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副詞“都”的來源及語法化過程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23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사“都”는 일상회화에서 사용빈도가 아주 높은 부사이다. 중국학자와 한국학자들이 “都”에 관한 많은 연구를 하였다. 하지만 대부분 연구는“都”의 의미 분석에만 치중하고어법화과...

      부사“都”는 일상회화에서 사용빈도가 아주 높은 부사이다. 중국학자와 한국학자들이 “都”에 관한 많은 연구를 하였다. 하지만 대부분 연구는“都”의 의미 분석에만 치중하고어법화과정에 관한 연구는 많이이루어지지 못 하는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都”의 어법화 과정을 고찰하고“都”의 여러 가지 의미의 발생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都”의 기원은 春秋戰國時代사료를 살펴보면 처음에는 명사로“城邑”의 의미로 사용되었었다. 漢代에 와서 동사로“聚集,彙聚”의 의미로 바뀌었다. 南朝에 와서는“都”가 동사를 강조하는 어기조사로 많이 사용되었고, 六朝時期에는“都”점점 문장 속에“강조와 비교”의 어기로 나타났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일반적으로 “都”의 의미를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즉, 범위부사, 어기부사 그리고 시간부사이다. 하지만일부 학자들이“都”를 시간부사의 의미가 없으며, 단지 특정한 관련어 속에서만 그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인도 그 의견에 동의를 하고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都”가 가지고 있는 의미가 명사에서 동사로, 동사에서 부사로 변천하는 과정을 예문을 통해서 상세히 고찰했다. 또한 저자는 연구를 통해서“都”의 의미에 대해 더욱더 정확한 시야를 가졌고, 앞으로 “都”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되기 위한 기반으로 삼을 것이며, 독자들도 이 논문을 통해“都”에 대한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一. 引言
      • 2. 副詞“都”的?生
      • 3. 結論
      • 〈參考文獻〉
      • 〈한글제요〉
      • 一. 引言
      • 2. 副詞“都”的?生
      • 3. 結論
      • 〈參考文獻〉
      • 〈한글제요〉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吳閑榮, "關於漢語副詞“都”的研究" 複旦大學 2011

      2 賀 煒, "論“V都不V格式”" 廣西師範大學 2007

      3 張莉莉, "談“都⋅⋅⋅了”句式的認知特點" (6) : 2001

      4 范聞鶴, "說“都”" 黑龍江大學 2010

      5 蔣 嚴, "語用推理與“都”的句法/語義特徵" (1) : 1998

      6 沈家煊, "語法化研究綜觀" (4) : 1994

      7 喬石豪, "語氣副詞“都”的來源及語法化過程" (6) : 2007

      8 柳士鎮, "語文論稿" 南京大學出版社 132-135, 1998

      9 楊榮祥, "總括副詞“都”的曆史演變" 1998

      10 張誼生, "範圍副詞“都”的選擇限制" (5) : 2003

      1 吳閑榮, "關於漢語副詞“都”的研究" 複旦大學 2011

      2 賀 煒, "論“V都不V格式”" 廣西師範大學 2007

      3 張莉莉, "談“都⋅⋅⋅了”句式的認知特點" (6) : 2001

      4 范聞鶴, "說“都”" 黑龍江大學 2010

      5 蔣 嚴, "語用推理與“都”的句法/語義特徵" (1) : 1998

      6 沈家煊, "語法化研究綜觀" (4) : 1994

      7 喬石豪, "語氣副詞“都”的來源及語法化過程" (6) : 2007

      8 柳士鎮, "語文論稿" 南京大學出版社 132-135, 1998

      9 楊榮祥, "總括副詞“都”的曆史演變" 1998

      10 張誼生, "範圍副詞“都”的選擇限制" (5) : 2003

      11 馬 真, "現代漢語虛詞研究方法論" 北京商務印書館 2004

      12 陸儉明, "現代漢語虛詞散論" 北京大學出版社 1999

      13 呂叔湘, "現代漢語八百詞" 北京商務印書館 1980

      14 張誼生, "现代汉语副词探索" 学林出版社 2004

      15 郭春貴, "時間副詞“已經”和“都”的異同" (2) : 1997

      16 喬石豪, "探討“連...都/也...”結構的與發化過程" 河南大學 2005

      17 沈家煊, "實詞虛化的機制" (3) : 1998

      18 季淑鳳, "基於事件理論的“都”的量化研究" 湖南大學 2008

      19 陳寶勤, "副詞“都”的產生與發展" (2) : 1998

      20 武振玉, "副詞“都”的產生和發展" (5) : 2001

      21 單登科, "以副詞“只”“都”“就”爲例探究漢語語義指向問題" 山東大學 2009

      22 張怡春, "也說周變性構式中的“都”和“也”" (4) : 2011

      23 朱鑄禹, "世說新語彙校集注" 上海古籍出版社 2002

      24 唐爲群, "《百喻經》中的副詞“都”和“相”" (3) : 2004

      25 薛小英, "“都”的語義關聯及其句法實現" (2) : 2009

      26 李寶倫, "“都”的語義要求和特徵" (2) : 2012

      27 蔣靜忠, "“都”指向單數“一量名”的制約規則及相關解釋" (3) : 2008

      28 黃瓚輝, "“都”字關系結構中中心語的寬域解讀及相關問題" (4) : 2011

      29 李文富, "“把+NP+都+VP就”結構與“都”的語法化及語義指向特點" 清華大學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19 0.47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