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100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당귀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 항산화 지수, 아질산염 소거능,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일당귀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n-hexane 분획이 39 ㎕/㎖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ncimat로 측정한 항산화 지수도 분획 중 n-hexane 분획이 1.7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모든 pH에서 n-hexane 분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변화에 따른 각 분획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는 n-hexane 분획이 87.7%로 가장 높았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의 억제율보다는 낮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과산화물가로 측정한 결과도 n-hexane의 항산화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ethylacetate, chloroform, n-butanol, water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일당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일당귀 추출물의 in vitro 에서 항산화효능의 우수함을 통해 일당귀의 천연항산화제로서 개발 및 활용성을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당귀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 항산화 지수, 아질산염 소거능, linoleic acid에 대한 항...

      본 연구는 일당귀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 항산화 지수, 아질산염 소거능,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일당귀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n-hexane 분획이 39 ㎕/㎖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ncimat로 측정한 항산화 지수도 분획 중 n-hexane 분획이 1.7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모든 pH에서 n-hexane 분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변화에 따른 각 분획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는 n-hexane 분획이 87.7%로 가장 높았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의 억제율보다는 낮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과산화물가로 측정한 결과도 n-hexane의 항산화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ethylacetate, chloroform, n-butanol, water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일당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일당귀 추출물의 in vitro 에서 항산화효능의 우수함을 통해 일당귀의 천연항산화제로서 개발 및 활용성을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80% ethanol extracts from Angelica acutiloba Kitagawa (A. acutiloba Kitagawa) in vitro. The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subsequently by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and wate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fractions were examined by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generation, Rancimat test,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peroxide value (POV) in linoleic acid in comparison with the commercial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tioxidant activities of n-hexane fraction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ethanol extract were the highest among fractions and were a little less than that of BH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showed the most remarkable effect at pH 1.2.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s of A. acutiloba Kitagawa can be used in natural antioxidant sourc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80% ethanol extracts from Angelica acutiloba Kitagawa (A. acutiloba Kitagawa) in vitro. The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subsequently by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80% ethanol extracts from Angelica acutiloba Kitagawa (A. acutiloba Kitagawa) in vitro. The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subsequently by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and wate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fractions were examined by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generation, Rancimat test,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peroxide value (POV) in linoleic acid in comparison with the commercial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tioxidant activities of n-hexane fraction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ethanol extract were the highest among fractions and were a little less than that of BH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showed the most remarkable effect at pH 1.2.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s of A. acutiloba Kitagawa can be used in natural antioxidant sour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영,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33-338, 2004

      2 차배천, "토복령의 항산화 활성" 한국생약학회 36 (36): 195-200, 2005

      3 강순아, "참당귀(Angelica gigas)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112-1118, 2004

      4 서권일, "참당귀 Methanol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655-661, 2007

      5 이상옥, "차가버섯의 온도단계별 물추출물의 항산화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39-147, 2005

      6 민성희, "제천산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36-341, 2007

      7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8 이인선, "식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혈액암세포에 대한 저해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80-85, 2005

      9 주광지, "식물섬유를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의 산화 안정성과 향기 성분" 한국식품과학회 34 (34): 984-991, 2002

      10 임진아, "대나무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06-310, 2004

      1 김은영,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33-338, 2004

      2 차배천, "토복령의 항산화 활성" 한국생약학회 36 (36): 195-200, 2005

      3 강순아, "참당귀(Angelica gigas)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112-1118, 2004

      4 서권일, "참당귀 Methanol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655-661, 2007

      5 이상옥, "차가버섯의 온도단계별 물추출물의 항산화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39-147, 2005

      6 민성희, "제천산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36-341, 2007

      7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8 이인선, "식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혈액암세포에 대한 저해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80-85, 2005

      9 주광지, "식물섬유를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의 산화 안정성과 향기 성분" 한국식품과학회 34 (34): 984-991, 2002

      10 임진아, "대나무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06-310, 2004

      11 윤경원, "당귀속 2종 식물의 항균활성" 한국자원식물학회 17 (17): 278-282, 2004

      12 Dakaki,K., "Whahanyakmoolhak" Namsadang 293-297, 1982

      13 Walker, E. A., "The role of phenols in catalysis of nitrosamine formation" 33 : 81-81, 1982

      14 Jung, G. T.,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32 : 928-935, 2000

      15 Kang, Y. H.,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27 : 978-984, 1995

      16 Choi, J. H., "Studies on the anti-aging action of Korean Ginseng" 17 : 506-515, 1985

      17 Yamada, H.,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a peptic polysaccharide from the roots of Angelica acutiloba" 56 : 182-186, 1990

      18 Ham, M. S., "Screening and comparison of active substances of Angelica gigas Nakai produced in Kangwon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produced in Japan" 24 : 624-629, 1996

      19 Folkow,B., "Physiological aspects of primary hypertension" 62 : 347-347, 1982

      20 Han,D.S., "Pharmacognosy" Myung Publishing Co. 201-203, 1988

      21 Paker, L., "Oxygen radicals in biological systems in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186-343, 1990

      22 Woo,W.S., "Natural products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4-15, 1997

      23 Ottolenghi,A., "Interaction of ascorbic acid and mitochondrial lipids" 79 : 355-461, 1959

      24 Kato, H., "I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5 : 1333-1335, 1987

      25 Lee, J. H., "Influence of some flavonoids on n-nitrosprolin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22 : 266-272, 1993

      26 Comporti,M., "Glutathione depletion agents and lipid peroxidation" 45 : 143-169, 1987

      27 Song, J. C.,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8 : 94-101, 2000

      28 Han,C.K., "Effects of Angelicae radix on anemic rabbit and content of decursin" Kyunghee University 1983

      29 Kim, H. S., "Effective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root and leaves a Angelica gigas Nakai" 22 : 957-965, 2006

      30 Hertog, M. G.,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an elderly study" 342 : 1007-1011, 1993

      31 Kim, J. M., "Comparative study of efficacy of Angelicae gigantis radix and Angelicae acutilobae radix extract on analgesic effects,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arthritis" 4 : 1-13, 2004

      32 Kim, H. K.,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27 : 80-85, 1995

      33 Blois,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26 : 1199-1200, 1958

      34 Kim, S. Y., "Antioxidant activities of selected oriental herb extracts" 71 : 633-640, 1994

      35 Namba,T., "Angelicae Radix in the encyclopedia of wakan-yaku (traditional sino-Japanese medicines) with color pictures" Hoikusha 58-61, 1993

      36 Yoon,C.H., "A toxonomic study on the genus Angelica L. in Korea and the adjacent regions" Korea University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