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한 동반과 화합을 위한 통일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담론 모색 = Focusing Reconciliation &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 New Unification Discourse &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26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formulating faithful policies, It is important to get desirable and supportive discourses within the society. But for unification policies, Koreans seldom have them. There is old-fashioned consciousness among them, but new one, too. So paradoxes and conflicts persist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in the section of education.
      The undesirable discourses of unification, anti-communism, anti-unification, and unification bonanza, are not only logically inconsistent but also practically ineffective.
      New unification discourses in the society and education section, 'three hwa(和) - reconciliation(和解), harmony(調和), republican participation(共和) would more effective and desirable for more faithful unification policies.
      번역하기

      For formulating faithful policies, It is important to get desirable and supportive discourses within the society. But for unification policies, Koreans seldom have them. There is old-fashioned consciousness among them, but new one, too. So paradoxes a...

      For formulating faithful policies, It is important to get desirable and supportive discourses within the society. But for unification policies, Koreans seldom have them. There is old-fashioned consciousness among them, but new one, too. So paradoxes and conflicts persist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in the section of education.
      The undesirable discourses of unification, anti-communism, anti-unification, and unification bonanza, are not only logically inconsistent but also practically ineffective.
      New unification discourses in the society and education section, 'three hwa(和) - reconciliation(和解), harmony(調和), republican participation(共和) would more effective and desirable for more faithful unification polic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담론의 지형은 당대 현안의 처리 방향 및 방식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바람직한 통일 정책은 그에 적합한 통일 담론을 배경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통일 담론은 그에 미흡하며, 그것은 구세대의 통일 및 북한 관련 의식과 새로 형성된 의식이 교육 내용과 원칙에 모순되게끔 배열, 교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비효과적 통일 담론은 승공통일론, 통일부담론, 통일대박론 등으로 나눠볼 수 있으며, 각각 합목적적 부당성과 교육현장에서의 비효과성을 지닌다. 이에 대안적 통일 담론의 형성을 위하여 화해, 조화, 공화라는 관념을 중심으로 하는 ‘삼화(三和)의 통일담론’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사회적 담론의 지형은 당대 현안의 처리 방향 및 방식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바람직한 통일 정책은 그에 적합한 통일 담론을 배경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통일 ...

      사회적 담론의 지형은 당대 현안의 처리 방향 및 방식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바람직한 통일 정책은 그에 적합한 통일 담론을 배경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통일 담론은 그에 미흡하며, 그것은 구세대의 통일 및 북한 관련 의식과 새로 형성된 의식이 교육 내용과 원칙에 모순되게끔 배열, 교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비효과적 통일 담론은 승공통일론, 통일부담론, 통일대박론 등으로 나눠볼 수 있으며, 각각 합목적적 부당성과 교육현장에서의 비효과성을 지닌다. 이에 대안적 통일 담론의 형성을 위하여 화해, 조화, 공화라는 관념을 중심으로 하는 ‘삼화(三和)의 통일담론’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민철, "한반도 통일과 민족정체성 문제: 1990년대이후 남북 철학계의 민족ㆍ민족주의 이해"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109-144, 2016

      2 이병수, "통일의 당위성 담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355-388, 2010

      3 변종헌, "통일대박론의 비판적 논의" 한국윤리학회 1 (1): 123-150, 2014

      4 김병연, "통일대박 논의의 경제적 검토" (1) : 4-8, 2014

      5 함규진,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초등학교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7 (7): 83-105, 2015

      6 변종헌,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9) : 63-94, 2012

      7 장영순,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 반영된 통일교육정책에 관한 분석 : 국민의 정부 통일정책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이하나, "유신체제 성립기 ‘반공’ 논리의 변화와 냉전의 감각" 역사문제연구소 18 (18): 507-554, 2014

      9 길은배, "외국 민주시민교육의 통일교육적 함의" 6 : 248-274, 2003

      10 김동춘, "분단이 낳은 한국의 국가폭력: 일상화된 내전 상태에서의 ‘타자’에 대한 폭력행사"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3) : 110-141, 2013

      1 박민철, "한반도 통일과 민족정체성 문제: 1990년대이후 남북 철학계의 민족ㆍ민족주의 이해"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109-144, 2016

      2 이병수, "통일의 당위성 담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355-388, 2010

      3 변종헌, "통일대박론의 비판적 논의" 한국윤리학회 1 (1): 123-150, 2014

      4 김병연, "통일대박 논의의 경제적 검토" (1) : 4-8, 2014

      5 함규진,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초등학교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7 (7): 83-105, 2015

      6 변종헌,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9) : 63-94, 2012

      7 장영순,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 반영된 통일교육정책에 관한 분석 : 국민의 정부 통일정책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이하나, "유신체제 성립기 ‘반공’ 논리의 변화와 냉전의 감각" 역사문제연구소 18 (18): 507-554, 2014

      9 길은배, "외국 민주시민교육의 통일교육적 함의" 6 : 248-274, 2003

      10 김동춘, "분단이 낳은 한국의 국가폭력: 일상화된 내전 상태에서의 ‘타자’에 대한 폭력행사"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3) : 110-141, 2013

      11 전대원, "보수·진보의 자유민주주의 논쟁,본질은"

      12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13 교육부, "도덕 5-6학년군 교과서" 천재교육 2015

      14 전형권, "다문화 시대 한국 학교 통일교육의 성찰과 이념적 지평: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융합모형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9 (19): 239-262, 2014

      15 이상호, "남북통일의 경제적 효과 :통일의 순편익과 통일방식의상관성을 중심으로" (19) : 37-45, 2014

      16 Dewey,John, "Democracy and Education" Simon&Brown 2012

      17 현대경제연구원 동북아 ·통일연구실, "2050,통일 한국의 경제적 미래" (1) : 60-106, 2014

      18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7통일문제 이해" 통일교육원 2017

      19 통일평화연구원, "2016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20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6통일교육지침서" 통일교육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