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시기 「일본기독교단」의 활동과 역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tivities and Roles of the Japanese Christian Foundation during the War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7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일본기독교단’이 전시기 일본 정부의 요구에 부응하여 전쟁 총후(戰爭銃後)로서 활동한 내용과 그 역할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1940년 4월 시행된 일본 정부의 ‘종교 단체법’에 의해 일본기독교 역사상 처음으로 공인된 종교로 인정받은 일본 기독교계는 종교 단체법에 의거, 기독교계 단일단체인 ‘일본기독교단’을 창립하고 국가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게 된다. 이러한 일본기독교단의 활동상을 전후 기독교인들은 ‘참회와 반성’이라는 키워드로 이해하고 논의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일본 정부가 ‘정책적 정당성’과 ‘강제된 애국심’을 바탕으로 일본기독교단을 전쟁총후로 활용한 사실과 일본기독교단의 활동상을 연계해 조망하고자 한다. 아울러 일본 정부의 압박 속에 ‘군기 헌납금’으로 전쟁 후원의 역할을 감당하고 ‘교사 근로동원’으로 전쟁 동원에 참여하였던 일본기독교단의 구체적인 활동상을 그 시기 발간된 『敎團時報』를 통해 검증하고, 사료를 통해 일본기독교단의 말단 조직이었던 ‘교회’의 상황을 검토함으로써 전시기 일본 정부의 ‘정교일치(政敎一致) 정책’이 어떻게 구체화 되어 실현되었는가를 규명하려고 한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전시기 일본기독교단은 ‘예배의 변형’이라는 교단 내적 문제와 ‘전쟁 후원과 동원’이라는 교단 외적 문제를 수반할 수밖에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일본기독교단’이 전시기 일본 정부의 요구에 부응하여 전쟁 총후(戰爭銃後)로서 활동한 내용과 그 역할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1940년 4월 시행된 일본 정부의 ‘종교 단체...

      본 논문에서는 ‘일본기독교단’이 전시기 일본 정부의 요구에 부응하여 전쟁 총후(戰爭銃後)로서 활동한 내용과 그 역할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1940년 4월 시행된 일본 정부의 ‘종교 단체법’에 의해 일본기독교 역사상 처음으로 공인된 종교로 인정받은 일본 기독교계는 종교 단체법에 의거, 기독교계 단일단체인 ‘일본기독교단’을 창립하고 국가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게 된다. 이러한 일본기독교단의 활동상을 전후 기독교인들은 ‘참회와 반성’이라는 키워드로 이해하고 논의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일본 정부가 ‘정책적 정당성’과 ‘강제된 애국심’을 바탕으로 일본기독교단을 전쟁총후로 활용한 사실과 일본기독교단의 활동상을 연계해 조망하고자 한다. 아울러 일본 정부의 압박 속에 ‘군기 헌납금’으로 전쟁 후원의 역할을 감당하고 ‘교사 근로동원’으로 전쟁 동원에 참여하였던 일본기독교단의 구체적인 활동상을 그 시기 발간된 『敎團時報』를 통해 검증하고, 사료를 통해 일본기독교단의 말단 조직이었던 ‘교회’의 상황을 검토함으로써 전시기 일본 정부의 ‘정교일치(政敎一致) 정책’이 어떻게 구체화 되어 실현되었는가를 규명하려고 한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전시기 일본기독교단은 ‘예배의 변형’이라는 교단 내적 문제와 ‘전쟁 후원과 동원’이라는 교단 외적 문제를 수반할 수밖에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view the contents and roles of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Japanese government during the war period.
      The Japanese Christian community, which was recognized as the first recognized religion in the history of Japanese Christianity by the Japanese government’s “Religious Organizations Act” in force in April 1940. They will actively respond to demands.
      Under the pressure of the Japanese government, we are trying to verify the specific activities of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who played the role of supporting the war with “military contributions,” and participating in war mobilization through “pastor labor mobilization,” through a magazine published at that time.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situation of the “church”, which was the terminal organization of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we intend to find out how the Japanese government’s “Elaborate Unity Policy” was materialized and realized during the war.
      Through the study of this paper, it can be seen that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during the war period contained an internal problem called “transformation of worship” and an external problem called “war support and mobilization.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view the contents and roles of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Japanese government during the war period. The Japanese Christian community, which was recognized as the first recogn...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view the contents and roles of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Japanese government during the war period.
      The Japanese Christian community, which was recognized as the first recognized religion in the history of Japanese Christianity by the Japanese government’s “Religious Organizations Act” in force in April 1940. They will actively respond to demands.
      Under the pressure of the Japanese government, we are trying to verify the specific activities of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who played the role of supporting the war with “military contributions,” and participating in war mobilization through “pastor labor mobilization,” through a magazine published at that time.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situation of the “church”, which was the terminal organization of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we intend to find out how the Japanese government’s “Elaborate Unity Policy” was materialized and realized during the war.
      Through the study of this paper, it can be seen that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during the war period contained an internal problem called “transformation of worship” and an external problem called “war support and mobiliz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정민, "전시 하 일본기독교사" 한들 출판사 2009

      2 카미벳부 마사노부, "일본국헌법과 종교법인법에 본 일본의 종교정책⋅종교행정과 그 문제점" 종교문제연구소 (21) : 77-102, 2011

      3 赤澤史朗, "近代日本の思想動員と宗教統制" 校倉書房 1985

      4 日本基督敎團讚美歌委員會, "興亞讚美歌" 警醒社 1943

      5 鈴木浩二, "總發第九六號" 日本基督敎團 1942

      6 倉澤愛子, "日本点領下のジャワ農村の変容" 草思社 1991

      7 "日本基督敎新報, 1944, 8, 10"

      8 "日本基督敎新報, 1943, 6, 24"

      9 富田満, "日本基督敎團より大東亞共榮圈に在る基督敎徒に送る書翰" 日本基督敎團 1944

      10 "教団時報 第241號"

      1 서정민, "전시 하 일본기독교사" 한들 출판사 2009

      2 카미벳부 마사노부, "일본국헌법과 종교법인법에 본 일본의 종교정책⋅종교행정과 그 문제점" 종교문제연구소 (21) : 77-102, 2011

      3 赤澤史朗, "近代日本の思想動員と宗教統制" 校倉書房 1985

      4 日本基督敎團讚美歌委員會, "興亞讚美歌" 警醒社 1943

      5 鈴木浩二, "總發第九六號" 日本基督敎團 1942

      6 倉澤愛子, "日本点領下のジャワ農村の変容" 草思社 1991

      7 "日本基督敎新報, 1944, 8, 10"

      8 "日本基督敎新報, 1943, 6, 24"

      9 富田満, "日本基督敎團より大東亞共榮圈に在る基督敎徒に送る書翰" 日本基督敎團 1944

      10 "教団時報 第241號"

      11 "教団時報 第236號"

      12 "教団時報 第230號"

      13 川端純四郎, "教会と戦争" 新教出版社 2016

      14 "敎團時報 第221號"

      15 "敎團時報 第218號"

      16 "敎團時報 第210號"

      17 "敎團時報 第209號"

      18 "敎團時報 第208號"

      19 石川準吉, "国家総動員史資料編第4" 国家総動員史刊行会 1976

      20 原誠, "国家を越えられなかった教会-15年 戦争下のプロテスタント教会" 日本キリスト教団出版局 2005

      21 "各地に於ける天長節礼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87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