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RIZ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설계 = Design of Writing Lessons Using TRIZ to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ies in International Liberal Arts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70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에서 TRIZ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설계를 진행했다. 그간의 외국인 유학생의 글쓰기 논의는, 초기에 학문 목적이 중심이었던 반면에 차츰 글쓰기 수업의 본연적인 기능인 창의적·성찰적·비판적·논리적인 사고·표현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전개됐다. 이 글에서 TRIZ를 활용해서 외국인 유학생 학습자의 창의 역량 강화를 모색한 이유는, 바로 글쓰기 수업의 본연적인 기능을 최대한 활성화하고자 하는 의도에서였다. TRIZ는 학습자가 직면해 있는 문제상황에서 모순을 인지·일반화한 뒤에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해결안을 도출할 때에 일종의 비계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먼저 TRIZ의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과 그 활용 가능성을 살펴봤다. TRIZ의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은 ‘모순의 인지’ → ‘발명 원리 적용’ → ‘실제 해결안 도출’의 세 과정이었다. TRIZ는 어떤 문제가 발생됐을 때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을 해결한다는 점에서 창의적 글쓰기 수업 과정에서도 활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됐다. 그리고 TRIZ 활용 글쓰기 수업 과정의 모형을 제시했다. TRIZ의 주요 이론과 활용을 설명하는 준비 단계,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따르는 문제해결 단계, 또한 해결안을 구체화하고 개요를 짜고 글을 쓰는 정리 단계로 구분됐다. 마지막으로 TRIZ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들었다. 학습자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이동수단과 책이라는 고정관념과 실재 사이의 모순을 발견하고서, TRIZ를 활용해서 새로운 개념을 탐구했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에서 TRIZ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설계를 진행했다. 그간의 외국인 유학생의 글쓰기 논의는, 초기에 학문 목적이 중심이었던 반면에 차츰 글쓰기 수업...

      지금까지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에서 TRIZ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설계를 진행했다. 그간의 외국인 유학생의 글쓰기 논의는, 초기에 학문 목적이 중심이었던 반면에 차츰 글쓰기 수업의 본연적인 기능인 창의적·성찰적·비판적·논리적인 사고·표현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전개됐다. 이 글에서 TRIZ를 활용해서 외국인 유학생 학습자의 창의 역량 강화를 모색한 이유는, 바로 글쓰기 수업의 본연적인 기능을 최대한 활성화하고자 하는 의도에서였다. TRIZ는 학습자가 직면해 있는 문제상황에서 모순을 인지·일반화한 뒤에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해결안을 도출할 때에 일종의 비계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먼저 TRIZ의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과 그 활용 가능성을 살펴봤다. TRIZ의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은 ‘모순의 인지’ → ‘발명 원리 적용’ → ‘실제 해결안 도출’의 세 과정이었다. TRIZ는 어떤 문제가 발생됐을 때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을 해결한다는 점에서 창의적 글쓰기 수업 과정에서도 활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됐다. 그리고 TRIZ 활용 글쓰기 수업 과정의 모형을 제시했다. TRIZ의 주요 이론과 활용을 설명하는 준비 단계, 표준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따르는 문제해결 단계, 또한 해결안을 구체화하고 개요를 짜고 글을 쓰는 정리 단계로 구분됐다. 마지막으로 TRIZ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들었다. 학습자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이동수단과 책이라는 고정관념과 실재 사이의 모순을 발견하고서, TRIZ를 활용해서 새로운 개념을 탐구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designed a writing class using TRIZ to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his article seeks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of foreign student learners. The reason is to maximiz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writing class. TRIZ provides a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 for the contradictions facing to learners. The learner can refer to this solution to derive an actual solution.
      Firstly, we looked at TRIZ’s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 There were three processes: ‘Awareness of Contradiction’ → ‘Application of Invention and Separation Principle ’ → ‘Developing Actual Solution ’ . In addition, a model of the writing course using TRIZ was presented. There are preparation steps explaining the main theories and uses of TRIZ. There are troubleshooting steps that follow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s. There are steps to refine and outline the solution. Lastly, I gave an example of an international student writing class using TRIZ.
      Writing lessons using TRIZ has become a great way to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RIZ, a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 helped foreign students with creative thinking.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designed a writing class using TRIZ to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his article seeks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of foreign student learners. The reason is to maximize the origin...

      In this paper, we designed a writing class using TRIZ to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his article seeks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of foreign student learners. The reason is to maximiz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writing class. TRIZ provides a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 for the contradictions facing to learners. The learner can refer to this solution to derive an actual solution.
      Firstly, we looked at TRIZ’s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 There were three processes: ‘Awareness of Contradiction’ → ‘Application of Invention and Separation Principle ’ → ‘Developing Actual Solution ’ . In addition, a model of the writing course using TRIZ was presented. There are preparation steps explaining the main theories and uses of TRIZ. There are troubleshooting steps that follow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s. There are steps to refine and outline the solution. Lastly, I gave an example of an international student writing class using TRIZ.
      Writing lessons using TRIZ has become a great way to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RIZ, a standard problem-solving method, helped foreign students with creative think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정인,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이 고등학교 학생의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847-857, 2017

      2 송경진,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3 양혜진, "창의역량 증진 대학 강의실 모델 개발" 숭실대대학원 2017

      4 김효,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인피니티북스 2009

      5 김강원, "이미지 리터러시를 활용한 자기소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135-171, 2019

      6 원해영, "외국인유학생을 위한교양 글쓰기수업의 현황과 과제" 우리말학회 (55) : 281-306, 2018

      7 박현진,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바꿔 쓰기’와 ‘요약하기’ 교육 효과 비교" 외국어교육연구소 32 (32): 209-239, 2018

      8 박기영,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글쓰기에 대한 일고찰 -단락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103-126, 2008

      9 이지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재 연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2018

      10 이경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 - ‘창의적 사고 능력 계발’의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 : 49-85, 2017

      1 권정인,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이 고등학교 학생의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847-857, 2017

      2 송경진,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3 양혜진, "창의역량 증진 대학 강의실 모델 개발" 숭실대대학원 2017

      4 김효,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인피니티북스 2009

      5 김강원, "이미지 리터러시를 활용한 자기소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135-171, 2019

      6 원해영, "외국인유학생을 위한교양 글쓰기수업의 현황과 과제" 우리말학회 (55) : 281-306, 2018

      7 박현진,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바꿔 쓰기’와 ‘요약하기’ 교육 효과 비교" 외국어교육연구소 32 (32): 209-239, 2018

      8 박기영,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글쓰기에 대한 일고찰 -단락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103-126, 2008

      9 이지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재 연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2018

      10 이경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 - ‘창의적 사고 능력 계발’의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 : 49-85, 2017

      11 김진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활용 방안" 한국 리터러시 학회 (18) : 247-272, 2016

      12 이소현,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한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자아성찰 경험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76) : 127-159, 2018

      13 장향실, "외국인 대학생의 문단쓰기 실태 및 문단쓰기 능력 신장 방안" 우리어문학회 (38) : 361-381, 2010

      14 신윤경, "외국인 대학생의 ‘성찰 글쓰기’ 과목 개설을 위한 연구 - ‘자아 정체성’과 ‘문화 적응 스트레스’, ‘한국어 능력’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 (11): 147-169, 2015

      15 박영기,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자기표현적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인 글쓰기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8 (8): 339-372, 2015

      16 양태영,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교양 과정 글쓰기 교재 개발 및 효과 검증-<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기초>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35-458, 2018

      17 김병재, "알기 쉬운 트리즈" 인터비젼 2005

      18 김호, "실용트리즈의 창의성 과학" 두양사 2011

      19 황보현, "시 창작 교육에서의 트리즈(TRIZ, 원리 활용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2014

      20 김효, "생각의 창의성 TRIZ" 지혜 2004

      21 김윤경, "문학작품을 활용한 외국인 글쓰기 지도 사례"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569-590, 2019

      22 Illich, Ivan, "녹색평론선집1" 녹색평론사 1993

      23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외국인을 위한 글쓰기 교재 편찬위원회, "나를 위한 글쓰기" ㈜글항아리 2012

      24 최일호, "고정관념의 작용기제" 한국학술정보 2006

      25 조현희, "고정관념과 편견의 근원을 찾아서: 예비교사들의 문화적비판의식 발달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51-487, 2017

      26 정미진, "개념 은유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교양 글쓰기 수업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6) : 507-532, 2011

      27 김선효, "學問目的 韓國語의 글쓰기 現況과 方向性 -大學 敎養 必須科目의 特殊 學問目的 글쓰기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431-455, 2012

      28 Sensoy, O., "Is everyone really equal?: An introduction to key concepts in social justice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2012

      29 Smith P. I., "Instructional design" Macmillan Publishing Co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87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