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민요는 지리적·장르적접변과 수용을 통해 다양한 음악어법을 활용하고 있다. 필자는 선행연구에서 여성민요의 지리적·장르적 접 변과 수용을 살펴본 바 있다. 그런데 이 연구는 남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58235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5-67(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남 민요는 지리적·장르적접변과 수용을 통해 다양한 음악어법을 활용하고 있다. 필자는 선행연구에서 여성민요의 지리적·장르적 접 변과 수용을 살펴본 바 있다. 그런데 이 연구는 남자�...
전남 민요는 지리적·장르적접변과 수용을 통해 다양한 음악어법을 활용하고 있다. 필자는 선행연구에서 여성민요의 지리적·장르적 접 변과 수용을 살펴본 바 있다. 그런데 이 연구는 남자들의 노래를 제 외한 연구여서 한계가 있었다. 지리적·장르적 접변에 있어서 남자들 이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극적이고 다양한 정보 접촉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남성민요의 문화적 접변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남성들의 민요를 중심으로 음악 문화적 접변과 수용 양상과 태도를 살펴보았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리적 접변을 통한 음악 문화의 영향은 개별 악곡의 수용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노젓는 소리를 사례로 살펴본 바 타 지역과 달리 상당 부분 육자배기토리화한 사례들이 발견되었다. 또 황해도의 배치기소 리가 진도까지 내려와서 발견되고 있으나 시김새의 표현이 많이 줄 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리적 접변에 있어서 타 지역의 음악문화를 수용하였으나 자기화하려는 노력이 컸다는 점을 높이 살 수 있다. 장르적 접변은 사당패소리, 판소리, 무가, 시조, 남도 잡가 등과의 접변에서 나타난다. 장르적 접변에서 수용한 장르들은 대부분 직업 음악인이 연주하는 예술음악 장르이거나 양반음악과 같이 높은 신분 의 사람들이 즐기던 음악이다. 따라서 남성들은 이 음악을 바꾸거나 변화하기보다는 정확하게 표현하려고 노력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한 악곡을 수용함에 있어서 기능의 유사성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생각된다. 농부가를 모심는 소리로, 액막이무가를 마당밟이의 노래로 사용하는 것은 실무적 기능의 공통점을 담보로 하고 있 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여성민요의 문화적 접변에서는 음악 어법적 수용과 변화의 폭이 컸다는 점 기능이, 바뀌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 특징이 있었다면, 남성민요에서는 정반대로 악곡의 온전한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예술 성이나 세련 성 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수용되었고 기능의 유사성을 담보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nnam folksongs utilized various musical grammar through geographical and genre progressive assimilation and acceptance. In the previous study, the geographical and genre progressive assimilation and acceptance of female folksongs were examined. How...
Jeonnam folksongs utilized various musical grammar through geographical and genre progressive assimilation and acceptance. In the previous study, the geographical and genre progressive assimilation and acceptance of female folksongs were examined. However, it had limitations because it did not include male songs. In terms of geographical and genre progressive assimilation, men are relatively more active than women and had more chance to receive information, signify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progressive assimilation of male folksong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musical-cultural progressive assimilation and the aspects and attitude of acceptance in Jeonnam folksong by centering on male folksongs. Musical-cultural progressive assimilation and acceptance in male folksong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geographical progressive assimilation and genre progressive assimilation. The influence of music culture through geographical assimilation is found in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songs. Bier songs, reading songs, rowing songs, etc show the traces of menaritori influence as well as yukjabaegitori cases. Also, baechigisori of Hwanghaedo is found as far as in Jindo, however, it shows less expressions of sigimsae. The effort to keep its identity while accepting the musical culture of other regions should be recognized. Genre assimilation is found in sadangpaesori, pansori, shaman songs, sijo, namdo japga, etc. Genre accepted through genre assimilation are almost art music genre played by professional musicians and aristocrat music enjoyed by high-ranking people. Therefore, the male singers are thought to precisely express the music rather than changing their music. Also, the similarity of function in accepting songs is thought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Using farmer`s song in planting song and a charm-against-evil-influence song in stamping the yard song is meaningful in a sense that they are based on the common features of working-level functions. While the cultural assimilation of female folksongs showed a wide range of accepting musical grammar and changes as well as functional change, male folksongs, on the opposite, were different by received songs in their intact condition and basing on the similarity of function.
"미인계" 가사의 감성과 미의식 -정철과 류도관의 사미인곡 을 대상으로-
임진택의 오월광주 에 나타난5.18 민주화운동의 형상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