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민철, "한반도 통일과 민족정체성 문제: 1990년대이후 남북 철학계의 민족ㆍ민족주의 이해"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109-144, 2016
2 이병수, "통일의 당위성 담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355-388, 2010
3 변종헌, "통일대박론의 비판적 논의" 한국윤리학회 1 (1): 123-150, 2014
4 김병연, "통일대박 논의의 경제적 검토" (1) : 4-8, 2014
5 함규진,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초등학교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7 (7): 83-105, 2015
6 변종헌,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9) : 63-94, 2012
7 장영순,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 반영된 통일교육정책에 관한 분석 : 국민의 정부 통일정책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이하나, "유신체제 성립기 ‘반공’ 논리의 변화와 냉전의 감각" 역사문제연구소 18 (18): 507-554, 2014
9 길은배, "외국 민주시민교육의 통일교육적 함의" 6 : 248-274, 2003
10 김동춘, "분단이 낳은 한국의 국가폭력: 일상화된 내전 상태에서의 ‘타자’에 대한 폭력행사"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3) : 110-141, 2013
1 박민철, "한반도 통일과 민족정체성 문제: 1990년대이후 남북 철학계의 민족ㆍ민족주의 이해"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7 (27): 109-144, 2016
2 이병수, "통일의 당위성 담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355-388, 2010
3 변종헌, "통일대박론의 비판적 논의" 한국윤리학회 1 (1): 123-150, 2014
4 김병연, "통일대박 논의의 경제적 검토" (1) : 4-8, 2014
5 함규진,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초등학교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7 (7): 83-105, 2015
6 변종헌,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9) : 63-94, 2012
7 장영순,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 반영된 통일교육정책에 관한 분석 : 국민의 정부 통일정책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이하나, "유신체제 성립기 ‘반공’ 논리의 변화와 냉전의 감각" 역사문제연구소 18 (18): 507-554, 2014
9 길은배, "외국 민주시민교육의 통일교육적 함의" 6 : 248-274, 2003
10 김동춘, "분단이 낳은 한국의 국가폭력: 일상화된 내전 상태에서의 ‘타자’에 대한 폭력행사"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3) : 110-141, 2013
11 전대원, "보수·진보의 자유민주주의 논쟁,본질은"
12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13 교육부, "도덕 5-6학년군 교과서" 천재교육 2015
14 전형권, "다문화 시대 한국 학교 통일교육의 성찰과 이념적 지평: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융합모형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9 (19): 239-262, 2014
15 이상호, "남북통일의 경제적 효과 :통일의 순편익과 통일방식의상관성을 중심으로" (19) : 37-45, 2014
16 Dewey,John, "Democracy and Education" Simon&Brown 2012
17 현대경제연구원 동북아 ·통일연구실, "2050,통일 한국의 경제적 미래" (1) : 60-106, 2014
18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7통일문제 이해" 통일교육원 2017
19 통일평화연구원, "2016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20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6통일교육지침서" 통일교육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