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정이, "金達壽三つの「族譜」をめぐって?その異同を中心に"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7) : 221-234, 2004
2 고영란, "전후라는 이데올로기" 현실문화 2013
3 최효선, "재일동포문학 연구-1세작가 김달수의 문학과 생애" 문예림 2002
4 곽형덕, "일제말 이은직과 김달수의 일본어 창작과 동인지 활동에 관해서" 한국일본학회 (103) : 145-160, 2015
5 오무라 마스오, "식민주의와 문학" 소명출판 2014
6 조정민, "만들어진 점령서사" 산지니 2009
7 김환기, "김달수의 초창기 문학 연구 ― 일제강점기의 일본어 글쓰기에 대한 모색 ―" 한국일본학회 (76) : 191-202, 2008
8 박광현, "국민문학의 반어법, 재일문학의 ‘기원’" 창작과비평사 32 (32): 2004
9 庄司総一, "陳夫人. 第2部(親子)" 東和社 1951
10 庄司総一, "陳夫人. 第1部(結婚)" 東和社 1951
1 박정이, "金達壽三つの「族譜」をめぐって?その異同を中心に"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7) : 221-234, 2004
2 고영란, "전후라는 이데올로기" 현실문화 2013
3 최효선, "재일동포문학 연구-1세작가 김달수의 문학과 생애" 문예림 2002
4 곽형덕, "일제말 이은직과 김달수의 일본어 창작과 동인지 활동에 관해서" 한국일본학회 (103) : 145-160, 2015
5 오무라 마스오, "식민주의와 문학" 소명출판 2014
6 조정민, "만들어진 점령서사" 산지니 2009
7 김환기, "김달수의 초창기 문학 연구 ― 일제강점기의 일본어 글쓰기에 대한 모색 ―" 한국일본학회 (76) : 191-202, 2008
8 박광현, "국민문학의 반어법, 재일문학의 ‘기원’" 창작과비평사 32 (32): 2004
9 庄司総一, "陳夫人. 第2部(親子)" 東和社 1951
10 庄司総一, "陳夫人. 第1部(結婚)" 東和社 1951
11 崔孝先, "金達寿「族譜」 : 改訂版との比較を中心に" 2 : 59-, 2005
12 金達寿, "金達寿小説全集三" 筑摩書房 1980
13 "芥川賞全集第6巻"
14 "民主朝鮮"
15 "新芸術"
16 宋惠媛, "在日朝鮮人文学史」のために" 岩波書店 2014
17 박제홍, "‘족보’와 ‘창씨개명’ -김달수의 「族譜」와 가지야마 도시유키의 「族譜」를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42) : 141-16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