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및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M중학교 3학년 21명(실험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77376
2016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444-455(1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및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M중학교 3학년 21명(실험군...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및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M중학교 3학년 21명(실험군)과 D중학교 3학년 21명(대조군), 총 42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은 Valasquez(2001)가 개발하고 임애리(2010)가 재구성한 집단 형태의 동기증진면담 매뉴얼을 본 연구자가 수정 · 보완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금연지식, 금연태도, 일일흡연량 및 금연변화단계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백분율, t-test 등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기강화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금연지식(t=8.99, p=.000), 금연태도(t=2.77, p=.008) 및 금연변화단계점수(t=3.85, p=.0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일일흡연량(t=-3.68,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흡연예방과 금연 및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유용한 정신간호중재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knowledge and attitude of smoking cessa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knowledge and attitude of smoking cessa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2 third grade students of M and D middle school in G city (experiment group 21, control group 21). The treatment of this study,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was modified by author based on Lim(2010), developed by Valasquez(2001). The effects of this study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s for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daily cigarette consumption, and the scales of stage of chang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 and t-test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otivation counseling program had higher scores in knowledge(t=8.99, p=.000) and attitude(t=2.77, p=.008) of smoking cessation and stage of change(t=3.85, p=.000), and lesser daily cigarette consumption(t=-3.68, p=.001)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smoking cess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will be used as useful psychiatric nursing intervention for smoking prevention, smoking cessation, and mental health promo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식, "흡연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을 위한 일 연구" 한국상담학회 4 (4): 127-145, 2003
2 최은진, "흡연예방을 위한 청소년 교육방향" 17 (17): 75-86, 2000
3 김인홍, "흡연예방교육프로그램이 남자 중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14 (14): 242-252, 2003
4 문정순, "흡연교육에 따른 초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비교" 한국아동간호학회 10 (10): 59-65, 2004
5 김소야자, "흡연 청소년을 위한 집단 금연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10 (10): 164-175, 2001
6 이지현, "흡연 중학생에대한 자기효능감증진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12 (12): 716-731, 2001
7 박영규, "학동기 아동의 흡연행동 및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조사 : 경인지역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798-809, 1996
8 김봉정, "초등학생의 음주 및 흡연 경험, 인터넷 중독 영향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58-369, 2015
9 김현옥, "청소년의 흡연, 음주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21 (21): 217-229, 2007
1 김명식, "흡연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을 위한 일 연구" 한국상담학회 4 (4): 127-145, 2003
2 최은진, "흡연예방을 위한 청소년 교육방향" 17 (17): 75-86, 2000
3 김인홍, "흡연예방교육프로그램이 남자 중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14 (14): 242-252, 2003
4 문정순, "흡연교육에 따른 초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비교" 한국아동간호학회 10 (10): 59-65, 2004
5 김소야자, "흡연 청소년을 위한 집단 금연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10 (10): 164-175, 2001
6 이지현, "흡연 중학생에대한 자기효능감증진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12 (12): 716-731, 2001
7 박영규, "학동기 아동의 흡연행동 및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조사 : 경인지역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798-809, 1996
8 김봉정, "초등학생의 음주 및 흡연 경험, 인터넷 중독 영향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58-369, 2015
9 김현옥, "청소년의 흡연, 음주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21 (21): 217-229, 2007
10 김남조,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실태와 동기강화 집단상담의 효과" 한동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9
11 이규미, "청소년상담 동기강화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6 (16): 119-137, 2008
12 김윤경, "청소년금연프로그램효과의메타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8 (38): 204-216, 2008
13 나승일, "청소년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14 지선하, "청소년 흡연 문제의 심각성. 금연지도자교육 교재"
15 송연희, "중학교 여학생의 흡연 실태 및 관련 요인 분석 연구"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6 조경은,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9 (19): 81-102, 2009
17 지영주,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이용한 금연 프로그램이 흡연 남자 중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 20 (20): 1-12, 2011
18 김영롱, "입원환자에게 제공된 동기강화 금연교육이 퇴원 후 흡연행위, 금연동기 및 금연행동변화단계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19 백경옥, "일부 지역 중학생들의 흡연에대한 지식 및 태도 조사 연구" 13 (13): 471-480, 2002
20 이여진, "인구학적, 흡연 및 금연관련 요인이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03-311, 2011
21 신성만, "알코올 중독자를 위한 동기강화 상담"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9 (9): 1-15, 2008
22 이종렬, "보건소 금연교육 프로그램이 흡연 고등학생의 흡연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1 (11): 43-55, 2010
23 박남희, "범이론적 모형(Transtheoretical Model)에 근거한 청소년의 금연변화단계 예측요인" 대한예방의학회 36 (36): 11-382, 2003
24 金修辰, "범 이론적 모델을 적용한 금연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흡연행위와 사회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1999
25 손세익,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동기강화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26 하영선, "동기면담 금연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2 (42): 19-27, 2012
27 이경환, "동기강화프로그램이 인터넷중독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28 임애리, "동기강화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변화동기, 병식 및 금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10
29 정명희, "동기강화인지행동치료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30 W. R. Miller, "동기강화상담" 시그마프레스 2006
31 김미옥, "동기강화면담이 공복혈당장애 환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행동변화단계, 당화혈색소값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38-346, 2015
32 이지혜, "동기강화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자기통제력, 우울/불안,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2013
33 권문희, "동기강화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4 이강오, "금연프로그램이 청소년흡연자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부설 의학연구소 29 (29): 21-31, 2004
35 김안자, "금연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흡연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亞洲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36 J. O. Prochaska, "The Transtheoretical Approach: Crossing Traditional Boundaries of Therapy" Dow Jones-Irwin 1984
37 C. C. Diclemente, "The Process of Smoking Cessation : An Analysi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of Change" 59 (59): 295-304, 1991
38 이영호, "TA 집단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의 변화동기와 변화전략, 금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9 (9): 1585-1605, 2008
39 M. Velasquez, "Group Treatment for Substance Abuse : A Stage of Change Therapt Manual" The Guilford Press 2001
40 임은선, "5&6 금연프로그램이 흡연 고교생의 인지적, 행위적,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4 (24): 115-130, 2007
조나단 라슨의 록 뮤지컬 <렌트> 분석을 통한 록 음악 활용 방식 연구
디자이너의 사회적 위치에 따른 디자인 재능기부 참여의향과 영향요인 연구
일개대학 여자신입생의 우울, 섭식장애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