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수도권 광역시 청년인구의 지역 간 이동패턴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15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수도권 5개 광역시를 중심으로 청년인구의 순이동 패턴과 변화추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최근 신산업 입지의 도심 지향성에 따른 청년인구의 도심 재집중 현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우리나라 비수도권 광역시의 청년인구는 수도권과 충청권으로 순유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 인구이동 패턴에 있어서 수도권의 영향이 더 강해지고 공간적 범위가 확대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최근 비수도권 광역시에서 인근 도지역으로부터의 청년인구 순유입 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최근의 산업구조 재편에 따른 것으로 유추되며, 향후 이러한 추세가 강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비수도권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추진되었던 기존 균형발전정책에 있어서 청년인구의 유입이 시작되고 있는 비수도권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전략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수도권 5개 광역시를 중심으로 청년인구의 순이동 패턴과 변화추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최근 신산업 입지의 도심 지향성에 따른 청년인구의 도심 재집중 현...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수도권 5개 광역시를 중심으로 청년인구의 순이동 패턴과 변화추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최근 신산업 입지의 도심 지향성에 따른 청년인구의 도심 재집중 현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우리나라 비수도권 광역시의 청년인구는 수도권과 충청권으로 순유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 인구이동 패턴에 있어서 수도권의 영향이 더 강해지고 공간적 범위가 확대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최근 비수도권 광역시에서 인근 도지역으로부터의 청년인구 순유입 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최근의 산업구조 재편에 따른 것으로 유추되며, 향후 이러한 추세가 강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비수도권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추진되었던 기존 균형발전정책에 있어서 청년인구의 유입이 시작되고 있는 비수도권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전략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patterns and trends in the net migration of youth populations in five non-Seoul Metropolitan Area(non-SMA) large cit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youth population re-concentration in urban areas in response to the recent trend of new industry locations favoring city centers. The analysis of this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youth populations in non-SMA large cities in South Korea exhibited a trend of net outmigration towards the capital region and the Chungcheong region.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strengthening influence of the capital region in the population movement patterns of South Korea, with an expanded spatial scope. Secondly, there was a recent trend of net in-migration of youth populations from nearby rural/urban areas to non-SMA large cities. This is inferred to be a consequence of the recent restructuring of industrial structures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predicted that this trend will continue to strengthen in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strategic planning, focusing on non-SMA large cities where the influx of youth populations has begun, as part of a reconsideration of the previous balanced development policies that were dispersed across various regions in non-SMA.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patterns and trends in the net migration of youth populations in five non-Seoul Metropolitan Area(non-SMA) large cit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youth population re-concentration in urban areas in r...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patterns and trends in the net migration of youth populations in five non-Seoul Metropolitan Area(non-SMA) large cit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youth population re-concentration in urban areas in response to the recent trend of new industry locations favoring city centers. The analysis of this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youth populations in non-SMA large cities in South Korea exhibited a trend of net outmigration towards the capital region and the Chungcheong region.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strengthening influence of the capital region in the population movement patterns of South Korea, with an expanded spatial scope. Secondly, there was a recent trend of net in-migration of youth populations from nearby rural/urban areas to non-SMA large cities. This is inferred to be a consequence of the recent restructuring of industrial structures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predicted that this trend will continue to strengthen in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strategic planning, focusing on non-SMA large cities where the influx of youth populations has begun, as part of a reconsideration of the previous balanced development policies that were dispersed across various regions in non-SM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 2.1.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인구이동 및 국토・도시공간의 변화
      • 2.2. 국내 인구이동패턴에 관한 선행연구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 2.1.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인구이동 및 국토・도시공간의 변화
      • 2.2. 국내 인구이동패턴에 관한 선행연구
      • 2.3. 선행연구의 의의와 한계
      • 3. 분석 자료 및 방법
      • 4. 비수도권 5개 광역시 청년인구의 지역 간 이동패턴 분석
      • 4.1. 비수도권 5개 광역시의 청년 주민등록인구 변화 추이
      • 4.2. 비수도권 5개 광역시와 3대 권역 간의 청년인구 순이동 변화 추이(Type Ⅰ)
      • 4.3. 비수도권 5개 광역시와 비수도권 내 청년인구 순이동 추이(Type Ⅱ, Ⅲ)
      • 5.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