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사회복지행정체계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방자치 10여년을 지난 현 시점해서 향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199216
2007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3-105(2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사회복지행정체계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방자치 10여년을 지난 현 시점해서 향후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사회복지행정체계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방자치 10여년을 지난 현 시점해서 향후 새로운 세기에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사회복지행정체계를 제시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복지행정체계는 중앙정부의 상의하달식 수직적 체계로 인하여 지역특성과 욕구가 무시되고 수혜대상자의 의견을 반영한 복지서비스의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행정편의 위주의 상의하달식 체계에서는 중간 또는 하부조직에서 수혜대상자의 욕구나 지역의 욕구에 자율적이며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도록 되어 있다. 특히 현재 중앙집권적 복지정책에서의 중요한 문제는 별도의 전담기구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건복지부가 정책을 수립하고 지방정부가 이행하는 서비스 제공은 정책결정기관과 집행기관이 상호 분리되기 때문에 행정 수행 상 매우 심각한 문제가 초래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행정체계를 담당하는 인력이나 조직의 의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행 중앙집권적 사회복지행정체계를 개선하고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공공복지와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중앙정부의 역할과 더불어 지방정부의 중요한 역할을 재편하고 검토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requisites for local governments to increase their capacity to make better social welfare policies in Korea. In fact,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social welfare in Korea has been centralized in a way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requisites for local governments to increase their capacity to make better social welfare policies in Korea. In fact,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social welfare in Korea has been centralized in a way of top-down.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reluctant to delegate its power to local governments with regard to social welfare policies. The local governments also do not have a strong will to reform the current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social welfare policy making due to their limited power and insufficient fiscal resources. Specifically, the main problem of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s that the authority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making has been dispersed with the central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s well a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consistent policies. Another problem is a lack of special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social welfare due to personal and organization factors within the bureaucrac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current administrative system for social welfare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is study argues that local governments can play an important role rather than the central government in increasing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public assistanc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지역복지 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1997
2 "한국사회복지행정조직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7
3 "한국복지행정의 지방자치 실례" 12 (12): 131-153, 2000
4 "한국 지역복지정책의 모형정립에 관한 연구" 6 (6): 203-290, 1996
5 "춘천시 역점사업 잇따른 실패 해법 없나" 2007
6 "참여정부 초기의 지방분권화 및 참여복지 정책방향과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과제" 16 : 151-172, 2003
7 "지역사회복지에 있어서 지방행정의 역할" 5 (5): 51-73, 1996
8 "지역복지향상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실태와 문제" 11 (11): 311-331, 2001
9 "지역복지행정에 관한 고찰" 25 (25): 11-35, 1999
10 "지역복지공급 거버넌스 연구" 36 (36): 313-333, 2002
1 "한국의 지역복지 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1997
2 "한국사회복지행정조직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7
3 "한국복지행정의 지방자치 실례" 12 (12): 131-153, 2000
4 "한국 지역복지정책의 모형정립에 관한 연구" 6 (6): 203-290, 1996
5 "춘천시 역점사업 잇따른 실패 해법 없나" 2007
6 "참여정부 초기의 지방분권화 및 참여복지 정책방향과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과제" 16 : 151-172, 2003
7 "지역사회복지에 있어서 지방행정의 역할" 5 (5): 51-73, 1996
8 "지역복지향상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실태와 문제" 11 (11): 311-331, 2001
9 "지역복지행정에 관한 고찰" 25 (25): 11-35, 1999
10 "지역복지공급 거버넌스 연구" 36 (36): 313-333, 2002
11 "지역복지 서비스 공급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중심으로" 12 (12): 383-402, 2000
12 "지방화시대의 지역복지행정체계확립에 관한 연구(Ⅱ)-지역복지정책의 집행 및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8 (8): 25-47, 1998
13 "지방화시대의 지역복지행정체계확립에 관한 연구(Ⅰ) -지역복지정책의 결정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5 : 349-370, 1995
14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평가연구" 9 (9): 203-222, 1999
15 "지방정부의 복지기능 강화전략" 38 : 71-99, 2003
16 "지방정부에 있어서 복지재정의 문제점과 확충방안" 12 (12): 105-130, 2002
17 "지방자치제도론" 서울: 삼영사 1998
18 "지방자치시대의 지역복지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3 (3): 51-74, 2001
19 "지방자치 실시이후의 복지행정전달체계의 변화와 합리적 방안에 관한 연구" 35 : 291-316, 1996
20 "일본의 지방분권개혁과 시·정·촌 복지행정제도의 구조변화" 8 (8): 233-257, 2005
21 "일본 자치단체의 복지행정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12 (12): 59-71, 2002
22 "일본 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민생위원 복지위원의 역할에 관한 연구" 6 (6): 119-139, 2004
23 "우리나라의 지역복지 행정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14 : 234-256, 1997
24 "사회복지행정체계의 현안과 쟁점" 1 : 61-70, 2002
25 "사회복지행정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28 : 49-71, 2006
26 "사회복지행정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8 (8): 45-82, 1998
27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학문사 2006
28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양서원 2005
29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학지사 2005
30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나남 1993
31 "사회복지학강의" 서울: 양서원 2006
32 "대구시 시민참여예산제도의 발전방안" 대구경북연구원 2006
33 "고령화사회와 복지행정의 대응" 15 (15): 215-230, 2001
34 "http://www.town.samukawa.kanagawa.jp/"
35 "http://www.seoul.go.kr/"
36 "http://www.mohw.go.kr/"
37 "http://www.mhlw.go.jp/bunya/seikatsuhogo/fukusijimusyo.html"
38 "http://www.gyeongbuk.go.kr/Main/main.html"
39 "http://www.daegu.go.kr/"
40 "Introduction of Social Welfare" Prentice-Hall 1980
41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Prentice-Hall 1971
참여정부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의 평가: 지역혁신체제 이론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uilding of Ubiquitous Computing Spatial Environment of Local e-Government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12-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구경북지방자치학회 -> 대한지방자치학회영문명 : Taegu-Kyongbuk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ocal Government Studie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8 | 0.804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