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지팡이를 이용한 실내 보행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door Walking Behavior and Cane Usage of Visually Impair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767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디지털 기기의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연구의 일환으로시각장애인들의 실내 보행과 지팡이 사용의 행태를 분석하였다. 시각적 제약으로 인하여 이들이 처하고 있는보행의 불편함을 이해하고, 이동의 과정에서 발생하는보행 정보의 수집과 판단의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익숙한 실내 공간을 이동할 때와익숙하지 못한 실내 공간을 이동할 때의 이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인터뷰하였다. 조사된 데이터로부터 시각장애인들이 보행을 할 때에 주변 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방법과 요구되는 정보, 이를 바탕으로 길찾기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이동보조기기의 디자인을 위한발견점이 도출되었다.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은 지팡이에의한 정보 수집에 의존하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위치를파악하여 보행을 진행한다. 따라서 이들의 보행을 위해서는 현재위치의 파악과 진행방향의 설정이 무엇보다중요한 정보요소로 파악되었으며 시각장애인들이 익숙하지 못한 공간을 보행하거나 길이 교차하는 지점이나 꺾인 지점을 지날 때에 더욱 정교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의 공간개념과 달리 공간에 대하여 선형적인 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보조기기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은이들의 공간 개념을 반영하여 디자인 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디지털 기기의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연구의 일환으로시각장애인들의 실내 보행과 지팡이 사용의 행태를 분석하였다. 시각적 제약으...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디지털 기기의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연구의 일환으로시각장애인들의 실내 보행과 지팡이 사용의 행태를 분석하였다. 시각적 제약으로 인하여 이들이 처하고 있는보행의 불편함을 이해하고, 이동의 과정에서 발생하는보행 정보의 수집과 판단의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익숙한 실내 공간을 이동할 때와익숙하지 못한 실내 공간을 이동할 때의 이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인터뷰하였다. 조사된 데이터로부터 시각장애인들이 보행을 할 때에 주변 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방법과 요구되는 정보, 이를 바탕으로 길찾기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이동보조기기의 디자인을 위한발견점이 도출되었다.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은 지팡이에의한 정보 수집에 의존하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위치를파악하여 보행을 진행한다. 따라서 이들의 보행을 위해서는 현재위치의 파악과 진행방향의 설정이 무엇보다중요한 정보요소로 파악되었으며 시각장애인들이 익숙하지 못한 공간을 보행하거나 길이 교차하는 지점이나 꺾인 지점을 지날 때에 더욱 정교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의 공간개념과 달리 공간에 대하여 선형적인 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보조기기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은이들의 공간 개념을 반영하여 디자인 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용, "형태인지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 - 연상에 의한 윤곽선 인지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4 (4): 370-381, 2003

      2 김상일, "시각장애인을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개발 -On.Off Line 통합적 인터페이스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0 (20): 217-228, 2007

      3 이성훈,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박물관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2005

      4 양승호, "시각장애인들의 길찾기 행위에 대한 연구"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8 (8): 2009

      5 정제영, "시각장애인 생활시설에서 평면 축소모형을 통한 공간인지에 관한 연구"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6 정제영, "시각장애인 생활시설에서 노멀리제이션을" 2006

      7 Lowenfeld, B.,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 in school" John Day 1973

      8 Ulrich, I, "The GuideCane — Applying Mobile Robot Technologies to Assist the Visually Impaired" 31 (31): 2001

      9 "Talking Signs Project"

      10 "Navigational Assista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1 이미용, "형태인지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 - 연상에 의한 윤곽선 인지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4 (4): 370-381, 2003

      2 김상일, "시각장애인을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개발 -On.Off Line 통합적 인터페이스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0 (20): 217-228, 2007

      3 이성훈,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박물관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2005

      4 양승호, "시각장애인들의 길찾기 행위에 대한 연구"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8 (8): 2009

      5 정제영, "시각장애인 생활시설에서 평면 축소모형을 통한 공간인지에 관한 연구"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6 정제영, "시각장애인 생활시설에서 노멀리제이션을" 2006

      7 Lowenfeld, B.,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 in school" John Day 1973

      8 Ulrich, I, "The GuideCane — Applying Mobile Robot Technologies to Assist the Visually Impaired" 31 (31): 2001

      9 "Talking Signs Project"

      10 "Navigational Assista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11 Bellotti, F., "Guiding visually impaired people in the exhibition, Giornatanazionale su Guide Mobili Virtualli" Virtuality 2006

      12 Coughlan, J., "Cell Phone-based Wayfind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