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타인지, 인지된 상호작용, 실재감의 웹기반 협력학습 성과 예측력 = Identifying Predicting Power of Metacognition, Perceived Interaction,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53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웹기반 협력학습에 참여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핵심변인을 규명하여 향후 성공적인 협력학습 환경 설계와 운영 지침으로 활용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웹기반 협력학습 성과는 만족도와 인지된 팀 성취도로 상정하였고, 성과를 예측하는 변인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학습과정에서 인지된 상호작용, 인지실재감, 사회실재감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5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에서 메타인지와 인지실재감은 만족도를 예측하고, 사회실재감은 인지된 팀 성취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인지실재감은 메타인지와 만족도 사이를 매개하고, 사회실재감은 인지된 상호작용과 인지된 팀 성취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과 인지된 상호작용도 성공적인 협력학습을 위해 중요하지만, 학습을 진행하면서 인식하는 인지실재감과 사회실재감은 협력학습에서의 만족도와 팀 성취도를 높여주는 핵심 매개변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성공적인 웹기반 협력학습을 진행할 때에는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긍정적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설계전략과 학습자의 인지실재감과 사회실재감을 높여 주는 촉진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을 본 연구는 제안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웹기반 협력학습에 참여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핵심변인을 규명하여 향후 성공적인 협력학습 환경 설계와 운영 지침으로 활용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웹기반 ...

      본 연구는 웹기반 협력학습에 참여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핵심변인을 규명하여 향후 성공적인 협력학습 환경 설계와 운영 지침으로 활용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웹기반 협력학습 성과는 만족도와 인지된 팀 성취도로 상정하였고, 성과를 예측하는 변인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학습과정에서 인지된 상호작용, 인지실재감, 사회실재감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5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에서 메타인지와 인지실재감은 만족도를 예측하고, 사회실재감은 인지된 팀 성취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인지실재감은 메타인지와 만족도 사이를 매개하고, 사회실재감은 인지된 상호작용과 인지된 팀 성취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과 인지된 상호작용도 성공적인 협력학습을 위해 중요하지만, 학습을 진행하면서 인식하는 인지실재감과 사회실재감은 협력학습에서의 만족도와 팀 성취도를 높여주는 핵심 매개변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성공적인 웹기반 협력학습을 진행할 때에는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긍정적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설계전략과 학습자의 인지실재감과 사회실재감을 높여 주는 촉진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을 본 연구는 제안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arning outcomes of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generating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We chose metacognition, perceived interaction, cognitive and social presence as predictors of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fty three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a Web-based course were participa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pplied to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metacognition and cognitive presence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atisfaction and social presence predicts perceived team achievement significantly. Moreover, cognitive presence mediates metacognition and satisfaction, and social presence mediates perceived interaction and perceived team achievement. These findings have implied that the effective facilitat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level of metacognition,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should be implemented whe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s execu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arning outcomes of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generating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We chose metacognition, perceived interaction, cognitive and social presence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arning outcomes of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generating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We chose metacognition, perceived interaction, cognitive and social presence as predictors of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fty three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a Web-based course were participa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pplied to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metacognition and cognitive presence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atisfaction and social presence predicts perceived team achievement significantly. Moreover, cognitive presence mediates metacognition and satisfaction, and social presence mediates perceived interaction and perceived team achievement. These findings have implied that the effective facilitat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level of metacognition,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should be implemented whe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s execu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 서론
      • Ⅱ . 이론적 배경
      • 1. 웹기반 협력학습의 예측변인
      • Ⅲ . 연구방법
      • 1. 연구대상과 절차
      • Ⅰ . 서론
      • Ⅱ . 이론적 배경
      • 1. 웹기반 협력학습의 예측변인
      • Ⅲ . 연구방법
      • 1. 연구대상과 절차
      • 2. 연구도구
      • Ⅳ . 연구결과
      • 1. 기술통계 결과
      • 2. 상관분석 결과
      • 3. 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 분석
      • 4. 인지된 팀 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인 분석
      • 5. 실재감의 매개효과 검증
      • V .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명희,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특성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6 (26): 53-79, 2010

      2 강명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67-85, 2009

      3 김수현, "웹기반 비동기적 토론에서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 만족도, 학업 성취에 대한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99-321, 2006

      4 강명희,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결과를 예측하는 요인 규명"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07-134, 2008

      5 조은미,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23-43, 2010

      6 이정민, "온라인 토론 만족도에 대한 과제가치, 메타인지의 예측력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역할"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333-352, 2011

      7 최종철, "성인학습자 관점을 반영한 사이버대학 교육프로그램 평가준거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87-213, 2007

      8 김원경,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자-학습자 간,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3-46, 2006

      9 주영주,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175-187, 2010

      10 Kang, M.,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and Telecommunications 2007" AACE 2823-2828, 2007

      1 강명희,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특성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6 (26): 53-79, 2010

      2 강명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67-85, 2009

      3 김수현, "웹기반 비동기적 토론에서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 만족도, 학업 성취에 대한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99-321, 2006

      4 강명희,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결과를 예측하는 요인 규명"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07-134, 2008

      5 조은미,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23-43, 2010

      6 이정민, "온라인 토론 만족도에 대한 과제가치, 메타인지의 예측력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역할"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333-352, 2011

      7 최종철, "성인학습자 관점을 반영한 사이버대학 교육프로그램 평가준거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87-213, 2007

      8 김원경,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자-학습자 간,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3-46, 2006

      9 주영주,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175-187, 2010

      10 Kang, M.,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and Telecommunications 2007" AACE 2823-2828, 2007

      11 Akyol, Z., "Understanding cognitive presence in an online and blended community of inquiry : Assessing outcomes and processes for deep approaches to learning" 42 (42): 233-250, 2011

      12 Shin, N.,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24 (24): 69-86, 2003

      13 홍아정, "Reconstructing Self Through Learning: Adults' Learning Experience in Higher Education" 한국성인교육학회 12 (12): 185-218, 2009

      14 Judd, Charles M., "Process analysis : Estimating mediation in treatment evaluations" 5 (5): 602-619, 1981

      15 Maki, R. H., "Prediction of learning and satisfaction in Web-based and lecture courses" 28 (28): 197-219, 2003

      16 Swan, K., "On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course discussions" 9 (9): 115-136, 2005

      17 McCroskey, J. C., "Nonverbal immediacy and cognitive learning :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45 (45): 200-211, 1996

      18 Van de Ven, A. H.,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Wiley 1980

      19 Jaafara, W. M. W.,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eta-cogni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8 : 519-524, 2010

      20 Swan, K., "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 In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 13-45, 2003

      21 Richardson, J. C., "Examining social presence in online courses in relation to students’ perceived learning and satisfaction" 7 (7): 68-88, 2003

      22 Chang, S. H. H., "Effectiveness of personal interaction in a learner-centered paradigm distance education class based on student satisfaction" 40 (40): 407-426, 2008

      23 Wang, M. J., "Cybergogy for engaged learning: A framework for creating learner engagement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Springer Publishing 225-253, 2006

      24 Garrison, D. R., "Critical thinking, cognitive presence, and computer conferencing in distance education" 15 (15): 7-30, 2001

      25 Kang, M.,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ocial presence scale for measuring online learners’ involvement, In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and Telecommunications 2007" AACE 1829-1833, 2007

      26 Kanuka, H., "Cognitive presence in online learning" 15 (15): 21-39, 2004

      27 Garrison, D. R, "Cognitive presence for effective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The role of reflective inquiry, self-direction and metacognition, In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 Practice and direction" 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 47-58, 2003

      28 Shea, P., "Cognitive presence and online learner engagement : A cluster analysis of the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21 (21): 199-217, 2009

      29 Swan, K., "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in online courses :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Education" 2 (2): 23-49, 2002

      30 Picciano, A. G., "Beyond student perceptions : Issues o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6 (6): 21-40, 2002

      31 Koriji, M., "Agent-oriented support environment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7 (7): 226-239, 2001

      32 Coutinho, S. A., "A model of metacogniti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style and self-efficacy" 11 (11): 131-151, 2008

      33 Pintrich, P. R.,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송통신교육연구소 -> 원격교육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2 1.4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