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누리, "흡수통일은 신화다"
2 안경환, "헌정 50년과 자유와 평등의 이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39 (39): 1999
3 전광석, "헌법편제에 관한 연구" 한국헌법학회 12 (12): 9-40, 2006
4 이병규, "헌법의 본질과 다양성 그리고 그 가치" 법학연구원 (33) : 333-376, 2010
5 전민형, "헌법사 속에서의 통일" 헌법이론실무학회 1 : 2015
6 김철수, "한국헌법사" 대학출판사 1988
7 윤성현, "통일헌법의 기본원리로서의 민주주의 연구" 한국헌법학회 24 (24): 235-278, 2018
8 성낙인, "통일헌법의 기본원리 소고" 법학연구소 53 (53): 415-446, 2012
9 정철, "통일헌법의 권력구조" 법학연구소 25 (25): 165-203, 2012
10 정만희, "통일헌법을 위한 단계적 헌법개정" 법학연구소 (66) : 205-252, 2015
1 김누리, "흡수통일은 신화다"
2 안경환, "헌정 50년과 자유와 평등의 이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39 (39): 1999
3 전광석, "헌법편제에 관한 연구" 한국헌법학회 12 (12): 9-40, 2006
4 이병규, "헌법의 본질과 다양성 그리고 그 가치" 법학연구원 (33) : 333-376, 2010
5 전민형, "헌법사 속에서의 통일" 헌법이론실무학회 1 : 2015
6 김철수, "한국헌법사" 대학출판사 1988
7 윤성현, "통일헌법의 기본원리로서의 민주주의 연구" 한국헌법학회 24 (24): 235-278, 2018
8 성낙인, "통일헌법의 기본원리 소고" 법학연구소 53 (53): 415-446, 2012
9 정철, "통일헌법의 권력구조" 법학연구소 25 (25): 165-203, 2012
10 정만희, "통일헌법을 위한 단계적 헌법개정" 법학연구소 (66) : 205-252, 2015
11 장명봉, "통일헌법을 위한 남북한헌법 비교" 대륙연구소 1 (1): 1990
12 김철수, "통일헌법을 생각한다" 고시계사 1986
13 김선택, "통일헌법 논의의 Prolegomena" 헌법이론실무학회 2 : 2016
14 김하중, "통일한국의 과거청산" 나남 2013
15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통일인문학" 알렙 2015
16 통일부, "통일백서 2003" 2003
17 장명봉, "통일관련법 연구의 성찰과 방향" 대한국제법학회 49 (49): 2004
18 방승주, "통일과 체제불법 청산" 헌법이론실무학회 1 : 2015
19 송인호, "통일 헌법 제1조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66) : 341-364, 2015
20 강원택, "통일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나남 2011
21 강정민, "제헌헌법의 자유주의 이념적 성격" 한국정치사상학회 11 (11): 83-105, 2005
22 김선택, "정당해산의 실체적 요건의 규범적합적 해석" 헌법이론실무학회 1 (1): 2014
23 김선택,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와 통일" 헌법이론실무학회 3 : 2017
24 샌드라 프레드먼, "인권의 대전환" 교양인 2009
25 정정훈, "인권과 인권들" 그린비 2014
26 김현철, "이소노미아" 한국법철학회 21 (21): 81-110, 2018
27 지그문트 바우만, "위기의 국가" 도서출판 동녘 2014
28 지그문트 바우만, "세계화 이후의 민주주의" 평사리 2006
29 김선택, "분단과 통일, 헌법의 정당성" 헌법이론실무학회 1 : 2015
30 김민우, "북한헌법의 개정에 따른 권력구조의 변화와 특징" 법학연구소 16 (16): 147-171, 2015
31 강정인, "민주화 이후 한국정치에서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충돌" 법학연구소 49 (49): 40-75, 2008
32 강정인, "민주주의의 한국적 수용: 한국의 민주화, 민주주의의 한국화" 책세상 2002
33 국순옥, "민주주의 헌법론" 아카넷 2015
34 데이비드 헬드, "민주주의 모델들" 후마니타스 2013
35 박영호, "민주적 기본질서와 통일조항" 국제헌법학회 (6) : 2001
36 이계수, "미완의 역사로서의 독일 통일과 ‘아래로부터 헌법 만들기’" 법학연구소 (36) : 205-233, 2017
37 존 앤더슨, "문화 · 장소 · 흔적" 한울아카데미 2013
38 신용옥, "대한민국 제헌헌법의 주권원리와 경제질서" 고려사학회 (17) : 209-239, 2004
39 박명림, "남한과 북한의 헌법제정과 국가정체성 연구: 국가 및 헌법 특성의 비교적 관계적 해석"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235-264, 2009
40 서희경, "남한과 북한 헌법 제정의 비교 연구(1947-1948): 한국 근대국가와 입헌주의의 탄생, ‘진정한 민주주의’를 향한 두 가지의 길" 한국정치학회 41 (41): 47-75, 2007
41 김욱, "남북통일을 위한 헌법제정권력의 민주적 실현에 관한 연구" 한국헌법학회 15 (15): 161-192, 2009
42 박민철, "남북 통합의 이념적 토대로서 민주주의: 해방정국의 민주주의 담론 분석과 그 재구성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2 : 37-7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