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타자의 수용: 러시아 정교와 민간신앙의 혼종 = Acceptance of the Other: Syncretism of Russian Orthodox and Paga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55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러시아 정교는 러시아 땅에서 배양된 토착종교가 아니다. 과거 국가형성 이전부터 러시아 땅에 수용된 스키타이 문화를 비롯해 외부로부터 이식된 다양한 문화와 종교 중 하나이다. 러시아...

      러시아 정교는 러시아 땅에서 배양된 토착종교가 아니다. 과거 국가형성 이전부터 러시아 땅에 수용된 스키타이 문화를 비롯해 외부로부터 이식된 다양한 문화와 종교 중 하나이다. 러시아정교는 러시아 입장에서 보면 ‘타자’이다. 러시아는 기독교라는 타자를 수용해 러시아 정교로 ‘자기화’한 것이다. 본 글에서는 기독교가 러시아 토양에서 배양된 종교가 아니라는 사실로부터 글을 시작했다. 그 이유는 ‘러시아 속의 세계, 세계 속의 러시아’라는 아젠다에 맞춰 러시아 문화에 나타난 ‘타자의 수용’ 문제를 다루기 위해 기독교를 ‘타자’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민간신앙을 믿고 있던 러시아인이 외부로부터 전래된 타자인 기독교를 어떻게 수용했는지를 밝히기 위해 기독교와 민간신앙의 혼종현상이 나타난 영역 중에서 러시아 농민들이 지켜온 농사 관련 축제/명절에 관심을 두고자 했다.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한 키예프 루시의 블라디미르 공후는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하기 위해 기독교를 지배/통치 이데올로기로 이용했지만, 실제 러시아 농민들의 삶 속에 기독교가 국교 채택과 동시에 수용됐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오히려 농민들이 기독교를 수용했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어떤 방식을 통해 그들이 가진 삶의 리듬에 기독교를 수용했는가의 여부에 있다고 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is common in Russian folk festivals are expectations and beliefs of Russian peasants who worship the sun and want to empower the earth in order to obtain a rich harvest. This belief shows one aspect of paganism of the Russians peasants who consid...

      What is common in Russian folk festivals are expectations and beliefs of Russian peasants who worship the sun and want to empower the earth in order to obtain a rich harvest. This belief shows one aspect of paganism of the Russians peasants who considered natural phenomena appearing according to the seasonal cycle as an object of worship. The syncretism of Christianity and paganism occured in Russia, as mentioned above, appeared as like that Christianity absorbed paganism. Both the name of festival was renamed without changing the inner content and the external change with adding elements of Christianity such as the resurrection of Christ, diminished the resistance of peasants. This is because Russian orthodox church recognized that the syncretism method of two religions was more effective as a way to persuade the peasants to accept a new religion than to physically force Christianity.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ad been spreading Christianity through external changes with maintaining the peasant’s life rhythm adapted to the cycle of the seasons. And after accepting Christianity, Russian orthodox church naturally reconstructed peasants’ agricultural cycle according to the church calend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razer, James George, "황금가지 I, II" 삼성출판사 1998

      2 Smart, Ninian, "현대 종교학" 청년사 1993

      3 민속학회, "한국 민속학의 이해" 문화아카데미 1999

      4 이용주, "종교 다시 읽기" 청년사 1999

      5 이철, "신화와 전설에 나타난 러시아인의 세계관"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13 : 1997

      6 Schreiter, R. J, "신학의 토착화" 카톨릭 출판사 1991

      7 황성우, "소비에트 달력개혁과 일상생활의 변화"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14 (14): 305-333, 2012

      8 윤우섭, "러시아문화 속의 여성신화"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14 : 1998

      9 임영상, "러시아 정교회와 종교축일: 봄철 축일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56 : 1998

      10 황영삼, "러시아 명절의 변천과 특성"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14 : 1998

      1 Frazer, James George, "황금가지 I, II" 삼성출판사 1998

      2 Smart, Ninian, "현대 종교학" 청년사 1993

      3 민속학회, "한국 민속학의 이해" 문화아카데미 1999

      4 이용주, "종교 다시 읽기" 청년사 1999

      5 이철, "신화와 전설에 나타난 러시아인의 세계관"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13 : 1997

      6 Schreiter, R. J, "신학의 토착화" 카톨릭 출판사 1991

      7 황성우, "소비에트 달력개혁과 일상생활의 변화"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14 (14): 305-333, 2012

      8 윤우섭, "러시아문화 속의 여성신화"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14 : 1998

      9 임영상, "러시아 정교회와 종교축일: 봄철 축일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56 : 1998

      10 황영삼, "러시아 명절의 변천과 특성"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14 : 1998

      11 Lotman, Iu. M, "러시아 기호학의 이해" 민음사 1993

      12 Frazer, James George, "그림으로 보는 황금가지" 까치 1998

      13 Horn, Edward T, "교회력" 컨콜디아사 1994

      14 김태곤, "巫俗과 靈의 세계" 한울 1993

      15 Поппэ, Андрей, "“Политический фон крещения Руси: Русско-Византийские отношения в 986-989 годах.” Георгий Прошин, ред. Как была крещена Русь" Политиздат 1988

      16 Митрохина, Л. Н, "Христианство: Словарь" Республика 1994

      17 Забылин, М, "Русский Народ: обычай обряды предания суеверия" Русская Книга 1996

      18 Пропп, В. Я, "Русские Аграрные Праздники" Азбука 1995

      19 Рябцев, Ю.С, "Путешествие в Древнюю Русь: Рассказы о Русской Культуре" ВЛАДОС 1995

      20 Бондаренко, О. Э, "Праздники Христианской Руси: Русский Народный Православный Календарь" Калининградск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93

      21 Карташев, А. В, "Очерки по Истории Русской Церкови" Изд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ТЕРРА, ’ 1993

      22 Ковалев, Ю, "Когда мы отдыхаем: Русские народные песни и игры" ‘Руссий Язык, ’ 1995

      23 Власов, В. Г, "Календарь в Культуре Народов Мира" Наука 1993

      24 Никольский, Н. М, "История Русской Церкови" Политиздат 1985

      25 Дворниченко, А. Ю, "История России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Начала Века" СПбГУ Издательство 1992

      26 Новосельцев, А. П, "История России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конца XVII века" Иэдательство АСТ 1996

      27 Соколова, В. К, "Весенне-Летние Календарные Обряды Руссих, Украинцев, и Белорусов XIX- Начало XX в" Наука 1979

      28 Lewin, Moshe, "The World of the Russian Peasant: Post- Emancipation Culture and Society" Unwin Hyman 1990

      29 Fedotov, George P, "The Russian Religious Mind (I): Kievan Christianity, the 10th to the 13th Centuries" Nordland Publishing Company 1975

      30 Florovsky, G, "The Problem of Old Russian Culture" 21 (21): 1962

      31 Treadgold, Donald W, "The Peasant in Nineteenth-Century in Russia" Stanford Univ. Press 1988

      32 Pospielovsky, D. V, "The Orthodox Church in the History of Russia"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98

      33 Levin, E, "Seeking God: The Recovery of Religious Identity in Orthodox Russia, Ukraine and Georgia" Northern Illinois Univ. Press 1993

      34 Vlasov, V. G, "Russian Traditional Culture: Religion, Gender and Customary Law" M. E. Sharpe 1992

      35 Bernshtam, T. A, "Russian Traditional Culture: Religion, Gender and Customary Law" M. E. Sharpe 1992

      36 Froianov I., "Russian Traditional Culture: Religion, Gender and Customary Law" M. E. Sharpe 1992

      37 Ivanits, L. J, "Russian Folk Belief" M. E. Sharpe, Inc 1989

      38 Andreyev, N, "Pagan and Christian Elements in Old Russia" 21 (21): 1962

      39 Likhachev, D. S, "Modern Russian Culture" Cambridge Univ. Press 1998

      40 Propp, V. la, "Dunn and Ethel Dunn, ed. Introduction to Soviet Ethnography, Vol. 2" Highgate Road Social Science Research Station 1974

      41 Poppe, Andzrej, "Christianity and Ideological Changes in Kievan Rus’: The First Hundred Years" 25 (25):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9-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9-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84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