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위험 소아 고형종양에서의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말초혈 조혈모세포이식 = Double High Dose Chemotherapy and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High Risk Pediatric Solid Tum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17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으로 고위험 소아 고형 종양의 치료 성적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나 아직 다수의 환자에서 종양이 재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1회의 고용량 화학요법으로 완치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고위험 고형 종양에서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서 치료성적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에서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말초혈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질환은 신경모세포종 15례, 수모세포종 3례, 뇌간교종 2례, 원시신경외배엽종양 1례, 교모세포종 1례, 털모양별세포종 1례, 악성섬유성조직세포종 1례, 투명세포종 1례, 횡문근육양종 1례이었다.. 1차 및 2차 조혈모세포이식의 혈액학적 회복과 합병증을 비교하였고 고용량 화학요법 전후의 치료반응,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진단시 중앙 연령은 3년 3개월(7개월~16년 6개월)이었고, 1차 이식 시 중앙 연령은 4년 2개월(16개월~16년 8개월), 1차 이식 후 2차 이식까지의 간격은 중앙값 76일(46일~329일)이었다. 1차, 2차 이식 후 절대호중구수가 500/μL에 도달하는데 각각 10일과 11일(P=0.06)이 소요되었으며 혈소판수가 50,000/μL에 도달하는데 각각 24일과 36.5일(P=0.0005)이 소요되었다. Grade 3 이상의 합병증은 1차 이식에서 구내염이 더 많았으며 간정맥 폐쇄성 질환, 구토, 황달, 신기능 저하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2차 이식에서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1차 이식 후 부분 관해였던 21명 중 2차 이식 후 완전 관해가 된 경우가 13명이었다. 대상 환자의 3년 생존율은 62.9%였고, 3년 무병 생존율은 57.7%였다. 사망자 9명의 사인은 질병의 진행 4명, 간정맥 폐쇄성 질환 3명, 폐출혈 1명, RSV 폐렴 1명 순이었다.
      결론: 2차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에서 조혈 기능의 회복이 느리고 합병증의 빈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부분 관해에서 완전 관해로의 전환이 다수에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향후 보다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가 병행된다면 고위험 소아 고형 종양에서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을 통해 치료 성적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배경: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으로 고위험 소아 고형 종양의 치료 성적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나 아직 다수의 환자에서 종양이 재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1회의 고용량 화학요...

      배경: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으로 고위험 소아 고형 종양의 치료 성적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나 아직 다수의 환자에서 종양이 재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1회의 고용량 화학요법으로 완치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고위험 고형 종양에서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서 치료성적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에서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말초혈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질환은 신경모세포종 15례, 수모세포종 3례, 뇌간교종 2례, 원시신경외배엽종양 1례, 교모세포종 1례, 털모양별세포종 1례, 악성섬유성조직세포종 1례, 투명세포종 1례, 횡문근육양종 1례이었다.. 1차 및 2차 조혈모세포이식의 혈액학적 회복과 합병증을 비교하였고 고용량 화학요법 전후의 치료반응,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진단시 중앙 연령은 3년 3개월(7개월~16년 6개월)이었고, 1차 이식 시 중앙 연령은 4년 2개월(16개월~16년 8개월), 1차 이식 후 2차 이식까지의 간격은 중앙값 76일(46일~329일)이었다. 1차, 2차 이식 후 절대호중구수가 500/μL에 도달하는데 각각 10일과 11일(P=0.06)이 소요되었으며 혈소판수가 50,000/μL에 도달하는데 각각 24일과 36.5일(P=0.0005)이 소요되었다. Grade 3 이상의 합병증은 1차 이식에서 구내염이 더 많았으며 간정맥 폐쇄성 질환, 구토, 황달, 신기능 저하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2차 이식에서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1차 이식 후 부분 관해였던 21명 중 2차 이식 후 완전 관해가 된 경우가 13명이었다. 대상 환자의 3년 생존율은 62.9%였고, 3년 무병 생존율은 57.7%였다. 사망자 9명의 사인은 질병의 진행 4명, 간정맥 폐쇄성 질환 3명, 폐출혈 1명, RSV 폐렴 1명 순이었다.
      결론: 2차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에서 조혈 기능의 회복이 느리고 합병증의 빈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부분 관해에서 완전 관해로의 전환이 다수에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향후 보다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가 병행된다면 고위험 소아 고형 종양에서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을 통해 치료 성적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pediatric solid tumors has been improved, but there are still many patients who relapse. In this study, double high dose chemotherapy (HDCT) and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was applied to those who seem to have the least chance to be cured with single HDCT, so that maximize the cure rate of patients with high risk childhood cancers.
      Methods: Twenty six patients received double HDCT and autologous PBSCT from April 1998 to June 2001. Patients' diagnoses were neuroblastoma (15), medulloblastoma (3), brain stem glioma (2),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1), glioblastoma (1), pilocytic astrocytoma (1),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1), clear cell sarcoma (1), and rhabdoid tumor (1). We compared the hematologic recovery and the incidence of transplant-related complications after 1st and 2nd HDCT.
      Results: Median age at diagnosis and at 1st HDCT was 39 mo (7 mo~198 mo) and 50 mo (16 mo~200 mo), respectively. The interval between 1st and 2nd HDCT was median 76 days (46 d~329 d). The neutrophil recovery above ANC 500/μL after 1st and 2nd transplant was attained on day 10 and day 11, respectively (P=0.06). The platelet recovery above 50,000/μL without transfusion dependency was attained on day 24 and day 36.5 after 1st and 2nd transplant, respectively (P=0.0005). Grade 3 or 4 stomatitis was more common during 1st transplant (P=0.045), but other toxicities such as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VOD), hyperbilirubinemia, and renal insufficiency were more common during 2nd transplan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the 21 patients who were in partial remission (PR) after 1st HDCT, 13 patients converted to complete remission (CR) after 2nd HDCT. Patients' 3 year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were 62.9% and 57.7%, respectively. Nine patients died from disease progression (4), VOD (3), pulmonary hemorrhage (1), and RSV pneumonia (1).
      Conclusion: Delayed platelet recovery and various toxicities were more common after 2nd HDCT. But, many patients achieved CR after 2nd HDCT. Therefore, if delicate supportive cares are provided, double HDCT and autologous PBSCT might increase the cure rate of those patients with high risk pediatric solid tumors.
      번역하기

      Background: The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pediatric solid tumors has been improved, but there are still many patients who relapse. In this study, double high dose chemotherapy (HDCT) and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Background: The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pediatric solid tumors has been improved, but there are still many patients who relapse. In this study, double high dose chemotherapy (HDCT) and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was applied to those who seem to have the least chance to be cured with single HDCT, so that maximize the cure rate of patients with high risk childhood cancers.
      Methods: Twenty six patients received double HDCT and autologous PBSCT from April 1998 to June 2001. Patients' diagnoses were neuroblastoma (15), medulloblastoma (3), brain stem glioma (2),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1), glioblastoma (1), pilocytic astrocytoma (1),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1), clear cell sarcoma (1), and rhabdoid tumor (1). We compared the hematologic recovery and the incidence of transplant-related complications after 1st and 2nd HDCT.
      Results: Median age at diagnosis and at 1st HDCT was 39 mo (7 mo~198 mo) and 50 mo (16 mo~200 mo), respectively. The interval between 1st and 2nd HDCT was median 76 days (46 d~329 d). The neutrophil recovery above ANC 500/μL after 1st and 2nd transplant was attained on day 10 and day 11, respectively (P=0.06). The platelet recovery above 50,000/μL without transfusion dependency was attained on day 24 and day 36.5 after 1st and 2nd transplant, respectively (P=0.0005). Grade 3 or 4 stomatitis was more common during 1st transplant (P=0.045), but other toxicities such as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VOD), hyperbilirubinemia, and renal insufficiency were more common during 2nd transplan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the 21 patients who were in partial remission (PR) after 1st HDCT, 13 patients converted to complete remission (CR) after 2nd HDCT. Patients' 3 year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were 62.9% and 57.7%, respectively. Nine patients died from disease progression (4), VOD (3), pulmonary hemorrhage (1), and RSV pneumonia (1).
      Conclusion: Delayed platelet recovery and various toxicities were more common after 2nd HDCT. But, many patients achieved CR after 2nd HDCT. Therefore, if delicate supportive cares are provided, double HDCT and autologous PBSCT might increase the cure rate of those patients with high risk pediatric solid tumo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