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리부도의 체제 및 내용 변화 = The Change of Structure and Contends of High School Student Atlases Responding to N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43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 지리부도구성 체제 및 내용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외형 및 구성체제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지역지리와 계통...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 지리부도구성 체제 및 내용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외형 및 구성체제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지역지리와 계통지리 영역의 지면구성 및 자료구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지리의 경우 학습주제별 자료구성 및 자료유령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지리부도는 한국지리 영역과 세계지리 영역으로 구성된 본문과 통계자료와 찾아보기 등으로 구성된 부록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1차 교육과정을 제외하고는 지역지리 영역의 지면수가 계통지리 영역의 지면수에 비해 절대적으로 많았다. 셋째, 한국지리 영역의 주제들 중에서도 `지형과 인간생활`, `기후와 인간생활`, `자원과 산업`, `각 지역의 생활`은 항상 포함되어 있다. 넷째, 지리부도는 고유의 구성 체제를 갖추고 제작되었으나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목표가 반영되어 수록 자료의 주제와 유형 등이 일부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how the structure and contends of high school student atlases reflects the changing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Firstly, the format and the composition structure were considered. And material composition and typology we...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how the structure and contends of high school student atlases reflects the changing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Firstly, the format and the composition structure were considered. And material composition and typology were examined for Korean regional geography subjec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ll student atlases are composed of contends on Korean regional geography and world regional geography, and appendix including statistical materials and index. Second, except the first curriculum, student atlases were regional rather than topical in their internal organization. Third, the theme of Korean geography parts always included the chapters of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life`, `climate and human life`, `resource and industry`, and `the lives of the regions`. Fourth, student atlases was publicized reflecting the changed contents of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time and social demands. It is found out that the recorded materials themes and types and so on reflected the contents of textboo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미, "한국의 지리교육과정론" 문음사 2004

      2 교육과정 교과서 연구회, "한국교육과정의 변천-고등학교" 대한교과서 1990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교과서목록" 국립중앙도서관 1982

      4 이윤창, "초등학교 사회과부도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한국교원대학교 2001

      5 정나아, "지리부도 구성 및 주제도에 관한 연구" 6 (6): 25-33, 2006

      6 신희주, "중학교 사회과부도의 내용구성과 활용도분석" 경북대학교 2002

      7 신성순, "중학교 사회과부도와 교과서와의 연계성연구" 공주대학교 1992

      8 리지영, "중학교 사회과부도 지리부분 내용과 체제 비교분석" 상명대학교 2000

      9 강창숙, "중학교 사회과부도 구성자료의 적합성" 6 (6): 1-10, 2006

      10 채금주, "교육현장에서의 지리부도 활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6, 7차 교육과정 지리부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06

      1 박선미, "한국의 지리교육과정론" 문음사 2004

      2 교육과정 교과서 연구회, "한국교육과정의 변천-고등학교" 대한교과서 1990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교과서목록" 국립중앙도서관 1982

      4 이윤창, "초등학교 사회과부도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한국교원대학교 2001

      5 정나아, "지리부도 구성 및 주제도에 관한 연구" 6 (6): 25-33, 2006

      6 신희주, "중학교 사회과부도의 내용구성과 활용도분석" 경북대학교 2002

      7 신성순, "중학교 사회과부도와 교과서와의 연계성연구" 공주대학교 1992

      8 리지영, "중학교 사회과부도 지리부분 내용과 체제 비교분석" 상명대학교 2000

      9 강창숙, "중학교 사회과부도 구성자료의 적합성" 6 (6): 1-10, 2006

      10 채금주, "교육현장에서의 지리부도 활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6, 7차 교육과정 지리부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06

      11 최향선, "교과교재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중학교 사회과부도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2003

      12 곽영주, "고등학교 지리부도의 주제도에 대한 인식도 분석-한국지리 영역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1999

      13 주추미, "고등학교 지리부도의 주제도 분석을 통한 학습 능률 향상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8

      14 권영표, "고등학교 지리부도의 주제도 분석" 고려대학교 1988

      15 박연호, "고등학교 지리부도의 내용분석-5차교육과정의 한국지리 분야를 중심으로" 관동대 1992

      16 류미나, "고등학교 지리부도의 내용구성과 활용실태 조사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2005

      17 Monmonier, M., "Trends in Atlas Development" 18 (18): 187-213, 1981

      18 Petchenik, B.B., "Facts or Values: basic methodological issues in research for educational mapping" 22 (22): 20-42, 1985

      19 Carstner, H. W., "Education through mapping / a new role for the school atlas?" 24 (24): 83-100, 1987

      20 Carswell, R.J.B., "Curriculum Relationships and children’s atlases" 24 (24): 135-145, 1987

      21 Winn, W., "Communication, Cognition and Children’s Atlases" 24 (24): 61-81, 1987

      22 Morrison, J., "Applied cartographic communication : map symbolization for atlases" 21 (21): 45-84,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