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실험적 급성 신우신염이 유발된 이유기 백서에서 methylprednisolone이 TGF-${\beta}1$, 세포고사 및 신반흔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ethylprednisolone on TGF-${\beta}1$, Apoptosis and Renal Scarring in Experimental Acute Pyelonephritic Weaning Ra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70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성장기 신장에서의 급성신우신염은 신반흔으로 진행된다. 신반흔의 형성에는 세균자체보다도 숙주의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의 산물인 TGF-${\beta}1$이 세포 고사를 증가시키고 세포증식...

      목 적 :성장기 신장에서의 급성신우신염은 신반흔으로 진행된다. 신반흔의 형성에는 세균자체보다도 숙주의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의 산물인 TGF-${\beta}1$이 세포 고사를 증가시키고 세포증식을 억제함으로서 섬유화를 촉진한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항염증제인 methyl-prednisolone (MP)이 실험적으로 급성신우신염을 일으킨 이유기 백서에서 신반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생후 3주(체중 50-60g)된 이유기 Sprague-Dawley 백서의 방광에 삽입된 16 guage의 실리콘 도관내로 107/mL 농도의 E coli (ATCC No. 25922, pili형)를 5 mL씩 주입하여 급성신우신염을 유발하였다. 실험군은 1군 (ceftriaxone 단독투여, n=31)과 2군 (MP와 ceftriaxone투여, n=28)으로 나누었고 대조군 (n=43)에는 약제를 투여하지 않았다. 실험 1주와 3주에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병리 조직학적 소견상 염증점수, 세포고사 지수와 TGF-${\beta}1$ 발현점수 및 섬유화 점수를 관찰하였다. 결 과 : 사망률은 II군이 $21.4\%$였으나 대조군 $41.9\%$, I군 $32.3\%$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염증 점수는 실험 1주에 II군에서 $0.8{\pm}0.87$로 대조군의 $2.3{\pm}0.87$, I군의 $1.7{\pm}0.79$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세포고사 지수는 실험 1주에 II군에서 $2.9{\pm}2.15$로 대조군의 $10.0{\pm}1.95$, I군의 $8.3{\pm}2.53$에 비하여 유의 하게 낮았다 (P<0.05). TGF-${\beta}1$발현도 실험 1주에 II군에서 $0.8{\pm}0.72$로 대조군의 $1.90{\pm}67$, I군의 $1.8{\pm}0.60$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섬유화 지수는 실험 3주에 II군에서 $0.8{\pm}0.63$로 대조군의 $1.8{\pm}0.83$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결 론 : 성장기 백서의 실험적 급성 신우신염에서 MP는 ceftriaxone단독 투여에 비하여 염증 반응, 세포고사, TGF-${\beta}1$발현, 섬유화를 모두 감소 시켰다. 즉 항생제 외에 항염증제의 병용투여가 신반흔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지연등 신반흔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에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Acute pyelonephritis of growing kidneys may result in renal scarring. TGF-${\beta}1$, inflammatory cytokine, has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renal scarring through apoptosis, suppression of cellular proliferation and ...

      Purpose Acute pyelonephritis of growing kidneys may result in renal scarring. TGF-${\beta}1$, inflammatory cytokine, has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renal scarring through apoptosis, suppression of cellular proliferation and fibrosis. We observed the effects of a potent anti-inflammatory agent, methylprednisolone on apoptosis and renal scarring in experimentally induced acute pyelonephritic weaning rats. Materials and Methods: To induce ascending pyelonephritis a saline solution containing Escherichia coli type ATCC No. 25922, pili- form (107 bacteria/mL) was infused into the bladder through the 16-guage silicone cannula for 48 hours to 102 three-week-old Sprague-Dawley rats (50-60g).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reatment protocols, group I (ceftriaxone only, n=3l), group II (methylprednisolone+ceftriaxone n=28), control group (n=43) was not treated. Histopathologic scores of inflammatory changes, fibrosis and tubular atrophy, the apoptosis index and TGF-${\beta}1$ expression score were observed at post-infection 1 and 3 week. Datas were analysed using ANOVA test and P value below 0.05 was interpreted as significant. Results: The mortality rate ($21.4\%$) of group II was not different to the control group ($41.9\%$) and group I ($32.3\%$). The inflammatory score of group II ($0.8{\pm}0.87$) at week 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2.3{\pm}0.87$) and Group I ($1.7{\pm}0.79$) (P<0.05). Apoptosis index of group II ($2.9{\pm}2.15$) at week 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10.0{\pm}1.95$) and group 1 ($8.3{\pm}2.53$) (P<0.05). TCF-${\beta}1$ expression score of group II ($0.8{\pm}0.72$) at week 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1.9{\pm}0.68$) and group I ($1.8{\pm}0.60$) (P<0.05). The fibrosis score of group II ($1.1{\pm}1.10$) at week 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I ($1.8{\pm}0.83$) (P<0.05) Conclusion: Conclusion Combined treatment with methylprednisolone and ceftriaxone reduced inflammation, fibrosis, apoptosis and TGF-${\beta}1$ expression in acute pyelonephritic weaning rats, compared to ceftriaxone alone. Anti-inflammatory agent supplemented to antibiotics could prevent renal scarring more effectively.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2 ; 6 : 75-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