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근시안적 손실회피 관점에서 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현상유지 편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7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individuals have unique abilities for planned behavior, they also often act irrationally. In this study, we draw on myopic loss aversion perspective as a meta-theoretical lens to explain why mobile applications users have inertia from updating their applications, ultimately leading them to use current version of applications.
      Based on a survey of 219 users, this study conducts its research model using partial least square analysis and also demonstrates that both subconscious triggers (habit and anxiety) of system 1 thinking and conscious triggers (sunk cost and transition cost) of system 2 thinking promotes user's inertia, thus leading to the willness to continue use current versions.
      By grounding the research model in the combination of both status quo bias and du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from the behavioral economics, this study provide an alternative theoretical lens to describe why mobile users hesitate to update their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all trigger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inertia.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ertia and willingness to continue to use current vers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번역하기

      While individuals have unique abilities for planned behavior, they also often act irrationally. In this study, we draw on myopic loss aversion perspective as a meta-theoretical lens to explain why mobile applications users have inertia from updating t...

      While individuals have unique abilities for planned behavior, they also often act irrationally. In this study, we draw on myopic loss aversion perspective as a meta-theoretical lens to explain why mobile applications users have inertia from updating their applications, ultimately leading them to use current version of applications.
      Based on a survey of 219 users, this study conducts its research model using partial least square analysis and also demonstrates that both subconscious triggers (habit and anxiety) of system 1 thinking and conscious triggers (sunk cost and transition cost) of system 2 thinking promotes user's inertia, thus leading to the willness to continue use current versions.
      By grounding the research model in the combination of both status quo bias and du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from the behavioral economics, this study provide an alternative theoretical lens to describe why mobile users hesitate to update their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all trigger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inertia.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ertia and willingness to continue to use current vers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이 업데이트 상황에서 관성을 가지는 이유를 근시안적 손실회피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중정보처리이론과 현상유지편향 이론을 통합하여 사용자의 업데이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용자 관성, 그리고 업데이트 의지간의 관계가설을 제안하였다.
      총 219명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소자승추정법 (partial least square analysis)을 활용하여 제안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시스템 1과 시스템2의 요인들인 습관과 불안감, 그리고 매몰비용과 전이비용이 사용자의 관성을 높이고, 이것이 현재버전을 지속하려는 의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시도는 행동경제학에서 원용되는 이중정보처리이론과 현상유지편향을 통합하여 왜 사용자들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꺼려하는지를 설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이 업데이트 상황에서 관성을 가지는 이유를 근시안적 손실회피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중정보처리이론과 현상유지편향 이론을 ...

      본 연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이 업데이트 상황에서 관성을 가지는 이유를 근시안적 손실회피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중정보처리이론과 현상유지편향 이론을 통합하여 사용자의 업데이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용자 관성, 그리고 업데이트 의지간의 관계가설을 제안하였다.
      총 219명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소자승추정법 (partial least square analysis)을 활용하여 제안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시스템 1과 시스템2의 요인들인 습관과 불안감, 그리고 매몰비용과 전이비용이 사용자의 관성을 높이고, 이것이 현재버전을 지속하려는 의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시도는 행동경제학에서 원용되는 이중정보처리이론과 현상유지편향을 통합하여 왜 사용자들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꺼려하는지를 설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