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험 수업에서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시선을 통한 공감의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mpathy through the gaze of expert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n science experiment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969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에는 교사의 공감과 관련된 비언어적 교수 행동이 중요하다고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과학수업 현장에서 학생들은 교사의 공감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특히 실험 수업에서는 그 경향이 크다고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선
      추적을 통해 실험 수업에서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시선을 통한 공감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약 1개월에 걸쳐 총 5회의 실험 수업 중 교사들의 시선을 추적하고 그 중 하나의 수업 중 시선을 대상으로 총 시선고정 횟수, 평균 시선고정
      지속시간, 총 방문 횟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력교사는 학생의 신체에 시선이 자주 방문했으며, 예비교사는 학생의 얼굴에 시선이 자주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교사는 학생에 대한 시선고정 횟수가 높았으나, 예비교사는 학생과 학습도구에 대한 시선고정 횟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경력교사는 학생의 실험 수행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학생의 신체로의 시선을 통한 공감을 주로 수행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예비교사는 흥미나 이해정도를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얼굴로의 시선을 통한 공감을 주로 수행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 수업에서 예비교사의 수업행동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가 가능할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에는 교사의 공감과 관련된 비언어적 교수 행동이 중요하다고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과학수업 현장에서 학생들은 교사의 공감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특히 실험 수업에...

      최근에는 교사의 공감과 관련된 비언어적 교수 행동이 중요하다고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과학수업 현장에서 학생들은 교사의 공감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특히 실험 수업에서는 그 경향이 크다고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선
      추적을 통해 실험 수업에서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시선을 통한 공감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약 1개월에 걸쳐 총 5회의 실험 수업 중 교사들의 시선을 추적하고 그 중 하나의 수업 중 시선을 대상으로 총 시선고정 횟수, 평균 시선고정
      지속시간, 총 방문 횟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력교사는 학생의 신체에 시선이 자주 방문했으며, 예비교사는 학생의 얼굴에 시선이 자주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교사는 학생에 대한 시선고정 횟수가 높았으나, 예비교사는 학생과 학습도구에 대한 시선고정 횟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경력교사는 학생의 실험 수행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학생의 신체로의 시선을 통한 공감을 주로 수행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예비교사는 흥미나 이해정도를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얼굴로의 시선을 통한 공감을 주로 수행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 수업에서 예비교사의 수업행동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가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years, it has been emphasized that nonverbal teaching behavior related to teacher empathy is important. However, in the current science classroom, students felt that teachers lacked sympathy, especially in experimental class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mpathy through the gaze of expert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experiment class using eye tracking.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fixations, average fixation duration, and total visit count of teachers during the experiment class. The results have been shown that the total visit count of expert teachers was most at the students body. But the total
      visit count of pre-service teachers was most at the students face. In addition, expert teachers had a high number of fixations for students, but pre-service teachers had a high number of fixations for students and learning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xpert teachers have been important to the students experimental behavior and have mainly performed empathy through the gaze for the students’ body. And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the degree of students’ interests and understanding to be important and they mainly performed empathy through the gaze for the students’ f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systematically teach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haviors in the experiment class.
      번역하기

      In recent years, it has been emphasized that nonverbal teaching behavior related to teacher empathy is important. However, in the current science classroom, students felt that teachers lacked sympathy, especially in experimental classes. Therefore, in...

      In recent years, it has been emphasized that nonverbal teaching behavior related to teacher empathy is important. However, in the current science classroom, students felt that teachers lacked sympathy, especially in experimental class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mpathy through the gaze of expert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experiment class using eye tracking.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fixations, average fixation duration, and total visit count of teachers during the experiment class. The results have been shown that the total visit count of expert teachers was most at the students body. But the total
      visit count of pre-service teachers was most at the students face. In addition, expert teachers had a high number of fixations for students, but pre-service teachers had a high number of fixations for students and learning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xpert teachers have been important to the students experimental behavior and have mainly performed empathy through the gaze for the students’ body. And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the degree of students’ interests and understanding to be important and they mainly performed empathy through the gaze for the students’ f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systematically teach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haviors in the experiment cla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및 교육적 함의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및 교육적 함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인호, "학교상담에서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 직무효율성이 교사의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8 (8): 83-91, 2010

      2 구신실, "특수교사의 공감능력에 따른 교사-학생 갈등관리 방식과 교사효능감"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501-522, 2012

      3 박경원, "초등학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과학 실험 수업 사고과정 비교 분석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73-296, 2011

      4 김영신, "초․중등학교의 진화, 생물의 다양성, 생태 영역에서 지도해야 할 개념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 조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29-52, 2009

      5 정진우, "중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탐구 지도 수준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7 (27): 364-373, 2006

      6 강경희,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580-592, 2009

      7 이효정,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시연에서 나타난 스캐폴딩 유형과 긍정적 수업 분위기의 특징 탐색"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8 변정호, "시선추적기(Eye-Tracker)를 활용한 시선집중 및 배분 교수행동 패턴의 컨설팅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73-199, 2011

      9 임혜정, "생명과학 교사의 지도유형이 학생들의 수업만족 및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0 조규락,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261-282, 2011

      1 황인호, "학교상담에서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 직무효율성이 교사의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8 (8): 83-91, 2010

      2 구신실, "특수교사의 공감능력에 따른 교사-학생 갈등관리 방식과 교사효능감"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501-522, 2012

      3 박경원, "초등학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과학 실험 수업 사고과정 비교 분석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73-296, 2011

      4 김영신, "초․중등학교의 진화, 생물의 다양성, 생태 영역에서 지도해야 할 개념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 조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29-52, 2009

      5 정진우, "중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탐구 지도 수준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7 (27): 364-373, 2006

      6 강경희,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580-592, 2009

      7 이효정,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시연에서 나타난 스캐폴딩 유형과 긍정적 수업 분위기의 특징 탐색"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8 변정호, "시선추적기(Eye-Tracker)를 활용한 시선집중 및 배분 교수행동 패턴의 컨설팅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73-199, 2011

      9 임혜정, "생명과학 교사의 지도유형이 학생들의 수업만족 및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0 조규락,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261-282, 2011

      11 조한숙,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신뢰, 공감적 이해수준 및 아동의 학습동기와의 관계: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아동학회 30 (30): 23-39, 2009

      12 김기환, "교사의 권위주의와 자기애 성향이 학생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공감을 매개변인으로 -" 교육연구원 28 (28): 49-73, 2012

      13 김범기,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8 (8): 238-250, 1999

      14 팽애진,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신념 사례 연구" 25 (25): 146-161, 2005

      15 주형주, "과학 교실 수업 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과학교육연구소 51 (51): 410-422, 2012

      16 Tatler, B. W., "Yarbus, eye movements, and vision" 1 (1): 7-27, 2010

      17 Klin, A., "Visual fixation patterns during viewing of naturalistic social situations as predictors of social competence in individuals with autism" 59 (59): 809-816, 2002

      18 Rayner, K., "Unspaced text interferes with both word identification and eye movement control" 38 (38): 1129-1144, 1998

      19 Teven, J. J.,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teacher caring with student learning and teacher evaluation" 46 (46): 1-9, 1997

      20 Zaki, J., "The neuroscience of empathy : progress, pitfalls and promise" 15 (15): 675-680, 2012

      21 Emery, N. J., "The eyes have it : the neuroethology, function and evolution of social gaze" 24 (24): 581-604, 2000

      22 Ekman, P., "The Handbook of Cognition and Emotion" Wiley 45-60, 1999

      23 Borko, H., "Teachers and teaching: From classroom to reflection" The Falmer Press 49-70, 1992

      24 Gordon, G. L., "Teacher talent and urban schools" 81 (81): 304-307, 1999

      25 박형빈, "School Violence Prevention through Improving Teacher's Empathy Ability" 한국윤리교육학회 (28) : 45-62, 2012

      26 Neumann, D. L., "Psychology of Empathy" Nova Science 119-142, 2011

      27 Leach, J., "Practical work in science education: Recent research studies" Roskilde University Press 1999

      28 Stager, P., "Locating crash sites in simulated air-to-ground visual search" 20 (20): 453-466, 1978

      29 Baron-Cohen, S., "Is there a"language of the eyes"? Evidence from normal adults, and adults with autism or Asperger syndrome" 4 (4): 311-331, 1997

      30 Haukoos, G. D., "Interaction effect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lassroom climate, and science achievement" 71 (71): 735-743, 1987

      31 Darling-Hammond, L., "How teacher education matters" 51 (51): 166-173, 2000

      32 Lee, S. S.,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in Korea" 2001

      33 김원정, "Gaze Differences between Expert and Novice Teachers in Science Classes"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443-1451, 2012

      34 Mcfadden, S., "Gain adaptation of exogenous shifts of visual attention" 42 (42): 2709-2726, 2002

      35 Holmqvist, K., "Eye tracking: A comprehensive guide to methods and measur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6 Bergstrom, J. R., "Eye tracking in user experience design" Elsevier 2014

      37 Rayner, K., "Eye movements in read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 20 years of research" 124 (124): 372-422, 1998

      38 Diamond, B. S., "Elementary teachers’ science content knowledge : relationships among multiple measures" 51 : 1-20, 2013

      39 Ares, G., "Consumer visual processing of food labels : Results from an eye-tracking study" 28 (28): 138-153, 2013

      40 Burgoon, J. K., "Communicative effects of gaze behavior" 12 (12): 495-524, 1986

      41 Angell, C., "Becoming an expert teacher: Novice physics teachers’ development of conceptual and pedagogical knowledge" 2005

      42 Tobin, K. G., "Avoiding cookbook science" 21 (21): 10-15, 1984

      43 Kirchner, J. C., "Autistic symptomatology, face processing abilities, and eye fixation patterns" 41 (41): 158-167, 2011

      44 Barton, J. J., "Are patients with social developmental disorders prosopagnosic? Perceptual heterogeneity in the Asperger and socio-emotional processing disorders" 127 (127): 1706-1716, 2004

      45 김성하, "A Case Study of the Novice and Expert Teachers’ Eye Movement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149-116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