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보형, "한국전통음악논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2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3 최혜진, "판소리의 탄생과 중고제" 문화in 2020
4 서대석, "판소리의 전승론적 연구-서사무가와의 대비에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 (3): 122-142, 1979
5 배연형, "판소리의 고제・중고제・신제" 판소리학회 (55) : 103-160, 2023
6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6
7 박황, "판소리 이백년사" 사사연 2001
8 최혜진, "판소리 명창의 비조 최선달 연구" 판소리학회 (45) : 373-401, 2018
9 서대석, "판소리 기원론의 재검토" 한국고전문학회 16 : 35-58, 1999
10 신은주, "충청지역 판소리 문화의 역사와 전승양상" 한국음악사학회 (40) : 367-410, 2008
1 이보형, "한국전통음악논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2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3 최혜진, "판소리의 탄생과 중고제" 문화in 2020
4 서대석, "판소리의 전승론적 연구-서사무가와의 대비에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 (3): 122-142, 1979
5 배연형, "판소리의 고제・중고제・신제" 판소리학회 (55) : 103-160, 2023
6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6
7 박황, "판소리 이백년사" 사사연 2001
8 최혜진, "판소리 명창의 비조 최선달 연구" 판소리학회 (45) : 373-401, 2018
9 서대석, "판소리 기원론의 재검토" 한국고전문학회 16 : 35-58, 1999
10 신은주, "충청지역 판소리 문화의 역사와 전승양상" 한국음악사학회 (40) : 367-410, 2008
11 권선정, "충남학의 이해" 충청남도 2014
12 김동욱, "증보 <춘향전> 연구" 연세대출판부 1976
13 최혜진, "중고제(中古制) 김성옥 명창과 강경의 지역적 위상" 판소리학회 (53) : 445-486, 2022
14 손태도, "조선시대의 ‘광대’와 ‘판소리’에 대한 몇 가지 논의들" 판소리학회 (36) : 211-266, 2013
15 심재덕, "조선소리 내력기"
16 신웅순, "신광수의 ‘관산융마’"
17 신광수, "석북시집 자하시집" 명문당 2002
18 전지영, "무형유산의 지역적 특성 문제-충남지역 전승음악 중심-" 한국음악사학회 (64) : 269-292, 2020
19 유진한, "국역 만화집" 학자원 2013
20 김준기, "국역 대록지(大麓誌)" 아우내문화원 2000
21 조재삼, "교감국역 松南雜識" 한국학술진흥재단 2008
22 신광수, "관서악부" 아카넷 2018
23 김종철, "게우사" 판소리학회 5 : 212-253, 1994
24 성기련, "18세기 판소리 음악문화 연구" 한국국악학회 34 : 165-182,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