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60년대 학습자가 인식한 한국어교육 환경 연구 -개신교 선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s of 1950-60s Based on the Learners’ Perception –Focusing on Protestant Missiona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79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ng, Byoung Houn․Kang, Seung Hae. 2017.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s of 1950-60s Based on the Learners’ Perception –Focusing on Protestant Missionaries-. The Language and Culture 13-2: 1-26. This study is to present a vivid...

      Kang, Byoung Houn․Kang, Seung Hae. 2017.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s of 1950-60s Based on the Learners’ Perception –Focusing on Protestant Missionaries-. The Language and Culture 13-2: 1-26. This study is to present a vivid pictur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1950-60s, particularly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An in-depth interview was adapted as the research method. Since the major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during this period were Protestant missionaries from the USA, six former missionaries who participa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formal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were interviewed respectively. Among the participants, two of them were with the Korean Language School(KLS) in the 1950s and the remaining four with Yonsei Korean Language Institute(KLI) in the 1960s. The interviews revealed three major ag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during this period that had influenced the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 the missionary orientation programs in the USA,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the language committee of the various mission organizations in Korea. Firstly,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the above mentioned agents were elaborated to describe the ‘macro view’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Secondly, the features of the two domes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during this period were analyzed to present the ‘micro view’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Yonsei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대환, "해방 후의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한국어교육기관의 역사적 의미- Korean Language School(1949-1958)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9 (9): 173-191, 2013

      2 오대환, "해방 전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조선어교육에 관한 기록의 발굴"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77-194, 2011

      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한국어학당 50년사"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009

      4 장한님,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2015

      5 조항록, "한국어교육론1" 서울:한국문화사 2005

      6 조항록, "한국어교육 환경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53-277, 2008

      7 강승혜,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연구 - 하위 학문 영역 구축을 위한 귀납적 접근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37-60, 2003

      8 조항록,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연구 방법론 소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 (2): 265-281, 2005

      9 김은주, "한국어 교육의 학문적 위상 정립과 학문으로의 미래 조망"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26 : 33-77, 2001

      10 남기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회고와 전망"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26 : 1-9, 2001

      1 오대환, "해방 후의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한국어교육기관의 역사적 의미- Korean Language School(1949-1958)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9 (9): 173-191, 2013

      2 오대환, "해방 전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조선어교육에 관한 기록의 발굴"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77-194, 2011

      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한국어학당 50년사"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009

      4 장한님,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2015

      5 조항록, "한국어교육론1" 서울:한국문화사 2005

      6 조항록, "한국어교육 환경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53-277, 2008

      7 강승혜,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연구 - 하위 학문 영역 구축을 위한 귀납적 접근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37-60, 2003

      8 조항록,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연구 방법론 소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 (2): 265-281, 2005

      9 김은주, "한국어 교육의 학문적 위상 정립과 학문으로의 미래 조망"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26 : 33-77, 2001

      10 남기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회고와 전망"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26 : 1-9, 2001

      11 김영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문적 정체성 탐구-" 언어정보연구원 31 : 5-22, 2013

      12 백봉자,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본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과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26 : 11-31, 2001

      13 Korea Mission Archive,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PHS)"

      14 Clark, Allen D., "Korean Grammar for Language Students"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1965

      15 Sauer, Charles A, "How to Study the Korean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School 1957

      16 Korea Mission Archive, "General Commission on Archives and History(GCAH)" Drew University

      17 강병헌, "1950년대 국내 한국어교육에서 개신교 선교단체의 역할에 대한 사적 고찰 - 한국어교육 주체의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5 : 1-26,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5 1.159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