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인계" 가사의 감성과 미의식 -정철과 류도관의 사미인곡 을 대상으로- = Sensibilit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Category Miin” lyrics -on Samiingok of Jeong cheol and Ryu do-gw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8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미인계"라는 작품군으로 묶이는 가사가 지닌 감성이 같은 미의식으로 표출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으로부터 시작 한다. 이에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과 곤파 류도관의 <사미인곡>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들이 겨냥한 의식 즉, 그들이 표현하 고자 하였던 미의식과 그 기층의 감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어디에서부터 나오는 것이고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에 대하여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학 외적 배경을 밝혀 작품들의 산출 기반을 이 해하고자 했다. 이 과정을 통해 사회적 관계에서의 배제가 가져오는 감성을 분노로 보았으며 분노하게 하는 대상에 따라 분노의 차이가 있음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두 작가가 느끼는 분노가 가사 작품의 텍스트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논의했다.
      번역하기

      이 글은 "미인계"라는 작품군으로 묶이는 가사가 지닌 감성이 같은 미의식으로 표출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으로부터 시작 한다. 이에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과 곤파 류도...

      이 글은 "미인계"라는 작품군으로 묶이는 가사가 지닌 감성이 같은 미의식으로 표출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으로부터 시작 한다. 이에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과 곤파 류도관의 <사미인곡>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들이 겨냥한 의식 즉, 그들이 표현하 고자 하였던 미의식과 그 기층의 감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어디에서부터 나오는 것이고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에 대하여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학 외적 배경을 밝혀 작품들의 산출 기반을 이 해하고자 했다. 이 과정을 통해 사회적 관계에서의 배제가 가져오는 감성을 분노로 보았으며 분노하게 하는 대상에 따라 분노의 차이가 있음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두 작가가 느끼는 분노가 가사 작품의 텍스트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논의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wonder about whether it could be considered as that different authors` Gasa works classified in the same title category ‘Miin’ were expressed in the same esthetic sense. So this study selectedJeong Cheol`s <Samiingok> and Ryu Do-Gwan`s <Samiingok> as the research target, and tried to identify about what differences the both works showed in terms of both author`s esthetic sense and its underlying emotion, where the differences were come from and what meanings the differences could have. For them,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foundation making the works be created by revealing their external backgrounds. Through the process revealing the external backgrounds, this study considered the emotion being brought by the authors` exclusion from social relationships as the anger, and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anger according to the objects making the authors get angry. And based on that,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anger felt by the both authors were expressed in the texts in their Gasa work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wonder about whether it could be considered as that different authors` Gasa works classified in the same title category ‘Miin’ were expressed in the same esthetic sense. So this study selectedJeong Cheol`s <Samii...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wonder about whether it could be considered as that different authors` Gasa works classified in the same title category ‘Miin’ were expressed in the same esthetic sense. So this study selectedJeong Cheol`s <Samiingok> and Ryu Do-Gwan`s <Samiingok> as the research target, and tried to identify about what differences the both works showed in terms of both author`s esthetic sense and its underlying emotion, where the differences were come from and what meanings the differences could have. For them,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foundation making the works be created by revealing their external backgrounds. Through the process revealing the external backgrounds, this study considered the emotion being brought by the authors` exclusion from social relationships as the anger, and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anger according to the objects making the authors get angry. And based on that,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anger felt by the both authors were expressed in the texts in their Gasa work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