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순수이성비판 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78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양 철학의 고전 <순수이성비판>을 번역한 책.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최근까지의 칸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는 방대한 연구 번역본으로, 800여 쪽의 원전 번역과 함께 각각 130여 쪽에 이르는 해제와 찾아보기로 구성되어 있다. 유한한 인식의 한계 내에서 위대함을 꿈꾸었던 계몽주의적 인간상을 그려낸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칸트 비판철학의 핵심을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출처 : 아카넷, http://www.acanet.co.kr/book/book_detail.php?book_id=129)
      번역하기

      서양 철학의 고전 <순수이성비판>을 번역한 책.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최근까지의 칸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는...

      서양 철학의 고전 <순수이성비판>을 번역한 책.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최근까지의 칸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는 방대한 연구 번역본으로, 800여 쪽의 원전 번역과 함께 각각 130여 쪽에 이르는 해제와 찾아보기로 구성되어 있다. 유한한 인식의 한계 내에서 위대함을 꿈꾸었던 계몽주의적 인간상을 그려낸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칸트 비판철학의 핵심을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출처 : 아카넷, http://www.acanet.co.kr/book/book_detail.php?book_id=129)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칸트 인식론에서의 형상적 종합의 의미와 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형상적 종합 개념이 선험적 대상인식의 가능성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고찰한 “순수이성비판”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번역하기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칸트 인식론에서의 형상적 종합의 의미와 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형상적 종합 개념이 선험적 대상인식...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칸트 인식론에서의 형상적 종합의 의미와 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형상적 종합 개념이 선험적 대상인식의 가능성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고찰한 “순수이성비판”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제2부 초월적 변증학 = 523
      서론 = 523
      Ⅰ. 초월적 가상에 대하여 = 523
      Ⅱ. 초월적 가상의 자리인 순수 이성에 대하여 = 527
      A. 이성 일반에 대하여 = 527
      B. 이성의 논리적 사용에 대하여 = 531
      C. 이성의 순수한 사용에 대하여 = 532
      제1권 순수 이성의 개념들에 대하여 = 537
      제1절 이념들 일반에 대하여 = 538
      제2절 초월적 이념들에 대하여 = 545
      제3절 초월적 이념들의 체계 = 553
      제2권 순수 이성의 변증적 추리들에 대하여 = 558
      제1장 순수 이성의 오류추리에 대하여 = 560
      [A판 오류추리론] = 566
      첫째, 실체성의 오류추리 = 566
      순수 영혼론의 첫째 오류추리에 대한 비판 = 566
      둘째, 단순성의 오류추리 = 568
      초월적 영혼론의 둘째 오류추리에 대한 비판 = 569
      셋째, 인격성의 오류추리 = 576
      초월적 영혼론의 셋째 오류추리에 대한 비판 = 576
      넷째, (외적 관계의) 관념성의 오류추리 = 580
      초월적 영혼론의 넷째 오류추리에 대한 비판 = 580
      오류추리들에서 비롯한 순수 영혼론의 결산에 관한 고찰 = 589
      [B판 오류추리론] = 606
      영혼의 고정불변성에 대한 멘델스존의 증명 논박 = 611
      영혼론적 오류추리 해결의 결론 = 620
      이성적 영혼론에서 우주론으로의 이행과 관련한, 일반적 주석 = 621
      제2장 순수 이성의 이율배반 = 625
      제1절 우주론적 이념들의 체계 = 627
      제2절 순수 이성의 반정립론 = 636
      초월적 이념들의 첫째 상충 = 640
      첫째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 = 642
      Ⅰ. 정립에 대한 주석 = 642
      Ⅱ. 반정립에 대한 주석 = 643
      초월적 이념들의 둘째 상충 = 648
      둘째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 = 650
      Ⅰ. 정립에 대한 주석 = 650
      Ⅱ. 반정립에 대한 주석 = 651
      초월적 이념의 셋째 상충 = 656
      셋째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 = 658
      Ⅰ. 정립에 대한 주석 = 658
      Ⅱ. 반정립에 대한 주석 = 659
      초월적 이념들의 넷째 상충 = 664
      넷째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 = 666
      Ⅰ. 정립에 대한 주석 = 666
      Ⅱ. 반정립에 대한 주석 = 667
      제3절 이 이성의 상충에서 이성의 관심에 대하여 = 672
      제4절 단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한의 순수 이성의 초월적 과제들에 대하여 = 682
      제5절 네 가지 모든 초월적 이념들에 의해 제기되는 우주론적 물음들의 회의적 표상 = 689
      제6절 우주론적 변증학을 해결하기 위한 열쇠로서 초월적 관념론 = 693
      제7절 이성의 자기와의 우주론적 싸움의 비판적 판결 = 698
      제8절 우주론적 이념들에 대한 순수 이성의 규제적 원리 = 706
      제9절 모든 우주론적 이념들과 관련한, 이성의 규제적 원리의 경험적 사용에 대하여 = 712
      Ⅰ. 세계 전체라는 현상들의 합성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들의 해결 = 713
      Ⅱ. 직관에 주어진 전체의 분할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의 해결 = 717
      수학적-초월적 이념들의 해결에 대한 결론적 주석 및 역학적-초월적 이념들의 해결을 위한 서론적 주의 = 721
      Ⅲ. 세계 사건들을 그것들의 원인으로부터 도출함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들의 해결 = 724
      자연필연성의 보편적 법칙과 합일하는 자유에 의한 인과성이 가능함 = 728
      보편적 자연필연성과 결합된 자유라는 우주론적 이념에 대한 해명 = 731
      Ⅳ. 현존재 일반에서 본, 현상들의 의존성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들의 해결 = 744
      순수 이성의 전체 이율배반에 대한 결론적 주석 = 748
      제3장 순수 이성의 이상 = 751
      제1절 이상 일반에 대하여 = 751
      제2절 초월적 이상에 대하여(초월적 原型) = 754
      제3절 사변 이성이 최고 존재자의 현존을 추리하는 논거들에 대하여 = 763
      사변 이성에 의해서는 오로지 신의 현존에 대한 세 종류의 증명이 가능할 뿐이다 = 769
      제4절 신의 현존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 770
      제5절 신의 현존에 대한 우주론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 779
      필연적 존재자의 현존에 대한 모든 초월적 증명들에 있어 변증적 가상의 발견과 설명 = 788
      제6절 물리신학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 793
      제7절 이성의 사변적 원리들에 의한 모든 신학 비판 = 801
      초월적 변증학 부록 = 810
      순수 이성의 이념들의 규제적 사용에 대하여 = 810
      인간 이성의 자연스런 변증성의 궁극의도에 대하여 = 831
      Ⅱ. 초월적 방법론
      제1장 순수 이성의 훈육 = 861
      제1절 교조적으로 사용되는 순수 이성의 훈육 = 864
      제2절 논쟁적 사용과 관련한 순수 이성의 훈육 = 883
      자기 자신과 불화하는 순수 이성을 회의주의적으로 만족시킨다는 것이 불가능함에 대하여 = 898
      제3절 가설들과 관련한 순수 이성의 훈육 = 907
      제4절 증명들과 관련한 순수 이성의 훈육 = 916
      제2장 순수 이성의 규준 = 926
      제1절 우리 이성의 순수한 사용의 최종 목적에 대하여 = 927
      제2절 순수 이성의 최종 목적의 규정근거로서 최고선의 이상에 대하여 = 933
      제3절 의견, 앎[지식] 그리고 믿음[신앙, 신념]에 대하여 = 946
      제3장 순수 이성의 건축술 = 955
      제4장 순수 이성의 역사 = 970
      찾아보기
      일러두기 = 977
      인물 찾아보기 = 982
      개념 찾아보기 = 984

      (출처 : RISS, http://www.riss.kr/link?id=M10491562)
      번역하기

      목차 제2부 초월적 변증학 = 523 서론 = 523 Ⅰ. 초월적 가상에 대하여 = 523 Ⅱ. 초월적 가상의 자리인 순수 이성에 대하여 = 527 A. 이성 일반에 대하여 = 527 B. 이성의 논리적 사용에 대하...

      목차
      제2부 초월적 변증학 = 523
      서론 = 523
      Ⅰ. 초월적 가상에 대하여 = 523
      Ⅱ. 초월적 가상의 자리인 순수 이성에 대하여 = 527
      A. 이성 일반에 대하여 = 527
      B. 이성의 논리적 사용에 대하여 = 531
      C. 이성의 순수한 사용에 대하여 = 532
      제1권 순수 이성의 개념들에 대하여 = 537
      제1절 이념들 일반에 대하여 = 538
      제2절 초월적 이념들에 대하여 = 545
      제3절 초월적 이념들의 체계 = 553
      제2권 순수 이성의 변증적 추리들에 대하여 = 558
      제1장 순수 이성의 오류추리에 대하여 = 560
      [A판 오류추리론] = 566
      첫째, 실체성의 오류추리 = 566
      순수 영혼론의 첫째 오류추리에 대한 비판 = 566
      둘째, 단순성의 오류추리 = 568
      초월적 영혼론의 둘째 오류추리에 대한 비판 = 569
      셋째, 인격성의 오류추리 = 576
      초월적 영혼론의 셋째 오류추리에 대한 비판 = 576
      넷째, (외적 관계의) 관념성의 오류추리 = 580
      초월적 영혼론의 넷째 오류추리에 대한 비판 = 580
      오류추리들에서 비롯한 순수 영혼론의 결산에 관한 고찰 = 589
      [B판 오류추리론] = 606
      영혼의 고정불변성에 대한 멘델스존의 증명 논박 = 611
      영혼론적 오류추리 해결의 결론 = 620
      이성적 영혼론에서 우주론으로의 이행과 관련한, 일반적 주석 = 621
      제2장 순수 이성의 이율배반 = 625
      제1절 우주론적 이념들의 체계 = 627
      제2절 순수 이성의 반정립론 = 636
      초월적 이념들의 첫째 상충 = 640
      첫째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 = 642
      Ⅰ. 정립에 대한 주석 = 642
      Ⅱ. 반정립에 대한 주석 = 643
      초월적 이념들의 둘째 상충 = 648
      둘째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 = 650
      Ⅰ. 정립에 대한 주석 = 650
      Ⅱ. 반정립에 대한 주석 = 651
      초월적 이념의 셋째 상충 = 656
      셋째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 = 658
      Ⅰ. 정립에 대한 주석 = 658
      Ⅱ. 반정립에 대한 주석 = 659
      초월적 이념들의 넷째 상충 = 664
      넷째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 = 666
      Ⅰ. 정립에 대한 주석 = 666
      Ⅱ. 반정립에 대한 주석 = 667
      제3절 이 이성의 상충에서 이성의 관심에 대하여 = 672
      제4절 단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한의 순수 이성의 초월적 과제들에 대하여 = 682
      제5절 네 가지 모든 초월적 이념들에 의해 제기되는 우주론적 물음들의 회의적 표상 = 689
      제6절 우주론적 변증학을 해결하기 위한 열쇠로서 초월적 관념론 = 693
      제7절 이성의 자기와의 우주론적 싸움의 비판적 판결 = 698
      제8절 우주론적 이념들에 대한 순수 이성의 규제적 원리 = 706
      제9절 모든 우주론적 이념들과 관련한, 이성의 규제적 원리의 경험적 사용에 대하여 = 712
      Ⅰ. 세계 전체라는 현상들의 합성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들의 해결 = 713
      Ⅱ. 직관에 주어진 전체의 분할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의 해결 = 717
      수학적-초월적 이념들의 해결에 대한 결론적 주석 및 역학적-초월적 이념들의 해결을 위한 서론적 주의 = 721
      Ⅲ. 세계 사건들을 그것들의 원인으로부터 도출함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들의 해결 = 724
      자연필연성의 보편적 법칙과 합일하는 자유에 의한 인과성이 가능함 = 728
      보편적 자연필연성과 결합된 자유라는 우주론적 이념에 대한 해명 = 731
      Ⅳ. 현존재 일반에서 본, 현상들의 의존성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들의 해결 = 744
      순수 이성의 전체 이율배반에 대한 결론적 주석 = 748
      제3장 순수 이성의 이상 = 751
      제1절 이상 일반에 대하여 = 751
      제2절 초월적 이상에 대하여(초월적 原型) = 754
      제3절 사변 이성이 최고 존재자의 현존을 추리하는 논거들에 대하여 = 763
      사변 이성에 의해서는 오로지 신의 현존에 대한 세 종류의 증명이 가능할 뿐이다 = 769
      제4절 신의 현존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 770
      제5절 신의 현존에 대한 우주론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 779
      필연적 존재자의 현존에 대한 모든 초월적 증명들에 있어 변증적 가상의 발견과 설명 = 788
      제6절 물리신학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 793
      제7절 이성의 사변적 원리들에 의한 모든 신학 비판 = 801
      초월적 변증학 부록 = 810
      순수 이성의 이념들의 규제적 사용에 대하여 = 810
      인간 이성의 자연스런 변증성의 궁극의도에 대하여 = 831
      Ⅱ. 초월적 방법론
      제1장 순수 이성의 훈육 = 861
      제1절 교조적으로 사용되는 순수 이성의 훈육 = 864
      제2절 논쟁적 사용과 관련한 순수 이성의 훈육 = 883
      자기 자신과 불화하는 순수 이성을 회의주의적으로 만족시킨다는 것이 불가능함에 대하여 = 898
      제3절 가설들과 관련한 순수 이성의 훈육 = 907
      제4절 증명들과 관련한 순수 이성의 훈육 = 916
      제2장 순수 이성의 규준 = 926
      제1절 우리 이성의 순수한 사용의 최종 목적에 대하여 = 927
      제2절 순수 이성의 최종 목적의 규정근거로서 최고선의 이상에 대하여 = 933
      제3절 의견, 앎[지식] 그리고 믿음[신앙, 신념]에 대하여 = 946
      제3장 순수 이성의 건축술 = 955
      제4장 순수 이성의 역사 = 970
      찾아보기
      일러두기 = 977
      인물 찾아보기 = 982
      개념 찾아보기 = 984

      (출처 : RISS, http://www.riss.kr/link?id=M104915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