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서양의 觀客參與 비교연구: 마당과 판, 그리고 무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audience participation of Korea and the Western : Based on Madang or Pan, and St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09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culture has developed on the Madang, while the Western culture on the stage. Madang is the open space where the actual lives are proceeding. It is also the spot for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In contrast, the western stage is the closed space that separates the performers and the audiences. 'Pan' is the space and the spot where some kind of play or art is performed. It's not the western stage not to allow the audience to take part in, but the open space to permit the spectators' partaking. It's different from the western in that the audience is not appreciating the performance but can comprise it from scratch. The audiences can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the actors and with each other in most of Korean performances. However, the western audience should keep quiet in the performance of the symphony orchestra and the like. The western performance culture is listening-centered and passive, but that of Korean is participation-centered and active.
      This kind of the voluntary audience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singing together' and is originated from Korean 'Sun-Hu-Chang' folk songs and Pansori. In spite of this tradition, 'Singing Together' like Sun-Hu-Chang has decreased because of the change of the performing conditions. Even though the westernized performing conditions moved 'Pan' or 'Madang' into the stage, and changed the voluntary audiences into the silent guests, the inherited memory of Sinmyeong is trying to take back the function of the voluntary audiences and Koreans are getting excited at the opportunities of participation performance programme.
      We Korean traditionally have not separated the stage for actors from the seats for the audience. Once the audience take part in Madang, they can be performers themselves and the essential part of the performance. Furthermore, they may experience Sinmyeong which is not only the emotion related with art but also the sentiment supporting Koreans actual lives. If you thoroughly understand Sinmyeong, you can also comprehend the traits of Korean. 'Pan' or 'Madang' can never be made by a person, and Sinmyeong can be more enjoyable when it's shared. The voluntary audienc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rformance culture, may be a self-portray enjoying on our community culture 'Pan' with community bond 'Sinmyeong'.
      번역하기

      Korean culture has developed on the Madang, while the Western culture on the stage. Madang is the open space where the actual lives are proceeding. It is also the spot for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In contrast, the western stage is the closed spa...

      Korean culture has developed on the Madang, while the Western culture on the stage. Madang is the open space where the actual lives are proceeding. It is also the spot for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In contrast, the western stage is the closed space that separates the performers and the audiences. 'Pan' is the space and the spot where some kind of play or art is performed. It's not the western stage not to allow the audience to take part in, but the open space to permit the spectators' partaking. It's different from the western in that the audience is not appreciating the performance but can comprise it from scratch. The audiences can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the actors and with each other in most of Korean performances. However, the western audience should keep quiet in the performance of the symphony orchestra and the like. The western performance culture is listening-centered and passive, but that of Korean is participation-centered and active.
      This kind of the voluntary audience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singing together' and is originated from Korean 'Sun-Hu-Chang' folk songs and Pansori. In spite of this tradition, 'Singing Together' like Sun-Hu-Chang has decreased because of the change of the performing conditions. Even though the westernized performing conditions moved 'Pan' or 'Madang' into the stage, and changed the voluntary audiences into the silent guests, the inherited memory of Sinmyeong is trying to take back the function of the voluntary audiences and Koreans are getting excited at the opportunities of participation performance programme.
      We Korean traditionally have not separated the stage for actors from the seats for the audience. Once the audience take part in Madang, they can be performers themselves and the essential part of the performance. Furthermore, they may experience Sinmyeong which is not only the emotion related with art but also the sentiment supporting Koreans actual lives. If you thoroughly understand Sinmyeong, you can also comprehend the traits of Korean. 'Pan' or 'Madang' can never be made by a person, and Sinmyeong can be more enjoyable when it's shared. The voluntary audienc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rformance culture, may be a self-portray enjoying on our community culture 'Pan' with community bond 'Sinmyeo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양의 문화가 무대에서 발전해 왔다면 우리 문화는 마당에서 발전해 왔다. 마당은 공동이 소유하는 생활의 연장선이면서 열린 공간이다. 그리고 마당은 상호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이다. 반면에, 서양의 무대는 공연자와 청중을 분리시킨 닫힌 구조다. 놀이와 예술이 펼쳐지는 장소적, 공간적 의미의 판은 관객의 참여를 철저히 배제한 서구식 무대가 아니라, 관객의 참여를 허용한 개방적인 마당이라 할 수 있다. 청중은 감상만 하는 사람이 아니라 처음부터 공연을 같이 이끄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 서양과 다르다. 판소리뿐 아니라 우리나라 대부분의 공연들이 끊임없이 관객들에게 말을 걸고 관객들은 나름대로 추임새를 하든지 농담을 던진다. 이와 달리 서양의 관현악이나 오페라공연에서 최상의 청중들이란 연주를 하는 동안 소리를 내지 않는 사람들이다. 근대 서양의 공연문화가 경청하는 수동적 문화라면 한국인은 함께 뛰어 놀고 반응하며 즐기는 참여형 문화다.
      이러한 참여형 청관중의 동참은 ‘가창참여’라는 우리의 전통에서 시작된 것이며, 선후창 민요와 그것이 응용된 판소리 삽입민요에서 그 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선후창 민요는 노랫말과 후렴구가 교대, 반복되는 형태이고, 판소리 삽입민요는 판소리 광대가 노랫말과 후렴구를 가창하는 가운데 청관중이 따라 부르는 방식을 말한다. 전자가 청관중의 자발적인 동참에 의해 이루지는 것이라면 후자는 광대의 선창에 의한 유도된 동참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래 공연자와 청관중이 함께 어울려 즐기는 놀이와 같았던 판소리는 19세기를 거치면서 명창 중심의 고급예술로 변모했고, 20세기 들어서 서구화에 따른 공연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연 참여는 점차 쇠퇴했다.
      서구화된 공연환경의 보급으로 판과 마당문화는 ‘무대’로, 공연의 일부였던 청관중은 초대 받은 ‘손님’으로 전락했지만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신명의 기억은 점차 그동안 억눌렸던 관객의 참여기능을 되찾으려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고, 관객들도 스스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에 열광한다.
      서양과 달리 우리에게는 처음부터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없었다. 지켜야만 할 격식도 어떤 제약도 없었다. 그저 마당에서 펼쳐지는 놀이판에 끼이기만 하면 구경꾼 스스로 놀이꾼이 되어 신나게 어울릴 수 있었던 것이 우리 공연문화의 본질이었다. 그렇게 청관중이 되는 순간 신명을 체험하게 된다. 판은 예술 행위의 장이기도 하지만 여럿이 한데 어우러져 즐기는 놀이의 터이기도 하고, 신명은 예술에만 국한되는 정서가 아니라 한국인의 일상을 지탱하는 정서이기에 신명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한국인 전체를 관통하는 민족성을 더욱 깊이 이해 할 수 있게 된다. 판과 마당은 절대로 혼자서는 만들 수 없고, 신명은 혼자일 때보다 여럿일 때 더 빛을 발한다. 결국, 우리나라의 공연문화의 특질을 이루는 ‘청관중’은 우리 고유의 공동체 문화라는 ‘판’ 위에서 공동체적 유대감으로 신명나게 노는 우리들의 자화상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서양의 문화가 무대에서 발전해 왔다면 우리 문화는 마당에서 발전해 왔다. 마당은 공동이 소유하는 생활의 연장선이면서 열린 공간이다. 그리고 마당은 상호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이다...

      서양의 문화가 무대에서 발전해 왔다면 우리 문화는 마당에서 발전해 왔다. 마당은 공동이 소유하는 생활의 연장선이면서 열린 공간이다. 그리고 마당은 상호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이다. 반면에, 서양의 무대는 공연자와 청중을 분리시킨 닫힌 구조다. 놀이와 예술이 펼쳐지는 장소적, 공간적 의미의 판은 관객의 참여를 철저히 배제한 서구식 무대가 아니라, 관객의 참여를 허용한 개방적인 마당이라 할 수 있다. 청중은 감상만 하는 사람이 아니라 처음부터 공연을 같이 이끄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 서양과 다르다. 판소리뿐 아니라 우리나라 대부분의 공연들이 끊임없이 관객들에게 말을 걸고 관객들은 나름대로 추임새를 하든지 농담을 던진다. 이와 달리 서양의 관현악이나 오페라공연에서 최상의 청중들이란 연주를 하는 동안 소리를 내지 않는 사람들이다. 근대 서양의 공연문화가 경청하는 수동적 문화라면 한국인은 함께 뛰어 놀고 반응하며 즐기는 참여형 문화다.
      이러한 참여형 청관중의 동참은 ‘가창참여’라는 우리의 전통에서 시작된 것이며, 선후창 민요와 그것이 응용된 판소리 삽입민요에서 그 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선후창 민요는 노랫말과 후렴구가 교대, 반복되는 형태이고, 판소리 삽입민요는 판소리 광대가 노랫말과 후렴구를 가창하는 가운데 청관중이 따라 부르는 방식을 말한다. 전자가 청관중의 자발적인 동참에 의해 이루지는 것이라면 후자는 광대의 선창에 의한 유도된 동참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래 공연자와 청관중이 함께 어울려 즐기는 놀이와 같았던 판소리는 19세기를 거치면서 명창 중심의 고급예술로 변모했고, 20세기 들어서 서구화에 따른 공연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연 참여는 점차 쇠퇴했다.
      서구화된 공연환경의 보급으로 판과 마당문화는 ‘무대’로, 공연의 일부였던 청관중은 초대 받은 ‘손님’으로 전락했지만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신명의 기억은 점차 그동안 억눌렸던 관객의 참여기능을 되찾으려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고, 관객들도 스스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에 열광한다.
      서양과 달리 우리에게는 처음부터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없었다. 지켜야만 할 격식도 어떤 제약도 없었다. 그저 마당에서 펼쳐지는 놀이판에 끼이기만 하면 구경꾼 스스로 놀이꾼이 되어 신나게 어울릴 수 있었던 것이 우리 공연문화의 본질이었다. 그렇게 청관중이 되는 순간 신명을 체험하게 된다. 판은 예술 행위의 장이기도 하지만 여럿이 한데 어우러져 즐기는 놀이의 터이기도 하고, 신명은 예술에만 국한되는 정서가 아니라 한국인의 일상을 지탱하는 정서이기에 신명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한국인 전체를 관통하는 민족성을 더욱 깊이 이해 할 수 있게 된다. 판과 마당은 절대로 혼자서는 만들 수 없고, 신명은 혼자일 때보다 여럿일 때 더 빛을 발한다. 결국, 우리나라의 공연문화의 특질을 이루는 ‘청관중’은 우리 고유의 공동체 문화라는 ‘판’ 위에서 공동체적 유대감으로 신명나게 노는 우리들의 자화상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태, "한국인의 의식구조" 신원문화사 2001

      2 조동일, "한국인의 신명 신바람 신명풀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0 : 1997

      3 주영하,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아모르문디 2012

      4 최준식, "한국인을 춤추게 하라" 사계절 2007

      5 최웅, "한국의 전통극과 현대극" 북스힐 2003

      6 김옥란, "한국 연극론 분열과 생성의 목소리" 연극과 인간 2006

      7 채희완, "한국 문학의 현단계I" 창작과 비평사 1983

      8 김대행,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00

      9 이유진, "판소리 청관중의 가창참여 방법에 대한 고찰" 판소리학회 (22) : 279-304, 2006

      10 김광억, "정치적 담론기제로서의 민중문화운동: 사회극으로서의 마당극" 한국문화인류학회 21 : 1989

      1 이규태, "한국인의 의식구조" 신원문화사 2001

      2 조동일, "한국인의 신명 신바람 신명풀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0 : 1997

      3 주영하,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아모르문디 2012

      4 최준식, "한국인을 춤추게 하라" 사계절 2007

      5 최웅, "한국의 전통극과 현대극" 북스힐 2003

      6 김옥란, "한국 연극론 분열과 생성의 목소리" 연극과 인간 2006

      7 채희완, "한국 문학의 현단계I" 창작과 비평사 1983

      8 김대행,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00

      9 이유진, "판소리 청관중의 가창참여 방법에 대한 고찰" 판소리학회 (22) : 279-304, 2006

      10 김광억, "정치적 담론기제로서의 민중문화운동: 사회극으로서의 마당극" 한국문화인류학회 21 : 1989

      11 김숙경, "전통의 현대화와 5人의 연출가들" 연극과 인간 2012

      12 박종덕, "우리나라 주요 전통마을의 길과 공동마당의 물리적 특성 : 하회마을, 외암리마을,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2

      13 한민, "신명의 심리학" 북이십일 21세기북스 2009

      14 신병철, "쉽고 강한 브랜드" 전략살림 2004

      15 임진택, "민중연희의 창조" 창작과 비평사 1990

      16 임재해, "민속에서 ‘판’문화의 인식과 인문학문의 길찾기" 민족미학회 11 (11): 15-68, 2012

      17 황농문, "몰입1"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

      18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 한울림 2004

      19 김재석, "마당극 정신의 특질" 한국극예술학회 (16) : 345-361, 2002

      20 김방옥, "마당극 연구" 한국연극학회 (7) : 1995

      21 이영미, "마당극 양식의 원리와 특성" 시공사 2001

      22 조성관, "관객 참여에 대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