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달수 문학의 해방 전후 -「족보」의 개작과정을 중심으로- = Before and After in Kim Dalsu`s Work: Focusing on the Rewriting Process of the zohok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2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Japanese Korean writer Kim Dalsu``s zohoku (genealogy), written from 1941 to 1980. The three texts comprising the zohoku differ in their interpretation of Korean culture and ethnicity pre and post-liberation. The zohoku texts written prior to the liberation depict Korean culture and ethnicity in a negative light. In contrast, zohoku texts written post-liberation portray Korean culture and ethnicity as essential factors. This decisive shift in attitude is at the core of any analysis of the zohoku texts. Moreover, the examination of the zohoku texts is supplemented by an analysis of t he w riter``s historical consciousness, thus decontextualizing their revision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circumstances. This paper endeavors to situate the works of Kim Dalsu since the postwar period in order to examine his texts in a historical context.
      번역하기

      This paper investigates Japanese Korean writer Kim Dalsu``s zohoku (genealogy), written from 1941 to 1980. The three texts comprising the zohoku differ in their interpretation of Korean culture and ethnicity pre and post-liberation. The zohoku texts w...

      This paper investigates Japanese Korean writer Kim Dalsu``s zohoku (genealogy), written from 1941 to 1980. The three texts comprising the zohoku differ in their interpretation of Korean culture and ethnicity pre and post-liberation. The zohoku texts written prior to the liberation depict Korean culture and ethnicity in a negative light. In contrast, zohoku texts written post-liberation portray Korean culture and ethnicity as essential factors. This decisive shift in attitude is at the core of any analysis of the zohoku texts. Moreover, the examination of the zohoku texts is supplemented by an analysis of t he w riter``s historical consciousness, thus decontextualizing their revision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circumstances. This paper endeavors to situate the works of Kim Dalsu since the postwar period in order to examine his texts in a historical contex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이, "金達壽三つの「族譜」をめぐって?その異同を中心に"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7) : 221-234, 2004

      2 고영란, "전후라는 이데올로기" 현실문화 2013

      3 최효선, "재일동포문학 연구-1세작가 김달수의 문학과 생애" 문예림 2002

      4 곽형덕, "일제말 이은직과 김달수의 일본어 창작과 동인지 활동에 관해서" 한국일본학회 (103) : 145-160, 2015

      5 오무라 마스오, "식민주의와 문학" 소명출판 2014

      6 조정민, "만들어진 점령서사" 산지니 2009

      7 김환기, "김달수의 초창기 문학 연구 ― 일제강점기의 일본어 글쓰기에 대한 모색 ―" 한국일본학회 (76) : 191-202, 2008

      8 박광현, "국민문학의 반어법, 재일문학의 ‘기원’" 창작과비평사 32 (32): 2004

      9 庄司総一, "陳夫人. 第2部(親子)" 東和社 1951

      10 庄司総一, "陳夫人. 第1部(結婚)" 東和社 1951

      1 박정이, "金達壽三つの「族譜」をめぐって?その異同を中心に"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7) : 221-234, 2004

      2 고영란, "전후라는 이데올로기" 현실문화 2013

      3 최효선, "재일동포문학 연구-1세작가 김달수의 문학과 생애" 문예림 2002

      4 곽형덕, "일제말 이은직과 김달수의 일본어 창작과 동인지 활동에 관해서" 한국일본학회 (103) : 145-160, 2015

      5 오무라 마스오, "식민주의와 문학" 소명출판 2014

      6 조정민, "만들어진 점령서사" 산지니 2009

      7 김환기, "김달수의 초창기 문학 연구 ― 일제강점기의 일본어 글쓰기에 대한 모색 ―" 한국일본학회 (76) : 191-202, 2008

      8 박광현, "국민문학의 반어법, 재일문학의 ‘기원’" 창작과비평사 32 (32): 2004

      9 庄司総一, "陳夫人. 第2部(親子)" 東和社 1951

      10 庄司総一, "陳夫人. 第1部(結婚)" 東和社 1951

      11 崔孝先, "金達寿「族譜」 : 改訂版との比較を中心に" 2 : 59-, 2005

      12 金達寿, "金達寿小説全集三" 筑摩書房 1980

      13 "芥川賞全集第6巻"

      14 "民主朝鮮"

      15 "新芸術"

      16 宋惠媛, "在日朝鮮人文学史」のために" 岩波書店 2014

      17 박제홍, "‘족보’와 ‘창씨개명’ -김달수의 「族譜」와 가지야마 도시유키의 「族譜」를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42) : 141-16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 The Association for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0-02-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Culture Journal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tudy of Han Min Jok's culture -> THE Korean Culture Journal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Han-Min-Jok'S Culture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9 1.0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