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대공간구조물은 극장, 스타디움, 체육관 등 공공성을 가지게 되어 내진안전성에 있어서 중요성이 많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형식 및 형상에 관하여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49997
2008
Korean
539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9-66(8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부분의 대공간구조물은 극장, 스타디움, 체육관 등 공공성을 가지게 되어 내진안전성에 있어서 중요성이 많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형식 및 형상에 관하여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대...
대부분의 대공간구조물은 극장, 스타디움, 체육관 등 공공성을 가지게 되어 내진안전성에 있어서 중요성이 많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형식 및 형상에 관하여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대공간구조물이 동적하중인 지진하중을 받을 때 나타나는 구조물의 거동은 파악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대공간구조의 주 구조요소인 아치구조물에 대하여 고유진동모드를 검토하였고 모의지진파를 입력하여 지진거동특성을 분석한 결과로서 아치구조물은 설계가속도스펙트럼의 크기보다 장주기 성분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ismic safety is more important for large spatial structure such as theaters, stadiums, gymnasiums since these structure are public goods. It is, however, difficult to understand behavior taking place when large spatial structure which has variety of...
Seismic safety is more important for large spatial structure such as theaters, stadiums, gymnasiums since these structure are public goods. It is, however, difficult to understand behavior taking place when large spatial structure which has variety of structural system and shape receives seismic load. On this study, the natural vibration mode of arch structure which is main structural element of the large spatial structure, is checked. And then, when the artificial earthquake ground motion is applied to arch structure, it is more affective by long period component than magnitude of design acceleration spectrum.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만, "인공지진파 생성기법" 2004
2 정찬우, "아치구조물에 대한 지진동의 수평ㆍ상하 동시입력에 대한 가속도 응답특성" 239-245, 2006
3 정재경, "설계응답스펙트럼을 고려한 인공지진파의 발생에 관한 연구" 145-150, 1999
4 전대한, "설계용 스펙트럼에 적합한 인공지진파의 작성과 응답특성의 분석" 대한건축학회 22 (22): 121-128, 2006
5 이은숙, "라이즈비(Rise-ratio)에 따른 아치의 고유진동 특성" 238-243, 2007
6 김원배, "구조물의 동적해석을 위한 한반도의 인공지진파 작성" 고려대학교 1988
7 전대한, "건축구조물의 지진응답 해석용 모의지진동에 관한 연구" 8 (8): 111-120, 1992
8 日本建築学会, "空間構造の動的擧動と耐震設計"
9 加藤史郎, "植木隆司, 高ライズ単層ラチスドームの地震応答性状" 1992
10 加藤史郎, "低ライズの単層ラチスドームの地震応答性状" 87-96, 1996
1 김진만, "인공지진파 생성기법" 2004
2 정찬우, "아치구조물에 대한 지진동의 수평ㆍ상하 동시입력에 대한 가속도 응답특성" 239-245, 2006
3 정재경, "설계응답스펙트럼을 고려한 인공지진파의 발생에 관한 연구" 145-150, 1999
4 전대한, "설계용 스펙트럼에 적합한 인공지진파의 작성과 응답특성의 분석" 대한건축학회 22 (22): 121-128, 2006
5 이은숙, "라이즈비(Rise-ratio)에 따른 아치의 고유진동 특성" 238-243, 2007
6 김원배, "구조물의 동적해석을 위한 한반도의 인공지진파 작성" 고려대학교 1988
7 전대한, "건축구조물의 지진응답 해석용 모의지진동에 관한 연구" 8 (8): 111-120, 1992
8 日本建築学会, "空間構造の動的擧動と耐震設計"
9 加藤史郎, "植木隆司, 高ライズ単層ラチスドームの地震応答性状" 1992
10 加藤史郎, "低ライズの単層ラチスドームの地震応答性状" 87-96, 1996
11 加藤史郎, "ラチスドームのPush-over analysisに基づく地震応答堆定に関する一考察(1次モードが支配的な空間構造物に対する検討)" 89-96, 2002
3축 가속도계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보에서의 손상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10-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ssocoation For Apatial Structures ->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9-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쉘공간구조학회지 -> 한국공간구조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HELL AND SPATIAL STRUCTURES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AND SPATIAL STRUCTURES | ![]() |
2006-08-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쉘공간구조학회 -> 한국공간구조학회영문명 : Korean Assocoation For Shell And Apatial Structures -> Korean Assocoation For Apatial Structur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5 | 0.527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