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근무환경이 재난대응역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Police Officials on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5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재난 상황에서 위기관리 국가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느냐는 물음에 우리 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찰은 전통적으로 법집행, 범죄예방 및 대응, 그리고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

      재난 상황에서 위기관리 국가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느냐는 물음에 우리 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찰은 전통적으로 법집행, 범죄예방 및 대응, 그리고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이러한 본연의 역할 이외에 국가적 재난 및 위기사태 시 지원기관으로서 국가 및 지자체 등을 지원하는 역할도 동시에 담당해야 한다. 이러한 경찰관의 재난 대응 능력은 근무환경의 개선으로 인해 증대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실증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 위하여 경찰청 및 전국의 시ㆍ도경찰청, 경찰서 그리고 지구대와 파출소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242매가 회수되었다.
      연구 결과, 경찰관들의 경찰관의 근무환경은 그들의 재난 대응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경찰관들의 재난대응과 관련 있는 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 후속 연구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cerns in our society are growing when asked if the crisis management state’s system is working properly in a disaster situation. The police traditionally play a role in law enforcement, crime prevention and response, and providing security servic...

      Concerns in our society are growing when asked if the crisis management state’s system is working properly in a disaster situation. The police traditionally play a role in law enforcement, crime prevention and response, and providing security services, and should also play a role in supporting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s a support organization in the event of a national disaster and crisis. This police officer's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s can be increased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is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Police Agenc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police offices, police stations, and police officials working in patrol stations and police boxes across the country, and 1,242 copies were finally recove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of police offic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ir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police officers will evaluate their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s and present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vitalizing follow up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동균, "한국 경찰의 위기관리능력 제고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 (18) : 179-216, 2004

      2 조영칠, "재난현장에서 소방공무원의 대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3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상황분석 결과 및 중점관리 대상 재난안전사고" 2020

      4 이성용, "재난기관으로서의 경찰조직에대한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 25 (25): 133-154, 2016

      5 채진, "재난관리 효과성의 영향요인 분석 - 소방행정 조직․관리 요인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5 (5): 40-51, 2009

      6 조종묵, "재난관리 참여기관별 협력요인과 재난관리 효과성간의 관계" 2 (2): 7-10, 2010

      7 백진숙, "위기관리 담당자들의 업무 만족도 및 능력향상 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47-64, 2012

      8 오경진, "소방행정체제의 재난대응역량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7

      9 정병수, "경찰학 분야 연구경향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77-190, 2014

      10 임창호, "경찰의 포괄적 재난관리체계에의 영향요인" 치안정책연구소 31 (31): 151-198, 2017

      1 박동균, "한국 경찰의 위기관리능력 제고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 (18) : 179-216, 2004

      2 조영칠, "재난현장에서 소방공무원의 대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3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상황분석 결과 및 중점관리 대상 재난안전사고" 2020

      4 이성용, "재난기관으로서의 경찰조직에대한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 25 (25): 133-154, 2016

      5 채진, "재난관리 효과성의 영향요인 분석 - 소방행정 조직․관리 요인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5 (5): 40-51, 2009

      6 조종묵, "재난관리 참여기관별 협력요인과 재난관리 효과성간의 관계" 2 (2): 7-10, 2010

      7 백진숙, "위기관리 담당자들의 업무 만족도 및 능력향상 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47-64, 2012

      8 오경진, "소방행정체제의 재난대응역량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7

      9 정병수, "경찰학 분야 연구경향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77-190, 2014

      10 임창호, "경찰의 포괄적 재난관리체계에의 영향요인" 치안정책연구소 31 (31): 151-198, 2017

      11 전용태, "경찰의 재난위기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11 (11): 556-569, 2015

      12 김병구, "경찰공무원의 재난대응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1

      13 김순석, "경찰 재난관리 활동의 실효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5 (25): 37-61, 2016

      14 이상훈, "경찰 위기관리 역량 제고에 대한 연구 : 접경지역 통합방위체계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7

      15 Zimmer, A, "Winds of Destruction: Disaster Response"

      16 Farber, D, "This Isn’t Representative of Our Department: Lessons from Hurricane Katrina for Police Disaster Response Planning" 2006

      17 Hayat, P, "Role of Police in Disaster Management: An Overview"

      18 Clutterbuck, R, "International Crisis and Conflict" Palgrave Macmillan 1993

      19 김열수, "21세기 국가위기관리체제론" 오름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0.97 1.211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