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사용한 성인 생애주기별 취업 영향요인 분석 = Finding factors on employment by adult life cycle using decision tree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781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global economy recession with low oil price, Korea has stepped into a stage of sluggish development, and the unemployment has become a major issue. Hence, we study various risk factors influencing on unemployment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of 2014. We first divide the adult life cycle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young adult, adult, and old adult. Then we consider demographic variables, occupational variables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as risk factors. The decision tree models have shown that education and gender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spectively in young adult group and in adult group. Gender, health status, and education are influential factors in old adult group.
      번역하기

      Due to global economy recession with low oil price, Korea has stepped into a stage of sluggish development, and the unemployment has become a major issue. Hence, we study various risk factors influencing on unemployment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

      Due to global economy recession with low oil price, Korea has stepped into a stage of sluggish development, and the unemployment has become a major issue. Hence, we study various risk factors influencing on unemployment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of 2014. We first divide the adult life cycle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young adult, adult, and old adult. Then we consider demographic variables, occupational variables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as risk factors. The decision tree models have shown that education and gender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spectively in young adult group and in adult group. Gender, health status, and education are influential factors in old adult grou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기락, "한국의 노동시장 활성화 정책 특성과 취업 성과: 취업지원서비스와 맞춤형 사회서비스 중심 정책의 비교"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149-183, 2012

      2 조장식, "학업성취도에 대한 대입전형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1 (21): 729-736, 2010

      3 엄동욱, "중고령자의 취업결정요인-국민노후보장패널 1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노동연구원 8 (8): 17-38, 2008

      4 성지미,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6 (6): 39-74, 2006

      5 오세란, "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4) : 255-275, 2008

      6 최윤정,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사용한 고가의료장비의 다빈도 사용 특성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179-185, 2015

      7 정지현, "외환거래에서 의사결정나무와 그래디언트 부스팅을 이용한 수익 모형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4 (24): 161-170, 2013

      8 정인희, "성인 생애주기별 자아존중감과 영향요인 연구: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235-250, 2012

      9 이성림, "미취업 여성의 미취업 원인에 관한 연구 : 의중임금과 시장임금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27 (27): 135-164, 2004

      10 조장식, "데이터 시각화를 이용한 취업자 특성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5 (25): 727-736, 2014

      1 류기락, "한국의 노동시장 활성화 정책 특성과 취업 성과: 취업지원서비스와 맞춤형 사회서비스 중심 정책의 비교"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149-183, 2012

      2 조장식, "학업성취도에 대한 대입전형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1 (21): 729-736, 2010

      3 엄동욱, "중고령자의 취업결정요인-국민노후보장패널 1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노동연구원 8 (8): 17-38, 2008

      4 성지미,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6 (6): 39-74, 2006

      5 오세란, "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4) : 255-275, 2008

      6 최윤정,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사용한 고가의료장비의 다빈도 사용 특성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179-185, 2015

      7 정지현, "외환거래에서 의사결정나무와 그래디언트 부스팅을 이용한 수익 모형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4 (24): 161-170, 2013

      8 정인희, "성인 생애주기별 자아존중감과 영향요인 연구: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235-250, 2012

      9 이성림, "미취업 여성의 미취업 원인에 관한 연구 : 의중임금과 시장임금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27 (27): 135-164, 2004

      10 조장식, "데이터 시각화를 이용한 취업자 특성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5 (25): 727-736, 2014

      11 이윤성, "대학(원)생 졸업 직후 취업성공의 배경" 한국자료분석학회 12 (12): 1523-1533, 2010

      12 최국렬, "다중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대졸취업에 관련성을 갖는 변인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799-811, 2013

      13 Breiman, L.,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RC Press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0.91 0.911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