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일엽(金一葉)의 출가 과정과 불교시변모 양상 = The Process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of Kim IL-yeop and hanged Aspect of Buddhist Poe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IL-yeop(1896~1971), a Zen priest and a bas bleu in the early stages of modern times became a Buddhist priest in Sudeoksa. She wrote intensive poetic work related to Buddhism before and after this time. As a Buddhist priest, Kim, IL-yeop’s life and work are sometimes studied, but the specialized study on the Buddhism Poem is still in an unexplored state.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Buddhism and the process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of Kim IL-yeop and to consider the aspect of change of Buddhism Poem written at this time.
      In 1928, Kim IL-yeop entered the Buddhism on the occasion of meeting Muho, Baek, Seong-uk, a married Buddhist priest, Educator and politician and is influenced a lot to enter the Buddhist priesthood. After breaking up with Baek, Seong-uk in 1929, she started to learn the Buddhist scriptures from Buddhist priest, Gwan, Sang-no in Gakhwangsa. She deeply fell into the Buddhist scriptures since the fall of 1931 and declared herself to be a Buddhist in 1932. Kim IL-yeop tried to have both Buddhism and love in the early stages, but she told the vain desires of human being and sever over it from this period. She also explained transience of secular desire by writing novels and essays and showed Buddhist view that should go the way of spiritual enlightenment to get away from a delusion and anguish.
      Kim IL-yeop released the total of 35 poems from 1928 to 1933, before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and 17 poems of them are based on Buddhism or are tinged with Buddhism.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works, it was found that Buddhism of poem was transformed in three types as follows; ① from ‘Nim’(my precious lover) of secular existence to ”Nim“ (my precious lover) of transcendental existence ② Self-consciousness of the true nature of self-reflection ③ The song of seeking the truth before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That is to say,‘Nim’(my lover) which represented as the object of secular love in 1928 was transfigured as a symbol of “Buddha”, an absolute existence from 1931. This carving of religion about ‘Nim’(my precious lover) represents to seek the true nature of self-reflection that is real aspect of myself. In 1933, the year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she expressed to sincerely hold of religious beliefs by borrowing form of prose poem and to vow to cut off the anguish and save all people by song of seeking the truth. Currently, over 20 Buddhist poems of Kim IL-yeop are left, after entering Buddhist priesthood, and the study about it shall be handed over the next task.
      번역하기

      Kim IL-yeop(1896~1971), a Zen priest and a bas bleu in the early stages of modern times became a Buddhist priest in Sudeoksa. She wrote intensive poetic work related to Buddhism before and after this time. As a Buddhist priest, Kim, IL-yeop’s life ...

      Kim IL-yeop(1896~1971), a Zen priest and a bas bleu in the early stages of modern times became a Buddhist priest in Sudeoksa. She wrote intensive poetic work related to Buddhism before and after this time. As a Buddhist priest, Kim, IL-yeop’s life and work are sometimes studied, but the specialized study on the Buddhism Poem is still in an unexplored state.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Buddhism and the process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of Kim IL-yeop and to consider the aspect of change of Buddhism Poem written at this time.
      In 1928, Kim IL-yeop entered the Buddhism on the occasion of meeting Muho, Baek, Seong-uk, a married Buddhist priest, Educator and politician and is influenced a lot to enter the Buddhist priesthood. After breaking up with Baek, Seong-uk in 1929, she started to learn the Buddhist scriptures from Buddhist priest, Gwan, Sang-no in Gakhwangsa. She deeply fell into the Buddhist scriptures since the fall of 1931 and declared herself to be a Buddhist in 1932. Kim IL-yeop tried to have both Buddhism and love in the early stages, but she told the vain desires of human being and sever over it from this period. She also explained transience of secular desire by writing novels and essays and showed Buddhist view that should go the way of spiritual enlightenment to get away from a delusion and anguish.
      Kim IL-yeop released the total of 35 poems from 1928 to 1933, before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and 17 poems of them are based on Buddhism or are tinged with Buddhism.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works, it was found that Buddhism of poem was transformed in three types as follows; ① from ‘Nim’(my precious lover) of secular existence to ”Nim“ (my precious lover) of transcendental existence ② Self-consciousness of the true nature of self-reflection ③ The song of seeking the truth before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That is to say,‘Nim’(my lover) which represented as the object of secular love in 1928 was transfigured as a symbol of “Buddha”, an absolute existence from 1931. This carving of religion about ‘Nim’(my precious lover) represents to seek the true nature of self-reflection that is real aspect of myself. In 1933, the year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she expressed to sincerely hold of religious beliefs by borrowing form of prose poem and to vow to cut off the anguish and save all people by song of seeking the truth. Currently, over 20 Buddhist poems of Kim IL-yeop are left, after entering Buddhist priesthood, and the study about it shall be handed over the next tas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 초창기 여류 문인이자 선승(禪僧)인 김일엽(1896~1971)은 1933년 수덕사로 출가했으며, 이 시기를 전후하여 불교와 관련된 시 작품을 집중적으로 쓰고 있다. 승려로서 김일엽의 삶과 작품은 간헐적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불교시에 대한 전문적 연구는 아직 미답의 상태에 놓여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김일엽의 출가 과정과 불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한편, 이 시기에 창작된 불교시의 변모 양상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김일엽은 1928년 재가승(在家僧)이자 교육가, 정치가였던 무호(無號) 백성욱(白性郁)과의 만남을 계기로 불교에 입문하게 되며 출가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받았다. 1929년 백성욱과 헤어진 이후 각황사에서 승려 권상노(權相老)로부터 불경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1931년 가을부터 불교 교리에 깊이 빠져들면서 1932년에는 스스로 불교 신도임을 공표하고 있다. 초기에 불법과 사랑을 모두 가지려고 했던 김일엽은 이 시기부터 인간의 덧없는 욕망과 이에 대한 단절을 이야기한다. 소설과 수필을 통해 세속적 욕망의 무상(無常)함을 설(說)하며, 이러한 번뇌와 미망(未忘)에서 벗어나기 위해 깨달음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는 불교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1928년부터 1933년 출가하기 전까지 김일엽이 발표한 시는 총 35편에 달하며, 이 중에서 불교를 소재로 하거나 불교적 색채를 띠고 있는 시는 17편 정도이다. 이 작품들을 분석한 결과 ① 세속적 ‘님’에서 초월적 ‘님’으로 ② 자성(自性)의 실체에 대한 자각 ③ 출가를 앞둔 구도의 노래 등 3가지 유형으로 불교시의 양상이 변모해 감을 알 수 있었다. 즉 1928년 시에서 세속적 사랑의 대상으로 나타났던 ‘님’은 1932년부터는 ‘부처’라는 절대적 존재를 상징하게 되며, 이러한 님에 대한 종교적 갈구는 나의 본(本)면목인 자성의 실체를 찾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출가하던 해인 1933년에는 산문시 형식을 빌려 넘쳐흐르는 종교적 신념을 표출하면서, 일체 번뇌를 끊고 중생들을 구제하겠다는 서원을 구도의 노래로 담아내고 있다.
      출가 후 김일엽의 불교시는 현재 20여 편이 남아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다음 과제로 넘기기로 한다.
      번역하기

      근대 초창기 여류 문인이자 선승(禪僧)인 김일엽(1896~1971)은 1933년 수덕사로 출가했으며, 이 시기를 전후하여 불교와 관련된 시 작품을 집중적으로 쓰고 있다. 승려로서 김일엽의 삶과 작품은...

      근대 초창기 여류 문인이자 선승(禪僧)인 김일엽(1896~1971)은 1933년 수덕사로 출가했으며, 이 시기를 전후하여 불교와 관련된 시 작품을 집중적으로 쓰고 있다. 승려로서 김일엽의 삶과 작품은 간헐적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불교시에 대한 전문적 연구는 아직 미답의 상태에 놓여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김일엽의 출가 과정과 불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한편, 이 시기에 창작된 불교시의 변모 양상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김일엽은 1928년 재가승(在家僧)이자 교육가, 정치가였던 무호(無號) 백성욱(白性郁)과의 만남을 계기로 불교에 입문하게 되며 출가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받았다. 1929년 백성욱과 헤어진 이후 각황사에서 승려 권상노(權相老)로부터 불경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1931년 가을부터 불교 교리에 깊이 빠져들면서 1932년에는 스스로 불교 신도임을 공표하고 있다. 초기에 불법과 사랑을 모두 가지려고 했던 김일엽은 이 시기부터 인간의 덧없는 욕망과 이에 대한 단절을 이야기한다. 소설과 수필을 통해 세속적 욕망의 무상(無常)함을 설(說)하며, 이러한 번뇌와 미망(未忘)에서 벗어나기 위해 깨달음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는 불교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1928년부터 1933년 출가하기 전까지 김일엽이 발표한 시는 총 35편에 달하며, 이 중에서 불교를 소재로 하거나 불교적 색채를 띠고 있는 시는 17편 정도이다. 이 작품들을 분석한 결과 ① 세속적 ‘님’에서 초월적 ‘님’으로 ② 자성(自性)의 실체에 대한 자각 ③ 출가를 앞둔 구도의 노래 등 3가지 유형으로 불교시의 양상이 변모해 감을 알 수 있었다. 즉 1928년 시에서 세속적 사랑의 대상으로 나타났던 ‘님’은 1932년부터는 ‘부처’라는 절대적 존재를 상징하게 되며, 이러한 님에 대한 종교적 갈구는 나의 본(本)면목인 자성의 실체를 찾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출가하던 해인 1933년에는 산문시 형식을 빌려 넘쳐흐르는 종교적 신념을 표출하면서, 일체 번뇌를 끊고 중생들을 구제하겠다는 서원을 구도의 노래로 담아내고 있다.
      출가 후 김일엽의 불교시는 현재 20여 편이 남아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다음 과제로 넘기기로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일엽, "女信徒로써의 新年感想" (91) : 1932

      2 송정란, "金一葉의 불교시 고찰을 위한 敍說" 한국사상문화학회 (75) : 61-85, 2014

      3 김일엽, "파랑새로 化한 두 靑春" 불교사 (55) : 1929

      4 김일엽, "청춘을 불사르고" 중앙출판공사 1994

      5 수덕사 환희대, "일엽선문 ―김일엽 선사 문집" 문화사랑 2001

      6 "삼천리"

      7 "불교" 불교사 1928

      8 김일엽 선사 기념문집간행위원회, "미래세가 다하고 남도록 상권" 인물연구소 1974

      9 김일엽, "또 한해를 보내고" (103) : 1933

      10 김일엽, "당신은 나에게 무엇이 되었삽기에" 문화사랑 1997

      1 김일엽, "女信徒로써의 新年感想" (91) : 1932

      2 송정란, "金一葉의 불교시 고찰을 위한 敍說" 한국사상문화학회 (75) : 61-85, 2014

      3 김일엽, "파랑새로 化한 두 靑春" 불교사 (55) : 1929

      4 김일엽, "청춘을 불사르고" 중앙출판공사 1994

      5 수덕사 환희대, "일엽선문 ―김일엽 선사 문집" 문화사랑 2001

      6 "삼천리"

      7 "불교" 불교사 1928

      8 김일엽 선사 기념문집간행위원회, "미래세가 다하고 남도록 상권" 인물연구소 1974

      9 김일엽, "또 한해를 보내고" (103) : 1933

      10 김일엽, "당신은 나에게 무엇이 되었삽기에" 문화사랑 1997

      11 김일엽, "당신은 나에게 무엇이 되었삽기에" 인물연구소 1975

      12 "개벽 신간 제3호"

      13 김일엽, "愛慾이 나흔 悲劇" (95) : 1932

      14 김일엽, "愛慾을 避하야" 4 (4): 1932

      15 김일엽, "佛門投足 二週年에" 불교사 (68) : 19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