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색채심리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청소년의 정서표현과 사회성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57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실험집단은 U시 D초등학교 다문화 청소년 9명이며, 통제집단은 동 학교 비 다문화 학생 10명이 다. 색채심리치료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 회기당 80분, 총 15차시로 구성되었고, 5명의 다문화 예 비 실험군을 대상으로 예비 실험을 실시 후 전문가들의 평가 수정 후 최종 완성하였다. 척도는 사전-사후 정 서 표현 척도(EESC)와 교사용 사회성 기술 평정척도(SSRS)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s α 신뢰도 검증을하였다. 정 서 표현은 점수가 낮을수록 정서표현이 높고, 사회성 기술은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다. 연구 결과, 다문화 청소 년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전보다 사후에 정서표현 점수는 낮아지고(정서 인식 부족: M =3.19→1.93, 정 서표현 부족: M = 3.27→1.98), 사회성 기술 점수는 높아져(협력: M = 2.00→ 2.66, 자기 주장: M = 1.80→ 2.51, 자기 통제: M = 1.83→2.66) 다문화 청소년의 정서 표현 및 사회성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증명하 였다. 본 연구는 일부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전체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실험집단은 U시 D초등학교 다문화 청소년 9명이며, 통제집단은 동 학교 비 다문화 학생 10명이 다. 색채심리치료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 회기당 80분, 총 15차시로 구성...

      본 연구의 실험집단은 U시 D초등학교 다문화 청소년 9명이며, 통제집단은 동 학교 비 다문화 학생 10명이 다. 색채심리치료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 회기당 80분, 총 15차시로 구성되었고, 5명의 다문화 예 비 실험군을 대상으로 예비 실험을 실시 후 전문가들의 평가 수정 후 최종 완성하였다. 척도는 사전-사후 정 서 표현 척도(EESC)와 교사용 사회성 기술 평정척도(SSRS)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s α 신뢰도 검증을하였다. 정 서 표현은 점수가 낮을수록 정서표현이 높고, 사회성 기술은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다. 연구 결과, 다문화 청소 년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전보다 사후에 정서표현 점수는 낮아지고(정서 인식 부족: M =3.19→1.93, 정 서표현 부족: M = 3.27→1.98), 사회성 기술 점수는 높아져(협력: M = 2.00→ 2.66, 자기 주장: M = 1.80→ 2.51, 자기 통제: M = 1.83→2.66) 다문화 청소년의 정서 표현 및 사회성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증명하 였다. 본 연구는 일부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전체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mprove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multicultural Youths. whose color psychotherapy programs are difficult to express inner emotions. The experimental group of this study is 9 multicultural teenagers at D Elementary School in U-city, and the control group is 10 non-multicultural students at the same school. The color psychotherapy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15 times, 80 minutes per session, excluding pre-and post-examinations, and was finally completed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experiments on five multicultural preliminary experiments. The scales were implemented with the Pre-Post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ldren (EESC) and the Teacher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The data were tes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for Windows with a pre-reactive sample t test and Cronbach's alpha reliability verification. Emotional expression is higher when the score is low, and social skills are higher when the social skills are high. As a result of the study, multicultural youth groups had lower emotional expression scores afterwards than control groups (lack of emotional awareness: M→3.19→1.93, lack of emotional expression: M→3.27→1.98), and higher social technology scores (cooperation: M=2.00→2.66, self-assertion: M=1.80=2.51, self-control: M=1.83=2.66). This study is conducted on some multicultural teenagers, a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it as a whole.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improve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multicultural Youths. whose color psychotherapy programs are difficult to express inner emotions. The experimental group of this study is 9 multicultural teenagers at D Elementary Scho...

      This study is to improve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multicultural Youths. whose color psychotherapy programs are difficult to express inner emotions. The experimental group of this study is 9 multicultural teenagers at D Elementary School in U-city, and the control group is 10 non-multicultural students at the same school. The color psychotherapy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15 times, 80 minutes per session, excluding pre-and post-examinations, and was finally completed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experiments on five multicultural preliminary experiments. The scales were implemented with the Pre-Post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ldren (EESC) and the Teacher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The data were tes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for Windows with a pre-reactive sample t test and Cronbach's alpha reliability verification. Emotional expression is higher when the score is low, and social skills are higher when the social skills are high. As a result of the study, multicultural youth groups had lower emotional expression scores afterwards than control groups (lack of emotional awareness: M→3.19→1.93, lack of emotional expression: M→3.27→1.98), and higher social technology scores (cooperation: M=2.00→2.66, self-assertion: M=1.80=2.51, self-control: M=1.83=2.66). This study is conducted on some multicultural teenagers, a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it as a who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 연구 문제
      • 초록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 연구 문제
      • 3. 용어 정의
      • Ⅱ. 연구방법
      • 1. 연구모형
      • 2. 연구대상
      • 3. 연구 설계
      • 4. 색채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 5. 측정 도구
      • 6. 자료 분석
      • Ⅲ. 연구결과
      • 1. 정서 표현에 미치는 효과
      • 2.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 Ⅳ. 결론 및 제언
      • 1. 결론
      • 2.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