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양저류함수 모형을 이용한 개념적 강우 유출모형의 장기 유출 모의 적용성 평가 = Assessment of Continuous Simulations of Rainfall Runoff Models Based on Soil Moisture Accounting Models at Guem River Catchments,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0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금강유역의 특성인자 기반의 유역그룹과 토양저류함수모형기반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의 적용관계를 평가하였다. 3개의 유역 그룹은금강 22개 계측 유역의 주요 유역특성인자(면적, 경사도, SCS-CN)의 수문학적 거리산정방법으로 산정하였다.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은3개의 토양저류 함수 모형(확률분포모형(PDM), 유역습윤지수 모형(CWI), 수정팬맨 모형(MP))과 3개의 개념적 유역유출모형(2선형저류지 유출 모형(2PAR), 표면하 흐름을 고려한 2선형저류지 모형(2PMP), 3선형저류지 모형(3PAR)의 조합형으로 9개의 모형을 적용하였다. 대상 모형은 2006년~2012년의 기간, 2001-2005년의 기간의 일자료를 대상으로 각각 검정(Monte Carlo method-Uniform Random Sampling)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모형의 성능은 Nash Sutcliffe Efficiency 목적함수로 평가하였다. 금강의 유역그룹과 토양저류함수모형의 모형성능과의 뚜렷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금강유역을 단일 유역그룹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검정/검증 성능 및 검정매개변수의 개수를 바탕으로 한 적용성 평가 결과에서 확률분포모형(PDM)이 금강 22개 유역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적용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확률분포모형(PDM)과 2선형 저류지 유출 모형(2PAR)을 금강 강우유출모형개발을 위한기본모형으로 제시하고, 향후 이를 바탕으로 금강유역의 바탕으로 금강유역의 대표 강우유출모형을 개발 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금강유역의 특성인자 기반의 유역그룹과 토양저류함수모형기반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의 적용관계를 평가하였다. 3개의 유역 그룹은금강 22개 계측 유역의 주요 유역특성인자(면적, 경사도...

      금강유역의 특성인자 기반의 유역그룹과 토양저류함수모형기반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의 적용관계를 평가하였다. 3개의 유역 그룹은금강 22개 계측 유역의 주요 유역특성인자(면적, 경사도, SCS-CN)의 수문학적 거리산정방법으로 산정하였다.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은3개의 토양저류 함수 모형(확률분포모형(PDM), 유역습윤지수 모형(CWI), 수정팬맨 모형(MP))과 3개의 개념적 유역유출모형(2선형저류지 유출 모형(2PAR), 표면하 흐름을 고려한 2선형저류지 모형(2PMP), 3선형저류지 모형(3PAR)의 조합형으로 9개의 모형을 적용하였다. 대상 모형은 2006년~2012년의 기간, 2001-2005년의 기간의 일자료를 대상으로 각각 검정(Monte Carlo method-Uniform Random Sampling)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모형의 성능은 Nash Sutcliffe Efficiency 목적함수로 평가하였다. 금강의 유역그룹과 토양저류함수모형의 모형성능과의 뚜렷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금강유역을 단일 유역그룹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검정/검증 성능 및 검정매개변수의 개수를 바탕으로 한 적용성 평가 결과에서 확률분포모형(PDM)이 금강 22개 유역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적용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확률분포모형(PDM)과 2선형 저류지 유출 모형(2PAR)을 금강 강우유출모형개발을 위한기본모형으로 제시하고, 향후 이를 바탕으로 금강유역의 바탕으로 금강유역의 대표 강우유출모형을 개발 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ssesses a relationship between catchment groups and model performance of nine Conceptual Rainfall Runoff models at 22 Guem river sub catchments. Three catchment groups (H1, H2 and H3) are derived from Hydrological distance measuring based on three catchment characteristics (i.e. Area, slope and SCS-CN). 9 CRR models, which are combined from 3 Soil Moisture Accounting models (Probability Distributed Model, Catchment Wetness Index model, Modified Penman type model) and 3 Routing models (2- conceptual reservoirs in parallel, 2-conceptual reservoirs in parallel with Macro-pre Approach, 3-conceptual reservoirs in parallel) in Rainfall-Runoff Modeling Toolkit. The models are calibrated and validated in the period of 2006-2012 and 2001-2005 respectively.
      The model performance in Nash Surcliffe Efficiency is compared in terms of model structures and catchment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atchment groups and model structures and suggest one group for Guem river region. However, PDM-SMA Models show generally good performances in calibration, validation and Number of calibrated model parameters. PDM with 2PAR model is recommended as a rainfall runoff model for Guem river region.
      번역하기

      This study assesses a relationship between catchment groups and model performance of nine Conceptual Rainfall Runoff models at 22 Guem river sub catchments. Three catchment groups (H1, H2 and H3) are derived from Hydrological distance measuring based ...

      This study assesses a relationship between catchment groups and model performance of nine Conceptual Rainfall Runoff models at 22 Guem river sub catchments. Three catchment groups (H1, H2 and H3) are derived from Hydrological distance measuring based on three catchment characteristics (i.e. Area, slope and SCS-CN). 9 CRR models, which are combined from 3 Soil Moisture Accounting models (Probability Distributed Model, Catchment Wetness Index model, Modified Penman type model) and 3 Routing models (2- conceptual reservoirs in parallel, 2-conceptual reservoirs in parallel with Macro-pre Approach, 3-conceptual reservoirs in parallel) in Rainfall-Runoff Modeling Toolkit. The models are calibrated and validated in the period of 2006-2012 and 2001-2005 respectively.
      The model performance in Nash Surcliffe Efficiency is compared in terms of model structures and catchment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atchment groups and model structures and suggest one group for Guem river region. However, PDM-SMA Models show generally good performances in calibration, validation and Number of calibrated model parameters. PDM with 2PAR model is recommended as a rainfall runoff model for Guem river reg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우, "유역유출모형에 의한 유출특성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19-134, 2014

      2 최호훈, "미호천 유역의 지역화 연구를 위한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의 평가" 한국방재학회 12 (12): 193-203, 2012

      3 안상억, "다목적함수를 이용한 PDM 모형의 유량 분석" 한국방재학회 9 (9): 93-102, 2009

      4 이소정, "금강 유역특성과 PDMM 강우-유출모형의 적용성 관계 평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41-60, 2014

      5 이효상,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한 GIS 기반의 유역의 유사성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1 (21): 37-46, 2013

      6 "http://www.wamis.go.kr"

      7 "http://www.geumriver.go.kr"

      8 Kim, J. C., "Validation of HEC-1 Model Parameter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lationships" 2010 (2010): 1833-1836, 2010

      9 MLTM, "The estimation method of design floods in Korea"

      10 MLTM, "The estimation method of design floods in Korea"

      1 김태우, "유역유출모형에 의한 유출특성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19-134, 2014

      2 최호훈, "미호천 유역의 지역화 연구를 위한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의 평가" 한국방재학회 12 (12): 193-203, 2012

      3 안상억, "다목적함수를 이용한 PDM 모형의 유량 분석" 한국방재학회 9 (9): 93-102, 2009

      4 이소정, "금강 유역특성과 PDMM 강우-유출모형의 적용성 관계 평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41-60, 2014

      5 이효상,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한 GIS 기반의 유역의 유사성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1 (21): 37-46, 2013

      6 "http://www.wamis.go.kr"

      7 "http://www.geumriver.go.kr"

      8 Kim, J. C., "Validation of HEC-1 Model Parameter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lationships" 2010 (2010): 1833-1836, 2010

      9 MLTM, "The estimation method of design floods in Korea"

      10 MLTM, "The estimation method of design floods in Korea"

      11 Moore, R., "The Probability-Distributed Principle and Runoff Prediction at Point and Basin Scales" 30 (30): 282-290, 1985

      12 Bloschl, G., "The June 2013 Flood in The Upper Danube Basin, and Comparisons with The 2002, 1954 and 1899 Floods" 17 (17): 5197-5212, 2013

      13 Ponce, V. M., "Runoff curve number: Has it reached maturity" 1 (1): 11-19, 1996

      14 Shin, W. J.,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rainfall- runoff simulation and index flood method" Kyunghee University 2015

      15 Beven, K., "Rainfall-runoff modelling the primer" John Wiley & Sons LTD 2001

      16 Wagener, T., "Rainfall-runoff modeling in gaged and ungagged catchments" Imperial College Press 2004

      17 Kjeldsen, T. R., "Modeling The Impact of Urbanisation on Flood Runoff Volumes" 162 (162): 329-336, 2009

      18 Jolley, T. J., "Large-scale hydrological modeling: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mproved land-surface parameterizations for meteorological input" Imperial College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1995

      19 Jakeman, A.J., "How Much Complexity is Warranted in A Rainfall-Runoff Model?" 29 (29): 2637-2649, 1993

      20 Institute of Hydrology, "Flood estimation handbook. 3 volumes and associated software" Institute of Hydrology 1999

      21 Ko, A. R., "Empirical Flood Risk Assessment Mid·Small Catchments, Upper Geum River" 9 (9): 105-120, 2013

      22 Khazaei, M. R., "Development of An Automatic Calibration Tool Using Genetic Algorithm for The ARNO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 39 (39): 2535-2549, 2014

      23 Jakeman, A. J., "Computation of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and Identifiable Component Flows with Application to Two Small Upland Catchments" 117 (117): 275-300, 1990

      24 Wagener. T., "Catchment Classification and Hydrologic Similarity" 1 (1): 901-931, 2007

      25 Jakeman, A. J., "Assessing Uncertainties in Hydrological Response to Climate at Large Scale" (214) : 37-47, 1993

      26 Lee, H. S., "Application Study of Conceptual Rainfall Runoff Models in Chungbuk, Bocheongchun Basin" 29 (29): 43-53, 2010

      27 Wagener, T., "A Framework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ydrological Models" 1 (1): 13-26, 2001

      28 Parajka, J., "A Comparison of Regionalisation Methods for Catchment Model Parameters" 9 (9): 157-172,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