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너울성파랑을 정의하기 위한 첫 단계로 확률모의실험을 통해 파랑스펙트럼 첨두모수 Q<sub>p</sub>, 주파수폭대역 모수 ε, 파랑스펙트럼 폭 모수 ν의 특성들을 분석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88316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4-404(11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너울성파랑을 정의하기 위한 첫 단계로 확률모의실험을 통해 파랑스펙트럼 첨두모수 Q<sub>p</sub>, 주파수폭대역 모수 ε, 파랑스펙트럼 폭 모수 ν의 특성들을 분석하�...
본 연구에서는 너울성파랑을 정의하기 위한 첫 단계로 확률모의실험을 통해 파랑스펙트럼 첨두모수 Q<sub>p</sub>, 주파수폭대역 모수 ε, 파랑스펙트럼 폭 모수 ν의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유의파고 및 첨두주기의 결합확률 밀도함수를 새롭게 유도한 후, MCMC(Markov Chain Monte Carlo)기법을 이 함수에 적용하여 가상의 유의파고 및 첨두주기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이 때 생성된 파랑자료들을 파랑스펙트럼모형에 적용하여 각각에 대한 파랑스펙트럼 형상모수들을 산정한 다음, 각각의 파랑자료들과 파랑스펙트럼 형상모수들의 상관관계 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으로 각 파랑스펙트럼 형상모수의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파랑스펙트럼 형상모수 중 파랑스펙트럼 첨두모수가 유의파고 및 첨두주기에 관계없이 파랑스펙트럼의 뾰족한 정도를 잘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러한 특성은 후포 및 울릉도 파랑관측자료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너울성파랑 정의를 위한 대표적인 파랑스펙트럼 형상모수로 파랑스펙트럼 첨두모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pectral peakedness parameter Q<sub>p</sub>, bandwidth parameter ε, and spectral width parameter ν were analyzed as a first step to define the swell waves quantitatively. For the analysis, the...
In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pectral peakedness parameter Q<sub>p</sub>, bandwidth parameter ε, and spectral width parameter ν were analyzed as a first step to define the swell waves quantitatively. For the analysis, the joint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significant wave heights and peak periods were newly developed. The MCMC(Markov Chain Monte Carlo) simulations have been performed to generate the significant wave heights and peak periods from the develope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Applying the simulated significant wave heights and peak periods to the theoretical wave spectrum models, the spectral shapes parameters were obtained and analyzed. Among the spectral shape parameters, only the spectral peakedness parameter Q<sub>p</sub>, is shown to be independent with the significant wave height and peak wave period. It also best represents the peakedness of the spectral shape, and henceforth Q<sub>p</sub> should be used to define the swell waves with a wave period. For the field verification of the results, wave data obtained from Hupo port and Ulleungdo were analyzed and results showed the same trend with the MCMC simulation results.
참고문헌 (Reference)
1 천제호, "천해역으로 확장된 WAM모형에 의한 영일만 파랑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 (19): 511-520, 2007
2 오상호, "우리나라 동해안 너울성 고파의 발생원인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2 (22): 101-111, 2010
3 Cartwright, D. E.,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maxima of a random function" A (A): 212-232, 1956
4 Rye, H., "The stability of some currently used wave parameters" 1 : 17-30, 1977
5 Goda, Y., "Random seas and design of maritime structures" World Scientific Pub 2000
6 Yoon, J. -T.,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the residual tide level using Box-Cox transformation" 2012
7 Longuet-Higgins, M. S, "On the joint distribution of wave periods and amplitudes in a random wave fields" A (A): 241-258, 1983
8 Ochi, M. K., "Ocean waves, In the stochastic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9 Wilson, B. W, "Numerical prediction of ocean waves in the North Atlantic for December 1959" 18 : 114-130, 1965
10 Goda, Y, "Numerical experiments on wave statistics with spectral simulation" 9 (9): 3-57, 1970
1 천제호, "천해역으로 확장된 WAM모형에 의한 영일만 파랑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 (19): 511-520, 2007
2 오상호, "우리나라 동해안 너울성 고파의 발생원인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2 (22): 101-111, 2010
3 Cartwright, D. E.,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maxima of a random function" A (A): 212-232, 1956
4 Rye, H., "The stability of some currently used wave parameters" 1 : 17-30, 1977
5 Goda, Y., "Random seas and design of maritime structures" World Scientific Pub 2000
6 Yoon, J. -T.,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the residual tide level using Box-Cox transformation" 2012
7 Longuet-Higgins, M. S, "On the joint distribution of wave periods and amplitudes in a random wave fields" A (A): 241-258, 1983
8 Ochi, M. K., "Ocean waves, In the stochastic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9 Wilson, B. W, "Numerical prediction of ocean waves in the North Atlantic for December 1959" 18 : 114-130, 1965
10 Goda, Y, "Numerical experiments on wave statistics with spectral simulation" 9 (9): 3-57, 1970
11 Chib, S., "Markov Chain Monte Carlo technology, In Handbook of Computational Statistics" Springer-Verlag 2004
12 Ochi, M. K.,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of significant wave height and averaged period" University of Florida 1996
13 Marthiesen, J., "Joint distribution for significant wave height and zero-crossing period" 12 (12): 93-103, 1990
14 Sorensen, R. M., "Basic wave mechanics, In for coastal and ocean engineers" Wiley-Intersciences 1993
15 Utsunomiya, Y., "A study on the prediction and monitoring system of swell waves" Coastal Research Center 81-84, 2009
16 Handong Global University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Envrionmental Research, "A study on the causes of beach erosion of Songdo beach and the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 against it" 2000
회절 및 수심효과를 개선한 만내설계파 모델의 적용성 검토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Hourly Tidal Level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ediment Particulate Motions Over a Ripple Under Different Wave Amplitude Condition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2-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7 | 0.608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