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종기(播種期)와 생육초기(生育初期) 관수(灌水)가 삼도시호(三島柴胡)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46308
1997
Korean
524
KCI우수등재,SCOPUS
학술저널
318-324(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파종기(播種期)와 생육초기(生育初期) 관수(灌水)가 삼도시호(三島柴胡)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
파종기(播種期)와 생육초기(生育初期) 관수(灌水)가 삼도시호(三島柴胡)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봄파종 시호(柴胡)의 출현일수(出現日數)는 파종후(播種後) 10일 간격으로 20mm씩 3회 관수한 시험구에서 38일로 무관수구(無灌水區)의 54일에 비하여 16일 단축(短縮)되었다. 2. 입모율(立毛率)은 10일간격 20mm씩 3회 관수한 시험구에서 64%인데 비하여 자연강우시 46%, 무관수에서는 25%로 아주 저조하였다. 3. 파종기(播種期)에 관수(灌水)한 경우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의 생육(生育)이 무관수(無灌水) 및 자연강우(自然降雨)에서 보다 양호(良好) 하였으며 10a당 수량(收量)은 10일 간격 20mm 3회 관수한 경우 58kg으로 자연강우, 무관수에 비하여 각각 20%, 94%의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었다. 4. 생육초기(生育初期)(5~6월) 10일 간격으로 30mm씩 6회에 걸쳐 관수한 것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Bupleurum falcatum field was irrigated three times with 20mm at intervals of 10days after sowing, establishment was inproved (64%) and root yield increased to 58kg/10a. And in early growing stage, 30mm irrigation six times at intervals of 10days ...
When Bupleurum falcatum field was irrigated three times with 20mm at intervals of 10days after sowing, establishment was inproved (64%) and root yield increased to 58kg/10a. And in early growing stage, 30mm irrigation six times at intervals of 10days increased the number of harvested plants per square meter and resulted in yield increase by 26% over yield from natural plot. 20mm irrigation in sowing time at intervals of 10days and 30mm irrigation in early growing stage at intervals of 10days kept adequate soil moisture content (soil moisture tension: 0.39~0.49bar) and resulted in better establishment, growth and yield of Buleurum falcatum.
지황의 액체배양에서 식물생장조정제와 치상 조직이 직접 체세포배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韓國) 재래종(在來種) 지모(知母)의 특성비교(特性比較)에 따른 유연관계(類緣關係) 분석(分析)
맥후작(麥後作) 황도(黃芩)의 시비량(施肥量)에 따른 수량성(收量性)
Priming과 GA3 처리에 따른 도라지, 더덕 및 만삼의 출아(出芽)와 생장(生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