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치매환자 부양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9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구자들은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반응이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부양자의 스트레스 반응과 건강에 대한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의 가족부양자 192명(여: 142) 이었으며, 그들의 연령 평균은 52.35 (SD=12.41)세였다. 다양한 심리검사를 이용하여 치매환자 부양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반응, 건강지각, 신체증상, 우울, 자아존중감, 주관안녕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반응이나 정신건강과 신체건강과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건강지각이나 자아존중감과 관계하고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부양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자기효능감이 부양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 신체증상 및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완충작용을 하고 있었다. 스트레스반응이나 신체증상과 같은 부정적인 변인의 부양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가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에서 더 적었으며, 주관안녕과 같은 긍정적인 변인의 부양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는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치매환자 부양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과 중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한국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구자들은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반응이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부양자의 스트...

      한국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구자들은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반응이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부양자의 스트레스 반응과 건강에 대한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의 가족부양자 192명(여: 142) 이었으며, 그들의 연령 평균은 52.35 (SD=12.41)세였다. 다양한 심리검사를 이용하여 치매환자 부양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반응, 건강지각, 신체증상, 우울, 자아존중감, 주관안녕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반응이나 정신건강과 신체건강과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건강지각이나 자아존중감과 관계하고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부양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자기효능감이 부양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 신체증상 및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완충작용을 하고 있었다. 스트레스반응이나 신체증상과 같은 부정적인 변인의 부양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가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에서 더 적었으며, 주관안녕과 같은 긍정적인 변인의 부양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는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치매환자 부양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과 중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quickly becoming an ageing society in Korea, Researchers investigated how family dementia caregivers" stresses and self-efficacy are related to their stress responses and physical/mental health, and the interaction of caregiving stresses and self-efficacy on caregivers" stress responses and health. The participants were 192 family caregivers (142 females) of demented patients lived in Seoul, whose average of age were 52.35 (SD=12.41). The various psychological tests were used to measure caregivers" stresses, self-efficacy, stress responses, perceived health,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indicated that caregiving stresses were closely related to stress respons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givers"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health and self-estee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moderat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ers" stresses and stress responses or physical/mental health. These results indicated buffer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negative results in stress responses, physical symptom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aregiving stresses with demented patients. For negative results of caregivers" stresses, such as stress responses or physical symptoms, differences by caregivers" stresses were less explicit in group with low self-efficacy, while difference of subjective well-being was only significant in group with high self-efficac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phenomenologic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with focusing on the promotion and intervention of dementia caregive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Korean J Str Res 2009;17:111∼120)
      번역하기

      With quickly becoming an ageing society in Korea, Researchers investigated how family dementia caregivers" stresses and self-efficacy are related to their stress responses and physical/mental health, and the interaction of caregiving stresses and self...

      With quickly becoming an ageing society in Korea, Researchers investigated how family dementia caregivers" stresses and self-efficacy are related to their stress responses and physical/mental health, and the interaction of caregiving stresses and self-efficacy on caregivers" stress responses and health. The participants were 192 family caregivers (142 females) of demented patients lived in Seoul, whose average of age were 52.35 (SD=12.41). The various psychological tests were used to measure caregivers" stresses, self-efficacy, stress responses, perceived health,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indicated that caregiving stresses were closely related to stress respons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givers"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health and self-estee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moderat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ers" stresses and stress responses or physical/mental health. These results indicated buffer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negative results in stress responses, physical symptom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aregiving stresses with demented patients. For negative results of caregivers" stresses, such as stress responses or physical symptoms, differences by caregivers" stresses were less explicit in group with low self-efficacy, while difference of subjective well-being was only significant in group with high self-efficac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phenomenologic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with focusing on the promotion and intervention of dementia caregive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Korean J Str Res 2009;17:111∼12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참고문헌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참고문헌
      • 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