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개역 성경과 개역개정 성경 사이의 언어학적 변화: 한자어, 고유어, 기독교특수어,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성경 번역본 중에서 1961년판인 개역성경과 이의 1998년 개정판인 개역개정성경을 비교하여, 한국어의 고유어, 한자어, 기독교특수어, 관용표현의 변화를 역사언어학적 관점에서 기술함으로써, 한 세대 남짓의 기간에 일어난 언어변화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언어의 변화는 개인이나 작은 언어집단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언뜻 눈에 띄지 않지만 일정기간이 지나면 그 변화가 분명해진다. 사회가 급속히 변화는 시대에 있어서의 언어는 단기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언어 변화 특히 어휘의 변화는 사회변동과 함께 급속히 진행된다.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볼 때 과거에 1-2세기에 걸쳐 일어나던 현상보다 더 많은 변화가 현대어에는 한두 세대 만에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역사언어학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고 변화현상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학문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두 가지 성경 번역본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하는 역사언어학적 현상은 어휘에 관한 것이다. 1961년 이전 판본들 간의 비교에서 보이는 것보다는 현저하게 줄어든 현상이지만, 한자 어휘가 많이 없어졌고, 기독교적 특수어(register)가 많이 줄어들었으며, 고유어도 많이 사라지고 있으며, 고유한 문법적 요소도 없어지기도 하고 관용적인 표현도 약화된 경우가 있다. 본 연구과제는 이 각각에 대한 자료를 두 가지 성경에서 찾아 분석하는 것이다. 첫째, 성경 창세기 50장에 걸쳐 한자어의 변화 현상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둘째, 역사언어학적 현상의 하나로서 특수어의 생성과 소멸은 언어변화의 자연스런 양상이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기독교의 독특성을 나타내는 어휘나 표현들(Christian registers)이 일반적인 어휘로 대체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개역개정성경에서 나타나는 변화 중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고유 어휘가 상실되고 있다는 것인데 이에 대한 실례를 찾아 이유를 설명한다. 두 성경 판본의 대조를 통해서 관찰하면 고유어 자립 형태소 뿐 아니라 여러 가지 고유어 문법 요소들도 사라지는 경향도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다섯째, 성경에는 관용적인 표현이 많을 바꾸거나 직설적인 표현을 쓰거나 하여 부드럽거나 보편적인 표현이나 편견 없는 말로 바뀐 곳이 있는데 이에 대한 의미 화용론적 설명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성경 번역본 중에서 1961년판인 개역성경과 이의 1998년 개정판인 개역개정성경을 비교하여, 한국어의 고유어, 한자어, 기독교특수어, 관용표현의 변화를 역사언어학...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성경 번역본 중에서 1961년판인 개역성경과 이의 1998년 개정판인 개역개정성경을 비교하여, 한국어의 고유어, 한자어, 기독교특수어, 관용표현의 변화를 역사언어학적 관점에서 기술함으로써, 한 세대 남짓의 기간에 일어난 언어변화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언어의 변화는 개인이나 작은 언어집단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언뜻 눈에 띄지 않지만 일정기간이 지나면 그 변화가 분명해진다. 사회가 급속히 변화는 시대에 있어서의 언어는 단기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언어 변화 특히 어휘의 변화는 사회변동과 함께 급속히 진행된다.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볼 때 과거에 1-2세기에 걸쳐 일어나던 현상보다 더 많은 변화가 현대어에는 한두 세대 만에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역사언어학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고 변화현상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학문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두 가지 성경 번역본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하는 역사언어학적 현상은 어휘에 관한 것이다. 1961년 이전 판본들 간의 비교에서 보이는 것보다는 현저하게 줄어든 현상이지만, 한자 어휘가 많이 없어졌고, 기독교적 특수어(register)가 많이 줄어들었으며, 고유어도 많이 사라지고 있으며, 고유한 문법적 요소도 없어지기도 하고 관용적인 표현도 약화된 경우가 있다. 본 연구과제는 이 각각에 대한 자료를 두 가지 성경에서 찾아 분석하는 것이다. 첫째, 성경 창세기 50장에 걸쳐 한자어의 변화 현상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둘째, 역사언어학적 현상의 하나로서 특수어의 생성과 소멸은 언어변화의 자연스런 양상이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기독교의 독특성을 나타내는 어휘나 표현들(Christian registers)이 일반적인 어휘로 대체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개역개정성경에서 나타나는 변화 중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고유 어휘가 상실되고 있다는 것인데 이에 대한 실례를 찾아 이유를 설명한다. 두 성경 판본의 대조를 통해서 관찰하면 고유어 자립 형태소 뿐 아니라 여러 가지 고유어 문법 요소들도 사라지는 경향도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다섯째, 성경에는 관용적인 표현이 많을 바꾸거나 직설적인 표현을 쓰거나 하여 부드럽거나 보편적인 표현이나 편견 없는 말로 바뀐 곳이 있는데 이에 대한 의미 화용론적 설명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semantic changes of Korean from the comparison of the Revised Korean Bible(1961) and the Newly Revised Korean Bible(1998). The analysis is limited to the first Bible book Genesis. The comparison of the two Bible versions produced in just over a generation gap reveals diverse intriguing diachronic linguistic phenomena in the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The phenomena discussed in this research are four types of semantic change in words: less use of Sino-Korean words, replacement of Christian registers by general terms, loss of authentic Korean words, loss of idiomatic expressions. These changes in the two Bible versions provide the insight of how significantly a contemporary language can change in just over a generation period. The linguistic changes found in this study provide insight into how significantly a contemporary language can change in only one gener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rther research in historical linguistics of Korean by expanding research data.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semantic changes of Korean from the comparison of the Revised Korean Bible(1961) and the Newly Revised Korean Bible(1998). The analysis is limited to the first Bible book Genesis. The comparison of the two Bible versions ...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semantic changes of Korean from the comparison of the Revised Korean Bible(1961) and the Newly Revised Korean Bible(1998). The analysis is limited to the first Bible book Genesis. The comparison of the two Bible versions produced in just over a generation gap reveals diverse intriguing diachronic linguistic phenomena in the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The phenomena discussed in this research are four types of semantic change in words: less use of Sino-Korean words, replacement of Christian registers by general terms, loss of authentic Korean words, loss of idiomatic expressions. These changes in the two Bible versions provide the insight of how significantly a contemporary language can change in just over a generation period. The linguistic changes found in this study provide insight into how significantly a contemporary language can change in only one gener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rther research in historical linguistics of Korean by expanding research dat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