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특수목적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영재와 언어영재 판별도구의 탐색 = A Comparison and Application of the Instruments for Identifying th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486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과학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 M고등학교 등 총 739명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창의성검사와 적성검사, 그리고 고등학교 입학 전형요소의 과학분야와 언어분야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력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언어, 수리, 공간, 과학 영역의 적성검사 점수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등의 창의성검사 점수가 과학분야와 언어분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이 크고, 입학전형 요소 중에서 중학교 내신과 실기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고등학교 입학 연령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언어분야의 영재들을 선발하기 위한 효과적인 판별방법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과학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 M고등학교 등 총 739명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창의성검사와 적성검사, 그리고 고등학교 입학 전형요소의 과학분야와 언어분야 학생들의 학업...

      이 연구에서는 과학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 M고등학교 등 총 739명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창의성검사와 적성검사, 그리고 고등학교 입학 전형요소의 과학분야와 언어분야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력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언어, 수리, 공간, 과학 영역의 적성검사 점수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등의 창의성검사 점수가 과학분야와 언어분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이 크고, 입학전형 요소 중에서 중학교 내신과 실기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고등학교 입학 연령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언어분야의 영재들을 선발하기 위한 효과적인 판별방법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ent se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high school gift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tests used for admission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o the effects of aptitude test and the creativity 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s in high school.
      High school aptitude test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were used for the purpose. The scores of the tests for admission, aptitude test, creativity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739 students from two Science High Schools, on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M Leadership Academy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the aptitude 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was larger than that of the tests used for high school admission in all four high schools, and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was larger than that of the tests used for admission in four high schools.
      번역하기

      Student se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high school gift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tests used for admission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o the effects of aptitude test...

      Student se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high school gift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tests used for admission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o the effects of aptitude test and the creativity 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s in high school.
      High school aptitude test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were used for the purpose. The scores of the tests for admission, aptitude test, creativity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739 students from two Science High Schools, on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M Leadership Academy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the aptitude 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was larger than that of the tests used for high school admission in all four high schools, and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was larger than that of the tests used for admission in four high schoo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업성취도에 대한 창의성의 상대적 예측력" 42 (42): 317-342, 2004

      2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1998

      3 현주, "초ㆍ중ㆍ고등학생용 적성검사 개발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1998

      4 "창의적 사고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변인에 관한 연구-성취동기를 중심으로-" 4 (4): 73-96, 2005

      5 "창의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2 (2): 5-28, 2003

      6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의 형식적 사고, 창의력 및 초인지에 관한 연구" 18 (18): 141-160, 2004

      7 "중등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의 실제, 학교급별 영재교육의 실제와 발전 방안" 69-97, 1997

      8 "자기 규제적 방략 훈련과 확산적 사고 훈련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1997

      9 "인지적 특성에 의한 영재유형간 판별분석 : 초등 언어영재와 수학영재의 경우" 18 (18): 63-80, 2005

      10 "영재성의 측정 및 영재 선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4

      1 "학업성취도에 대한 창의성의 상대적 예측력" 42 (42): 317-342, 2004

      2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1998

      3 현주, "초ㆍ중ㆍ고등학생용 적성검사 개발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1998

      4 "창의적 사고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변인에 관한 연구-성취동기를 중심으로-" 4 (4): 73-96, 2005

      5 "창의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2 (2): 5-28, 2003

      6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의 형식적 사고, 창의력 및 초인지에 관한 연구" 18 (18): 141-160, 2004

      7 "중등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의 실제, 학교급별 영재교육의 실제와 발전 방안" 69-97, 1997

      8 "자기 규제적 방략 훈련과 확산적 사고 훈련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1997

      9 "인지적 특성에 의한 영재유형간 판별분석 : 초등 언어영재와 수학영재의 경우" 18 (18): 63-80, 2005

      10 "영재성의 측정 및 영재 선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4

      11 "영재성 유형과 학년 수준에 따른 동기 및 인지적 특성" 4 (4): 53-72, 2005

      12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CR 96-28) : 1996

      13 "언어영재 판별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14 "수학영재의 판별절차 및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3

      15 "기질 및 성격검사에서 밝혀진 영재기관 영재의 특성이 영재선발에 주는 시사점" 99 (99): 143-156, 2005

      16 한기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사고 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간의 관계 비교" 18 (18): 49-68, 2004

      17 "Torrance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1999

      18 Torrance,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Inc illi (illi): 1974

      19 Renzulli,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30-35, 1983

      20 Torrance, "Predictive validity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36-252, 1972

      21 Davis, G. A, "Educational of the gifted and talented" MA: Allyn & Bacon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9 1.9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