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시에 나타난 아이의 죽음과 그 표현방식에 대하여 작품 감상론의 차원에서 살펴볼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여말선초, 특히 李奎報, 徐居正, 成俔, 姜希孟의 작품을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97090
2021
-
이규보 ; 서거정 ; 성현 ; 강희맹 ; 도아시 ; 悼兒詩 ; 죽음 ; Lee Gyu-bo ; Seo Geo-jeong ; Sung-hyun ; Kang Hee-mang ; Do-a-shi ; poetry mourning the death of a child ; death
KCI등재
학술저널
7-58(5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시에 나타난 아이의 죽음과 그 표현방식에 대하여 작품 감상론의 차원에서 살펴볼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여말선초, 특히 李奎報, 徐居正, 成俔, 姜希孟의 작품을 대...
이 글은 한시에 나타난 아이의 죽음과 그 표현방식에 대하여 작품 감상론의 차원에서 살펴볼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여말선초, 특히 李奎報, 徐居正, 成俔, 姜希孟의 작품을 대상으로 검토했다. 이는 차후 한국 한시에 나타난 ‘悼兒詩’ 연구를 위한 방법적 모색에 해당한다. 본고는 주로 작품에 대한 성실한 감상을 통하여 ‘悼兒’의 시적 표현을 이해하고, 그 안에 내재된 작자의 마음과 그 표현방식을 차분하게 헤아려보았다. 도아시의 내용을 일별하면 크게 전기적 서술 속에 담긴 회고의 기억, 상심의 정조에 담긴 自悼的 위로, 요절의 운명 애상과 조물주 비판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규보의 <悼小女>는 조물주에 속은 듯한 허망함을 표현했고, 서거정의 <追悼小女>는 상심하는 나를 노래하였으며, 성현의 <悼女>는 노년의 自悼를 드러내었고, 강희맹의 <悼子篇>은 전기적 서술과 단계적 감정고양의 표현을 추구하였다. 특히 이규보와 성현은 개념적, 이상적 형상을 추구하였던 데 비하여 상대적으로 서거정, 강희맹은 감성적, 현실적 형상을 모색하였다. 이들의 주요한 표현내용 및 방식은 이후 한시에도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듯하다. 차후 전통사회 문인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하여, 전통사회 문인이 아이의 죽음을 표현하는 방식 사이의 차이와 반복을 구명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eath of a child and its expression method in the aspect of appreciation of works. This is a methodological search for the ‘research’ that appeared in the so-called Korean poetry. Before studying in earnest, I wan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eath of a child and its expression method in the aspect of appreciation of works. This is a methodological search for the ‘research’ that appeared in the so-called Korean poetry. Before studying in earnest, I want to understand the poetic expression of ‘Doa’ through sincere appreciation of the work, and to calmly count the author’s mind and expression method inherent in it.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works of Lee Gyu-bo, Seo Geo-jeong, Sung-hyun, and Kang Hee-mang. Lee Gyu-bo’s < mourning for a young daughter > expressed a false sense of lamentation, Seo Geo-jeong’s < mourning for a daughter > sang me with heartbreak, Sung-hyun’s < mourning for a daughter > revealed the old age’s ‘heart of mourning for herself’, and Kang Hee-mang’s < poetry mourning for a son > pursued the expression of biographical narrative and step-by-step emotion. In particular, Lee Gyu-bo and Sung-hyun pursued conceptual and ideal shapes, while Seo Geo-jeong and Kang Hee-mang sought emotional and realistic shapes. Through the study on the whole of the city of Doa in the Joseon Dynasty, I would like to review the typical and individual aspects of the expression method of Doashi.
전후 재건기의 여성 성공담과 젠더담론 -1950년대 대중잡지 『희망』을 중심으로
부산 방언의 어휘고저액센트 약화와 파열음의 발성 유형 변화의 상관성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