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주지역 가톨릭 도입과정과 노안 본당의 역사 : 노안 본당 100년사 = Introduction Process of Catholicism in Gwang-ju province and History of No-ahn Parish : 100 years history of No-ahn Paris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59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ahn parish (old Gye-ryang parish churc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is the oldest parish church second to the Sanjung-dong parish (old Mok-po parish) established in 1897, and is a parish with long history enough to celebrate an anniversary mass for the 100th in 2008. However, there is a lack of historical data to shed new light on the historical value of No-ahn parish, and even the existing data are actually disappearing due to the inadequate storage. Therefore, the necessity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data related to No-ahn parish has been brought up consistently in the diocese. A review on the history of No-ahn parish is an examination of the primary images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beyond simply revealing the historical facts of a parish itself. Because No-ahn parish is where the archdiocese of Gwang-ju strengthened itself basing on developing into the present condition and it is a local foundation that could make diocese into the present position.
      Economic and educational situation of No-ahn was poor because it locates geographically in the suburb of Na-ju and agriculture were considered as a primary industry. Contrary to the this poor situation, the fact that the seeds of the gospel were sown and reared this evangelical local community gives us a meaningful message. Not only that, but how they maintained a religious belief in various historical circumstances over 100 years gives a high historical value.
      The historical values of No-ahn paris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stablished and has been maintained since Jo-seon diocese periods till the jurisdiction was transferred to the establishment of Dae-gu archdiocese, and once again belonged into the archdiocese of Gwang-ju, as like No-ahn Parish experienced and encountered change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Secondly, the No-ahn paris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experienced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and vacancy of a parish priest during the Korean War, and has maintained faith, even when the number of inhabitants decreased due to the farm-abandonment phenomenon in 70~80’s. This fact that the No-ahn parish affrontedmany historical changes would be historically valuable. Thirdly, as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preading Catholicism in Gwang-ju area, they paved the foundation for the people of Jeollanam-do province, where it once was a barren wilderness of catholicity, to be expanded as today. Fourthly, they are maintaining the existence as an extraordinary catholic village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and they can be established as a model of belief in the diocese. Fifthly, the edifice itself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auditorium-typed Western catholic architecture among churche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a historical value as the first Catholic church around Gwang-ju in the regional point of view.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situations of Jeollanam-do and process of establishment until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and investigated difficulties how the priests went through in evangelizing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Also, this study will research efforts how No-ahn parish made to spread the Gospel around the regional community through education projects, and how No-ahn parish is maintaining evangelical community with the village community and living today. And this thesis also tries to get a useful for those whom live today. Specially, in regards to the founding year of the parish, this study will investigate Father Noh Jacob’s argument that the parish was established in 1895, and tries to insist that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in 1908 by criticizing his argument providing truth worthy data.
      However, in spite of the trial to collect all related materials on No-ahn parish for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far from sufficient. Therefore, I, personally, hope and pray for being supplemented through studies by church and the academic sphere in the future.
      번역하기

      No-ahn parish (old Gye-ryang parish churc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is the oldest parish church second to the Sanjung-dong parish (old Mok-po parish) established in 1897, and is a parish with long history enough to celebrate an anniversary mas...

      No-ahn parish (old Gye-ryang parish churc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is the oldest parish church second to the Sanjung-dong parish (old Mok-po parish) established in 1897, and is a parish with long history enough to celebrate an anniversary mass for the 100th in 2008. However, there is a lack of historical data to shed new light on the historical value of No-ahn parish, and even the existing data are actually disappearing due to the inadequate storage. Therefore, the necessity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data related to No-ahn parish has been brought up consistently in the diocese. A review on the history of No-ahn parish is an examination of the primary images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beyond simply revealing the historical facts of a parish itself. Because No-ahn parish is where the archdiocese of Gwang-ju strengthened itself basing on developing into the present condition and it is a local foundation that could make diocese into the present position.
      Economic and educational situation of No-ahn was poor because it locates geographically in the suburb of Na-ju and agriculture were considered as a primary industry. Contrary to the this poor situation, the fact that the seeds of the gospel were sown and reared this evangelical local community gives us a meaningful message. Not only that, but how they maintained a religious belief in various historical circumstances over 100 years gives a high historical value.
      The historical values of No-ahn paris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stablished and has been maintained since Jo-seon diocese periods till the jurisdiction was transferred to the establishment of Dae-gu archdiocese, and once again belonged into the archdiocese of Gwang-ju, as like No-ahn Parish experienced and encountered change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Secondly, the No-ahn paris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experienced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and vacancy of a parish priest during the Korean War, and has maintained faith, even when the number of inhabitants decreased due to the farm-abandonment phenomenon in 70~80’s. This fact that the No-ahn parish affrontedmany historical changes would be historically valuable. Thirdly, as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preading Catholicism in Gwang-ju area, they paved the foundation for the people of Jeollanam-do province, where it once was a barren wilderness of catholicity, to be expanded as today. Fourthly, they are maintaining the existence as an extraordinary catholic village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and they can be established as a model of belief in the diocese. Fifthly, the edifice itself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auditorium-typed Western catholic architecture among churche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a historical value as the first Catholic church around Gwang-ju in the regional point of view.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situations of Jeollanam-do and process of establishment until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and investigated difficulties how the priests went through in evangelizing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Also, this study will research efforts how No-ahn parish made to spread the Gospel around the regional community through education projects, and how No-ahn parish is maintaining evangelical community with the village community and living today. And this thesis also tries to get a useful for those whom live today. Specially, in regards to the founding year of the parish, this study will investigate Father Noh Jacob’s argument that the parish was established in 1895, and tries to insist that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in 1908 by criticizing his argument providing truth worthy data.
      However, in spite of the trial to collect all related materials on No-ahn parish for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far from sufficient. Therefore, I, personally, hope and pray for being supplemented through studies by church and the academic spher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노안 본당(옛 계량 본당)은 광주대교구에서 1897년에 설립된 산정동 본당(옛 목포 본당) 다음으로 1908년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본당이며, 2008년에 본당 설립 100주년 감사 미사를 봉헌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본당이다. 그러나 노안 본당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할만한 역사적 자료가 부족하고, 기존에 보관되어 있던 자료들도 보관 미숙으로 소실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그동안 노안 본당에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교구 내에서 꾸준히 제기되었다. 노안 본당의 역사를 조명하는 작업은 단순히 한 본당의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차원을 넘어서서 광주대교구 초기의 모습들을 살펴보는 작업이다. 광주대교구가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하는데 그 초석을 닦은 곳이기 때문이다.
      노안은 지리적으로 나주에서도 외곽지역에 있으며 전통적인 농업을 주업으로 삼는 곳이기 때문에 경제적․교육적 상황이 열악했다. 그런 곳에 복음의 씨앗이 뿌려져 지금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며 지역사회와 교회가 일치된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음은 그 자체로 많은 교훈을 준다. 그 뿐 아니라 100년이 넘는 시간을 지내면서 여러 역사적 상황들 속에서도 신앙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노안 본당이 가진 역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교구 시절에 설립되어 유지해오다가 대구교구가 설립되면서 관할이 이관되었고 최종적으로 광주교구 소속이 됨으로써 한국 천주교회의 변화를 온 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둘째, 1908년에 설립된 노안 본당은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때에는 주임신부가 공석인 상황을 겪었으며 70~80년대 이농현상이 심화되어 교세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신앙을 유지해 나갔다. 이처럼 한국의 역사적 변화를 온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광주지역에 천주교가 전해지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천주교 신앙의 불모지였던 전라남도 지역의 교세가 오늘날처럼 확장될 수 있었던 기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광주교구의 보기 드문 교우촌으로서 현재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교구 내에서 신앙의 모범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섯째, 성당 건물은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성당 중 강당형 서양 성당건축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성당이라 할 수 있으며, 지역적으로도 광주인근 지역에 처음 생긴 성당 건축물로서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또한 노안 본당이 생기기까지 전라남도의 상황과 설립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후의 교세 확장과정과 제2차 세계대전 및 한국전쟁 때에 겪었던 사제들의 어려움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노안 본당이 펼쳤던 교육사업들을 통해 지역사회를 복음화 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바를 살펴보고, 노안 본당이 마을 공동동체와 어떻게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어가며 생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얻고자 한다. 특별히 본당 설립년도와 관련하여 1895년에 본당이 설립되었다는 노 야고보 신부의 주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대해 근거 자료들을 비판하고 반박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노안본당이 1908년에 설립되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한편 본 논문을 진행하기 위해 노안 본당과 관련된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하려고 노력했으나 자료들이 턱없이 부족했다. 따라서 이후에 교회와 학계에서 이어지는 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희망한다.
      번역하기

      노안 본당(옛 계량 본당)은 광주대교구에서 1897년에 설립된 산정동 본당(옛 목포 본당) 다음으로 1908년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본당이며, 2008년에 본당 설립 100주년 감사 미사를 봉헌했을 정도...

      노안 본당(옛 계량 본당)은 광주대교구에서 1897년에 설립된 산정동 본당(옛 목포 본당) 다음으로 1908년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본당이며, 2008년에 본당 설립 100주년 감사 미사를 봉헌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본당이다. 그러나 노안 본당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할만한 역사적 자료가 부족하고, 기존에 보관되어 있던 자료들도 보관 미숙으로 소실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그동안 노안 본당에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교구 내에서 꾸준히 제기되었다. 노안 본당의 역사를 조명하는 작업은 단순히 한 본당의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차원을 넘어서서 광주대교구 초기의 모습들을 살펴보는 작업이다. 광주대교구가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하는데 그 초석을 닦은 곳이기 때문이다.
      노안은 지리적으로 나주에서도 외곽지역에 있으며 전통적인 농업을 주업으로 삼는 곳이기 때문에 경제적․교육적 상황이 열악했다. 그런 곳에 복음의 씨앗이 뿌려져 지금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며 지역사회와 교회가 일치된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음은 그 자체로 많은 교훈을 준다. 그 뿐 아니라 100년이 넘는 시간을 지내면서 여러 역사적 상황들 속에서도 신앙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노안 본당이 가진 역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교구 시절에 설립되어 유지해오다가 대구교구가 설립되면서 관할이 이관되었고 최종적으로 광주교구 소속이 됨으로써 한국 천주교회의 변화를 온 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둘째, 1908년에 설립된 노안 본당은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때에는 주임신부가 공석인 상황을 겪었으며 70~80년대 이농현상이 심화되어 교세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신앙을 유지해 나갔다. 이처럼 한국의 역사적 변화를 온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광주지역에 천주교가 전해지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천주교 신앙의 불모지였던 전라남도 지역의 교세가 오늘날처럼 확장될 수 있었던 기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광주교구의 보기 드문 교우촌으로서 현재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교구 내에서 신앙의 모범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섯째, 성당 건물은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성당 중 강당형 서양 성당건축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성당이라 할 수 있으며, 지역적으로도 광주인근 지역에 처음 생긴 성당 건축물로서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또한 노안 본당이 생기기까지 전라남도의 상황과 설립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후의 교세 확장과정과 제2차 세계대전 및 한국전쟁 때에 겪었던 사제들의 어려움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노안 본당이 펼쳤던 교육사업들을 통해 지역사회를 복음화 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바를 살펴보고, 노안 본당이 마을 공동동체와 어떻게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어가며 생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얻고자 한다. 특별히 본당 설립년도와 관련하여 1895년에 본당이 설립되었다는 노 야고보 신부의 주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대해 근거 자료들을 비판하고 반박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노안본당이 1908년에 설립되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한편 본 논문을 진행하기 위해 노안 본당과 관련된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하려고 노력했으나 자료들이 턱없이 부족했다. 따라서 이후에 교회와 학계에서 이어지는 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1
      • I. 서론 3
      • 1. 연구 동기 3
      • 2. 연구 목적 4
      • 국문초록 1
      • I. 서론 3
      • 1. 연구 동기 3
      • 2. 연구 목적 4
      • 3. 연구 범위와 방법 5
      • II. 본론 7
      • 제1장 전라남도 지역 천주교 도입 과정 7
      • 1. 목포지역 천주교 도입과정 및 목포 본당의 설립 7
      • 1) 목포지역 천주교 도입과정 7
      • 2) 목포 본당(現 산정동 본당)의 설립 8
      • 2. 계량지역 천주교 도입 과정 및 계량 본당 설립 11
      • 1) 우적동 본당 11
      • 2) 계량 본당(現 노안 본당) 설립 14
      • (1) 계량 공소 설립 14
      • (2) 첫 본당 후보지 선정 - 남산(南山) 16
      • (3) 본당 후보지 변경 - 계량 19
      • 제2장 본당 설립년도에 관한 고찰 21
      • 1. 노 야고보 신부의 주장 21
      • 2. 근거 자료 비판 23
      • 3. 반박 주장 제시 24
      • 4. 설립년도에 관한 소결 29
      • 제3장 파리 외방전교회의 복음화 시기(1908~1930) 30
      • 1. 계량 본당 설립 초기 30
      • 2. 대구대목구 설정 33
      • 3. 성당 신축 및 교세확장 36
      • 1) 벽돌성당 신축 36
      • 2) 첫 사제와 수도자 배출 38
      • 3) 광주 본당과 나주 본당 설립 39
      • (1) 광주 본당 설립 39
      • (2) 나주 본당 설립 43
      • 제4장 광주지목구(光州知牧區) 설정(1931~1940) 46
      • 1. 성 골롬반회의 진출과 전남감목대리구의 설정 46
      • 1) 전라도 감목대리구 설정 46
      • 2) 전남감목대리구 설정 47
      • 2. 광주지목구 설정 49
      • 제5장 제2차 세계대전과 6․25 전쟁(1941~1953) 51
      • 1. 제2차 세계대전 51
      • 1) 성직자들의 감금 및 추방 51
      • 2) 일제의 탄압 53
      • 3) 8․15 광복 55
      • 2. 6․25 전쟁 57
      • 1) 6․25 전쟁 발발 57
      • 2) 성직자들의 수난 58
      • 3) 6․25 전쟁과 노안 본당 59
      • 제6장 노안 본당의 교육 사업 62
      • 1. 신성 학술 강습원 62
      • 2. 성모중학원 63
      • 3. 성 골롬바노 중학교 63
      • 제7장 안정기(1954~1999) 66
      • 1. 전쟁 직후의 노안 본당 66
      • 2. 공소설립을 통한 교세 확장 66
      • 1) 현애원 설립 66
      • 2) 금암 공소 설립 67
      • 3) 옥동 공소 설립 68
      • 4) 삼도 공소 설립 69
      • 3. 한국천주교회 교계제도 설정 70
      • 4. 신용 협동조합 설립 71
      • 5. 노안 청소년 교육장 개소 72
      • 6. 근대문화유산 지정 73
      • 제8장 현재의 발전과정과 농촌 사목의 시도(2001~현재) 76
      • 1. 크리스마스 축제 개최 76
      • 2. 농촌체험마을 지정 78
      • 3. 청소년 교육원 건립 80
      • 4. 친환경 농촌사목 82
      • 5. 순례길 조성 83
      • 6. 베타니아의 집 건립 84
      • III. 결론 86
      • 1. 요약 86
      • 2. 나가는 말 88
      • 부 록 90
      • 참 고 문 헌 134
      • Abstract 14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