビジネスの世界市場. 知的財産戦略本部 2003

      19 김영민, "http://gqjapan.jp"

      20 城山英巳, "YUIライブ上海熱狂" 株式会社 ウェッジ 2011

      21 Hirschman, A. O., "Voice, and Loyalty: Responses to Decline in Firms, Organizations, and Stat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

      22 城山英巳, "POP輸出を国家戦略に" 株式会社 ウェッジ 2011

      23 문화관광부, "2010년 콘텐츠산업 백서" 문화관광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