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환경규제와 기관투자가의 역할에 관한 법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2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vestment patterns of capital markets shape future development and, thus, consequential environmental pressures, it is vital to reform capital market processes to promot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long-term investment. These reforms may be a highly efficient and effective means for deterring un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could result in enterprises, whose activities meet requirements of sustainability, being valued more highly by markets. There is uncertainty, however, regarding the viability of harnessing investment systems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me research suggests that environmentally responsible investment may yield a lower financial return or that institutional investors may lack sufficient incentives and means to influence corporate environmental behavior. Conversely, there are indications that market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information regarding businesses' environmental activities as evidenced by the movement for ethical investment.
      In recent days, there has been a flood of institutional savings as people make private provisions for old age in the face of declining state welfare entitlements. Therefore institutional investors increasingly dominate capital markets. Since sustainable development emphasizes maintenance of natural and human capital for future generations, the role of capital markets is plausibly of central underlying relevance to sustainability strategies. Although there is obviously a difference between financial capital and the broader notion of capital in sustainable development, financial capital is relevant, since it enables major investments to occur, such as technological and product innovations, which invariably have environmental effects of some kind.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frameworks of capital investment systems are crucial to the building of sustainable productive capacities.
      Information regarding corpor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is emerging as a salient factor in investment calculations. When new information about a company's increased future production costs or reduced revenues arise from environmental regulation changes, investors may revise their expectations. A shift in market values may create strong incentives for investment in environmental care since losses of market value, the "reputational penalty," may be larger than concomitant regulatory sanctions. Changes in share values may, thus, reflect estimates of changes in the net present value of expected profits. Evidence of good environmental performance may indicate to capital markets a superior ability to generate costs savings and improve revenues, whilst evidence of pollution violations and prosecution may result in markets down-grading a profits forecast.
      Existing research suggests that environmental liabilities are regarded as more salient to market valuations than "beyond compliance" efforts. Company environmental policies and procedures also tend to be less useful to financial analysts than environmental information translated in terms of its impact on firm earnings and profitability. Current research suggests a correlation between sound environmental practices and improved market value. Investors infer that because of poor environmental performance a culpable firm will incur various costs that will diminish its profitability. The increased price of capital, thus, provides a mechanism for articulating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sts of corporate risk-generating behavior. Nevertheless, despite more investor awareness of the salience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to market valuation, no model has yet been formulated that systematically char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vironmental practices and market value. The role of institutional investors will be crucial to the future response of capital markets to environmental performance.
      번역하기

      The investment patterns of capital markets shape future development and, thus, consequential environmental pressures, it is vital to reform capital market processes to promot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long-term investment. These reforms may be a h...

      The investment patterns of capital markets shape future development and, thus, consequential environmental pressures, it is vital to reform capital market processes to promot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long-term investment. These reforms may be a highly efficient and effective means for deterring un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could result in enterprises, whose activities meet requirements of sustainability, being valued more highly by markets. There is uncertainty, however, regarding the viability of harnessing investment systems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me research suggests that environmentally responsible investment may yield a lower financial return or that institutional investors may lack sufficient incentives and means to influence corporate environmental behavior. Conversely, there are indications that market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information regarding businesses' environmental activities as evidenced by the movement for ethical investment.
      In recent days, there has been a flood of institutional savings as people make private provisions for old age in the face of declining state welfare entitlements. Therefore institutional investors increasingly dominate capital markets. Since sustainable development emphasizes maintenance of natural and human capital for future generations, the role of capital markets is plausibly of central underlying relevance to sustainability strategies. Although there is obviously a difference between financial capital and the broader notion of capital in sustainable development, financial capital is relevant, since it enables major investments to occur, such as technological and product innovations, which invariably have environmental effects of some kind.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frameworks of capital investment systems are crucial to the building of sustainable productive capacities.
      Information regarding corpor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is emerging as a salient factor in investment calculations. When new information about a company's increased future production costs or reduced revenues arise from environmental regulation changes, investors may revise their expectations. A shift in market values may create strong incentives for investment in environmental care since losses of market value, the "reputational penalty," may be larger than concomitant regulatory sanctions. Changes in share values may, thus, reflect estimates of changes in the net present value of expected profits. Evidence of good environmental performance may indicate to capital markets a superior ability to generate costs savings and improve revenues, whilst evidence of pollution violations and prosecution may result in markets down-grading a profits forecast.
      Existing research suggests that environmental liabilities are regarded as more salient to market valuations than "beyond compliance" efforts. Company environmental policies and procedures also tend to be less useful to financial analysts than environmental information translated in terms of its impact on firm earnings and profitability. Current research suggests a correlation between sound environmental practices and improved market value. Investors infer that because of poor environmental performance a culpable firm will incur various costs that will diminish its profitability. The increased price of capital, thus, provides a mechanism for articulating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sts of corporate risk-generating behavior. Nevertheless, despite more investor awareness of the salience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to market valuation, no model has yet been formulated that systematically char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vironmental practices and market value. The role of institutional investors will be crucial to the future response of capital markets to environmental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속가능 개발의 개념은 환경법의 일차적인 목표로 자리잡고 있다. 지속가능의 원칙은 경제적 번영을 환경보전에 의존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목표는 한편으로 자연자원에 대한 무제한적인 경제개발과 다른 한편으로 모든 생명체는 건강한 생태계의 보전을 생존조건으로 한다고 하는 현실적으로 조화되기 어려운 필요의 조정․통합을 추구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의 근본적인 특징은 의사결정과정에 환경 및 경제 문제를 통합하는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통합은 생태학적인 관심을 정부와 시장의 의사결정과정에 깊숙이 결합시키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국가 복지가 쇠퇴함에 따라 노후생활을 위한 개인적 준비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각종 저축의 홍수가 일어나고 있다. 기관투자가들은 점차 자본시장을 지배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 기관투자가의 투자활동은 자본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기관투자가들이 그들의 의사결정과정에 환경적인 문제를 고려하도록 장려․촉진하는 경우에 환경규제의 효율성은 크게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각종의 인센티브와 정보 및 규제 메커니즘의 조합을 통하여 ‘시장을 통하여 일차적인 규제적 통제조치를 전달하고 확대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정부는 기관투자가들이 환경정책을 지지하도록 결집할 수 있다. 환경문제 전문가들은 ‘환경법의 전통적인 통제기술이 한계에 도달함으로 인하여’ 기관투자가 및 은행과 같은 기타의 금융기관들에 대하여 흥미를 가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기관투자가들은 환경문제에 관하여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그들의 역할은전통적인 환경통제를 대신하기보다는 보완하고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점차 국가와 사적 부문간의 새로운 규제협력의 가능성과 지속가능한 개발의 동기를 유발하고 이를 위하여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경제적 수단의 이용문제에 대하여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가는 단지 시장에 대하여 반응하기 보다는 기업들에게 환경문제에 대하여 보다 더 적극적으로 지도하고 재교육을 시키는 변화를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저하에 의하여 부과되는 문제는 환경세나 거래가능한 배출권 등과 같은 경제적 수단의 인센티브 효과를 이용함과 동시에 특히 종종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시장조직의 행위를 목표로 하는 새로운 규제방식을 요구한다. 개별적인 기업 및 산업부문의 환경활동에 중추적인 영향을 끼치는 대규모의 시장조직에 환경책임을 부과시킴으로써 효과적인 환경규제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환경규제에 있어서 기관투자가의 역할은 새로운 환경규제체계의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파괴적 생활방식의 확산에 따라 환경위기가 다가오고 있지만 만일 자본주의 시스템의 틀 내에서 모든 금융활동에 대해 환경적․사회적․윤리적 위험과 책임을 고려하게 한다면 사회는 훨씬 건강한 모습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서구에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위험이 자본시장과 기업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펀드상품들도 개발되어 왔으며, 사회책임투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확신이 어느 정도 뿌리를 내리고 있다. 한국 금융시장에서 지속가능한 투자를 추구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기업, 지속가능한 환경, 지속가능한 사회
      번역하기

      지속가능 개발의 개념은 환경법의 일차적인 목표로 자리잡고 있다. 지속가능의 원칙은 경제적 번영을 환경보전에 의존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목표는 한편으로 자연자원...

      지속가능 개발의 개념은 환경법의 일차적인 목표로 자리잡고 있다. 지속가능의 원칙은 경제적 번영을 환경보전에 의존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목표는 한편으로 자연자원에 대한 무제한적인 경제개발과 다른 한편으로 모든 생명체는 건강한 생태계의 보전을 생존조건으로 한다고 하는 현실적으로 조화되기 어려운 필요의 조정․통합을 추구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의 근본적인 특징은 의사결정과정에 환경 및 경제 문제를 통합하는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통합은 생태학적인 관심을 정부와 시장의 의사결정과정에 깊숙이 결합시키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국가 복지가 쇠퇴함에 따라 노후생활을 위한 개인적 준비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각종 저축의 홍수가 일어나고 있다. 기관투자가들은 점차 자본시장을 지배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 기관투자가의 투자활동은 자본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기관투자가들이 그들의 의사결정과정에 환경적인 문제를 고려하도록 장려․촉진하는 경우에 환경규제의 효율성은 크게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각종의 인센티브와 정보 및 규제 메커니즘의 조합을 통하여 ‘시장을 통하여 일차적인 규제적 통제조치를 전달하고 확대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정부는 기관투자가들이 환경정책을 지지하도록 결집할 수 있다. 환경문제 전문가들은 ‘환경법의 전통적인 통제기술이 한계에 도달함으로 인하여’ 기관투자가 및 은행과 같은 기타의 금융기관들에 대하여 흥미를 가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기관투자가들은 환경문제에 관하여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그들의 역할은전통적인 환경통제를 대신하기보다는 보완하고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점차 국가와 사적 부문간의 새로운 규제협력의 가능성과 지속가능한 개발의 동기를 유발하고 이를 위하여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경제적 수단의 이용문제에 대하여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가는 단지 시장에 대하여 반응하기 보다는 기업들에게 환경문제에 대하여 보다 더 적극적으로 지도하고 재교육을 시키는 변화를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저하에 의하여 부과되는 문제는 환경세나 거래가능한 배출권 등과 같은 경제적 수단의 인센티브 효과를 이용함과 동시에 특히 종종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시장조직의 행위를 목표로 하는 새로운 규제방식을 요구한다. 개별적인 기업 및 산업부문의 환경활동에 중추적인 영향을 끼치는 대규모의 시장조직에 환경책임을 부과시킴으로써 효과적인 환경규제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환경규제에 있어서 기관투자가의 역할은 새로운 환경규제체계의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파괴적 생활방식의 확산에 따라 환경위기가 다가오고 있지만 만일 자본주의 시스템의 틀 내에서 모든 금융활동에 대해 환경적․사회적․윤리적 위험과 책임을 고려하게 한다면 사회는 훨씬 건강한 모습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서구에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위험이 자본시장과 기업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펀드상품들도 개발되어 왔으며, 사회책임투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확신이 어느 정도 뿌리를 내리고 있다. 한국 금융시장에서 지속가능한 투자를 추구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기업, 지속가능한 환경, 지속가능한 사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