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와 사상으로서의 ‘아프리카’ - 혼일의 세계상과 탈중화의 주체성, 사상과제로서의 아프리카 = < Honil gangni yeokdae gukdo jido > and Africa as an Idea - Africa as a World of Marriage, the Subject of Decentralization, and the Task of Th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7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402년에 조선이 그린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에 나타난 세계상과 ‘아프리카’의 의미를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강리도>가 보여주는 세계의 상상적 ‘조작’과 ‘왜곡’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그것이 보여주는 지리적 세계의 확장과 ‘세계’ 개념의 전환을 살펴본다. <강리도>는 실제 세계를 설명하는 ‘세계의 텍스트’이면서, 조선이 지향하는 세계상을 말해주는 ‘세계에 관한 텍스트’이기도 하다. 즉 <강리도>는 이제 막 건국한 15세기 조선이 지향하고자 했던 세계상(world image)을 말해주는 텍스트이며, ‘아프리카’는 새로운 세계상의 구축에 필요한 타자 표상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강리도>는 조선이 지향했던 이상적인 세계상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성리학에 기반한 조선적 문명 중화의 세계였다. 중국과 중화 세계를 동일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강리도>는 탈중화주의를 선언하는 텍스트이다. 또한 중화와 이적의 경계나 구분 자체가 없는, 모든 지역이나 민족이 평등한 문명사회이자 문명국이라는 인식에 기초한 세계질서를 기획하는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보편적이고 다원적인 중화 문명의 세계, 그것이 <강리도>를 제작한 조선의 사상적 야심이었다.
      <강리도>의 ‘아프리카’는 조선이 꿈꾼 혼일의 세계 지평과 문명 중화의 세계를 보증하는 타자 표상이다. 실정적인 측면에서 조선인에게 ‘아프리카’는 미지의 장소이며, 교류할 수 없는 상상의 나라와 다르지 않았다. <강리도> 속 ‘아프리카’는 구대륙의 모든 영토를 지배한 몽골의 세계제국이 구축했던 문화교류와 문물교역의 거대한 네트워크를 증명하는 유산이다. 세계제국의 변방에 위치한 조선은 분명 제국의 세계지도를 보고 ‘혼일’의 세계정신을 물려받았으며, ‘아프리카’는 세계제국의 광대한 세계지도가 개시한 사상적 유산을 이어받음으로써 상상할 수 있었던 세계상, 즉 혼일의 지평과 조선적 문명 중화의 세계를 완성하는 상징적 타자였다.
      이 연구는 아프리카의 이미지와 표상, 개념과 이데올로기가 한국문학에 수용되는 양상 연구에 대한 시론으로서, 한국의 역사와 문학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의미와 위상을 고찰하고 나아가 사유의 대상으로서 아프리카를 논의하기 위한 입론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1402년에 조선이 그린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에 나타난 세계상과 ‘아프리카’의 의미를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강리도>가 보여주는 세계의 상상적 ...

      이 글은 1402년에 조선이 그린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에 나타난 세계상과 ‘아프리카’의 의미를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강리도>가 보여주는 세계의 상상적 ‘조작’과 ‘왜곡’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그것이 보여주는 지리적 세계의 확장과 ‘세계’ 개념의 전환을 살펴본다. <강리도>는 실제 세계를 설명하는 ‘세계의 텍스트’이면서, 조선이 지향하는 세계상을 말해주는 ‘세계에 관한 텍스트’이기도 하다. 즉 <강리도>는 이제 막 건국한 15세기 조선이 지향하고자 했던 세계상(world image)을 말해주는 텍스트이며, ‘아프리카’는 새로운 세계상의 구축에 필요한 타자 표상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강리도>는 조선이 지향했던 이상적인 세계상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성리학에 기반한 조선적 문명 중화의 세계였다. 중국과 중화 세계를 동일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강리도>는 탈중화주의를 선언하는 텍스트이다. 또한 중화와 이적의 경계나 구분 자체가 없는, 모든 지역이나 민족이 평등한 문명사회이자 문명국이라는 인식에 기초한 세계질서를 기획하는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보편적이고 다원적인 중화 문명의 세계, 그것이 <강리도>를 제작한 조선의 사상적 야심이었다.
      <강리도>의 ‘아프리카’는 조선이 꿈꾼 혼일의 세계 지평과 문명 중화의 세계를 보증하는 타자 표상이다. 실정적인 측면에서 조선인에게 ‘아프리카’는 미지의 장소이며, 교류할 수 없는 상상의 나라와 다르지 않았다. <강리도> 속 ‘아프리카’는 구대륙의 모든 영토를 지배한 몽골의 세계제국이 구축했던 문화교류와 문물교역의 거대한 네트워크를 증명하는 유산이다. 세계제국의 변방에 위치한 조선은 분명 제국의 세계지도를 보고 ‘혼일’의 세계정신을 물려받았으며, ‘아프리카’는 세계제국의 광대한 세계지도가 개시한 사상적 유산을 이어받음으로써 상상할 수 있었던 세계상, 즉 혼일의 지평과 조선적 문명 중화의 세계를 완성하는 상징적 타자였다.
      이 연구는 아프리카의 이미지와 표상, 개념과 이데올로기가 한국문학에 수용되는 양상 연구에 대한 시론으로서, 한국의 역사와 문학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의미와 위상을 고찰하고 나아가 사유의 대상으로서 아프리카를 논의하기 위한 입론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ld image and the meaning of “Africa” in the < Honil gangni yeokdae gukdo jido > a world map drawn by Choson in 1402. Specifically, the study actively interprets the imaginative “manipulation” and “distortion” of the world shown by < Gangnido >, looking at the expansion of the geographical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world.” < Gangnido > is the text of the world that describes the real world and also the text of the world that Choson aims for. In other words, < Gangnido > is a text that tells the world image that Choson, which was just founded in the 15th century, wanted to pursue, and ‘Africa’ is meaningful as a typeface needed to build a new world.
      < Gangnido > contains the ideal world image that Choson was aiming for. Specifically, it was a world of neutralization of Choson civilization based on Neo-Confucianism. < Gangnido > is a text declaring de-Chineseism in that it did not identify China and the Chinese world. It is also a discourse that plans the world order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all regions and peoples are equal civilized societies and civilized countries, with no boundary or distinction between neutralization and transfer. The universal and pluralistic world of Chinese civilization, it was Choson’s ideological ambition to produce < Gangnido >
      “Africa” in < Gangnido > is a typist’s symbol that guarantees the world of marriage and civilization neutralization that Choson dreamed of. In practical terms, for Koreans, ‘Africa’ was an unknown place, and it was no different from an imaginary country where they could not interact. “Africa” in < Gangnido > is a heritage that proves the huge network of cultural exchanges and cultural exchanges established by the Mongol world empire that ruled all the territories of the Old Continent. Choson, located on the periphery of the world empire, clearly inherited the spirit of “Honil” by looking at the world map of the empire, and Africa was a symbolic type of world image that could have been imagined by inheriting the ideological legacy initiated by the vast world map of the world, namely, the horizon of marriage and the neutralization of Choson civilization.
      This study is a poetic theory on the aspects of African images, representations, concepts and ideologies accepted in Korean literature, and is an introduction to consider the meaning and status of Africa in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and further discuss Africa as a subject of private reasons.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ld image and the meaning of “Africa” in the < Honil gangni yeokdae gukdo jido > a world map drawn by Choson in 1402. Specifically, the study actively interprets the imaginative “manipulation” and “distortio...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ld image and the meaning of “Africa” in the < Honil gangni yeokdae gukdo jido > a world map drawn by Choson in 1402. Specifically, the study actively interprets the imaginative “manipulation” and “distortion” of the world shown by < Gangnido >, looking at the expansion of the geographical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world.” < Gangnido > is the text of the world that describes the real world and also the text of the world that Choson aims for. In other words, < Gangnido > is a text that tells the world image that Choson, which was just founded in the 15th century, wanted to pursue, and ‘Africa’ is meaningful as a typeface needed to build a new world.
      < Gangnido > contains the ideal world image that Choson was aiming for. Specifically, it was a world of neutralization of Choson civilization based on Neo-Confucianism. < Gangnido > is a text declaring de-Chineseism in that it did not identify China and the Chinese world. It is also a discourse that plans the world order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all regions and peoples are equal civilized societies and civilized countries, with no boundary or distinction between neutralization and transfer. The universal and pluralistic world of Chinese civilization, it was Choson’s ideological ambition to produce < Gangnido >
      “Africa” in < Gangnido > is a typist’s symbol that guarantees the world of marriage and civilization neutralization that Choson dreamed of. In practical terms, for Koreans, ‘Africa’ was an unknown place, and it was no different from an imaginary country where they could not interact. “Africa” in < Gangnido > is a heritage that proves the huge network of cultural exchanges and cultural exchanges established by the Mongol world empire that ruled all the territories of the Old Continent. Choson, located on the periphery of the world empire, clearly inherited the spirit of “Honil” by looking at the world map of the empire, and Africa was a symbolic type of world image that could have been imagined by inheriting the ideological legacy initiated by the vast world map of the world, namely, the horizon of marriage and the neutralization of Choson civilization.
      This study is a poetic theory on the aspects of African images, representations, concepts and ideologies accepted in Korean literature, and is an introduction to consider the meaning and status of Africa in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and further discuss Africa as a subject of private reas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혜정, "한국현대문학과 아프리카문학에 대한 인식공간"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 : 287-309, 2009

      2 전상운, "한국과학사의 새로운 이해"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3 장상훈, "한국 고지도의 역사" 소나무 2011

      4 "태조실록"

      5 차선일, "탈식민기 세계여행기 개관- 단행본 세계여행기와 시기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79) : 425-455, 2018

      6 이원순, "최한기의 세계지리인식의 역사성-혜강학의 지리학적 측면"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4 : 1992

      7 정선태, "지도의 상상력" 산처럼 2006

      8 권보드래, "중립의 꿈 1945~1968 ― 냉전 너머의 아시아, 혹은 최인훈론을 위한 시론" 상허학회 34 : 261-313, 2012

      9 "주례"

      10 김유영, "조선이 그린 세계지도-몽골 제국의 유산과 동아시아" 소와당 2010

      1 허혜정, "한국현대문학과 아프리카문학에 대한 인식공간"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 : 287-309, 2009

      2 전상운, "한국과학사의 새로운 이해"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3 장상훈, "한국 고지도의 역사" 소나무 2011

      4 "태조실록"

      5 차선일, "탈식민기 세계여행기 개관- 단행본 세계여행기와 시기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79) : 425-455, 2018

      6 이원순, "최한기의 세계지리인식의 역사성-혜강학의 지리학적 측면"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4 : 1992

      7 정선태, "지도의 상상력" 산처럼 2006

      8 권보드래, "중립의 꿈 1945~1968 ― 냉전 너머의 아시아, 혹은 최인훈론을 위한 시론" 상허학회 34 : 261-313, 2012

      9 "주례"

      10 김유영, "조선이 그린 세계지도-몽골 제국의 유산과 동아시아" 소와당 2010

      11 오상학, "조선시대 세계지도와 세계인식" 창비 2011

      12 배우성, "조선과 중화" 돌베개 2014

      13 정재철, "응제시에 나타난 권근의 세계관" 근역한문학회 8 : 1990

      14 채웅석, "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한국역사연구회 (49) : 99-124, 2003

      15 한영우, "우리 옛지도와 그 아름다움" 효형출판 1999

      16 김택현,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1997

      17 이광수, "역사 없는 사람들" 삼천리 2011

      18 송금영, "아프리카 깊이 읽기" 민속원 2020

      19 박홍경, "세상의 모든 지도 The MAP" 생각의집 2016

      20 서동진, "비동맹 독본" 현실문화 2020

      21 신병주, "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 책과함께 2007

      22 박천규, "권양촌(權陽村)의 응제시와 대명외교" 근역한문학회 1 : 1983

      23 최종석, "고려에서 조선으로: 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 역사비평사 2019

      24 이찬, "韓國의 古世界地圖 : 天下圖와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에 대하여" 일지사 2 (2): 1976

      25 小川琢治, "近世西洋交通以前の支那地圖に就て" 東京地学協会 22 (22): 2010

      26 小川琢治, "近世西洋交通以前の支那地圖に就て" 東京地学協会 22 (22): 2010

      27 이성규, "中華帝國의 팽창과 축소: 그 이념과 실제" 역사학회 (186) : 87-133, 2005

      28 오상학,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의 최근 담론과 지도의 재평가" 국토지리학회 50 (50): 117-134, 2016

      29 조지형,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의 제작시기 ―류코쿠본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42) : 65-93, 2011

      30 조지형,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의 아프리카: 비교사적 검토" 이화사학연구소 (45) : 75-106, 2012

      31 정광중,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 硏究 小史: 日本의 경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7 : 1995

      32 Kenzheakhmet, Nurlan, "The Place Names of Euro-Africa in the Kangnido" 14 : 2016

      33 Joseph Needham,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9

      34 Lindy Stiebel, "Putting Africa [back] on the map: the South African Parliamentary Millennium Project"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56 : 2004

      35 Lee Chan, "Old Maps of Korea" Bumwoo Publishing 1991

      36 Dane Alston, "Emperor and Emissary: The Hongwu Emperor, Kwŏn Kŭn, and the Poetry of Late Fourteenth Century Diplomacy" 32 : 2008

      37 Kuei-Sheng, Chang, "Africa and the Indian Ocean in Chinese Maps of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24 (24): 2008

      38 고봉준, "1960년대 정신사와 신생(新生)의 토포스(topos) - 4․19 혁명과 한일회담 반대운동 전후 신동엽 시의 변화양상" 한국문학회 (84) : 449-481, 2020

      39 권근, "(국역)양촌집 3" 솔출판사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87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