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해양경찰의 위그선 도입 가능성 검토 및 효과와 도입에 필요한 인력 및 시설 마련 등 연구를 통하여 경비 및 수색구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위그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40563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5-142(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해양경찰의 위그선 도입 가능성 검토 및 효과와 도입에 필요한 인력 및 시설 마련 등 연구를 통하여 경비 및 수색구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위그선...
이 연구는 해양경찰의 위그선 도입 가능성 검토 및 효과와 도입에 필요한 인력 및 시설 마련 등 연구를 통하여 경비 및 수색구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위그선은 지면효과를 이용하여 수면 위를 날아다니는 비행체인 것은 분명하 지만 국제법적으로 선박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러나 아무리 낮은 고도로 비행 한다 하여도 항공기의 특성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위그선의 해양경찰 경비목적 상 활용되고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체 안정성 확보, 관련인력 확보, 관련 인프라 확보 등의 문제가 선제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해양경찰의 경우 이러한 활성화의 전제조건을 해결할 수 있는 내부의 인적 인프라와 전용부두 공간을 활용한 물적 인프라 구축도 용이하며 위그선 운영 관련 규제에 대하여도 자유로운 법적 측면으로 인해 그 운용상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위그선 사업을 현재 민간이 주도하여 이끌어 가고 있지만 사업의 첫 시행으로 관리감독 기관은 물론 수검대상 업체 역시 안전에 대한 담보를 위해 각종 안전 규제를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으나 해양경찰의 경우 관련법 상 규제대상이 아니므로 국가기관에서의 선제적인 도입 및 시범 운영이 관련 산업의 활성 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ecurity and search and rescue at sea by way of studying on the possibility and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WIG vessel to the Korea Coast Guard and preparing h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ecurity and search and rescue at sea by way of studying on the possibility and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WIG vessel to the Korea Coast Guard and preparing human resources and facilities necessary for the introduction.
The WIG vessel is clearly a flying machine that flie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using ground effects, but it is classified as a ship by international law. However, no matter how low the altitude of such vessel is, the WIG vessel still has the characteristics of aircraft, so a issues such as securing aircraft stability, having related personnel and preparing related infrastructure must be preemptively resolved in order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ast guarding and be used for the related industry actively.
In the case of Korea Coast Guard(KCG), it is easy to build a infrastructure using KCG’s internal human infrastructure and exclusive dock space as a prerequisite matter. In addition, KCG is unlikely to have much difficulty related with the operation of WIG vessel because the regulations regarding a operation of WIG vessel would not apply to the KCG’s operation.
Although the WIG project is currently led by the private sector, the first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requires fulfillment of various safety regulations for assuring the safety of the inspection target companies as well as management and supervision agencies,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preemptive introduction and pilot operation by state agencies such as Korea Coast Guard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revitalization of related industr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양경찰청 홈페이지"
2 해양경찰청, "해양경찰백서" 2019
3 김성철, "해양경찰 항공조직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9
4 김승섭, "한번 사고로 꺽인 위그선의 날개" 한국해사문제연구소 (10) : 2012
5 해양경찰청, "한국형 MDA 구축 기본계획" 해양경찰청 2020
6 해양수산부, "제1차 선원정책 기본계획" 2019
7 박경철, "위그선 및 수륙양용버스 도입 방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1
8 구자윤, "연안 및 인접국가간 여객수송을 위한 다목적 위그선(WIG Craft)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9
9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정책정보"
10 "㈜아론비행선박 홈페이지"
1 "해양경찰청 홈페이지"
2 해양경찰청, "해양경찰백서" 2019
3 김성철, "해양경찰 항공조직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9
4 김승섭, "한번 사고로 꺽인 위그선의 날개" 한국해사문제연구소 (10) : 2012
5 해양경찰청, "한국형 MDA 구축 기본계획" 해양경찰청 2020
6 해양수산부, "제1차 선원정책 기본계획" 2019
7 박경철, "위그선 및 수륙양용버스 도입 방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1
8 구자윤, "연안 및 인접국가간 여객수송을 위한 다목적 위그선(WIG Craft)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9
9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정책정보"
10 "㈜아론비행선박 홈페이지"
11 "IMO MSC.1/Circ.1592, GUIDELINES FOR WING-IN-GROUND CRAFT"
12 "Fischer Flugmechanik(FF)Homepage"
내항해운 경쟁력 확보 및 내항상선 해기사 수급 안정화 방안 연구
ILO 회원국 감독 제도 대응을 위한 해사노동협약 해석론적 연구
국적 외항상선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기전승 필요성과 추진전략에 대한 연구
COVID-19에 따른 SAJ 선박건조계약상 관련 불가항력 조항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 | 0.586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