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LID 시설의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에 대한 우수유출 저감효과분석 = Rainfall Runoff Reduction Analysis for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of LID Fac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0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 efficiency of Runoff reduction at LID element techniques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LID. Using the improved SWMM 5.1 ver analyzed the runoff reduction efficiency of LID element technolog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values presented in Washington State University. Permeable pavement is analyzed the highest total runoff reduction efficiency and vegetation swale is analyzed the cheapes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Bio-retention cell is analyzed the highes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 efficiency of runoff reduction. As a result, Bio-retention cell to be applied in target area can be most effectively reduced runoff.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 efficiency of Runoff reduction at LID element techniques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LID. Using the improved SWMM 5.1 ver analyzed the runoff reduction efficiency of LID element techn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 efficiency of Runoff reduction at LID element techniques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LID. Using the improved SWMM 5.1 ver analyzed the runoff reduction efficiency of LID element technolog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values presented in Washington State University. Permeable pavement is analyzed the highest total runoff reduction efficiency and vegetation swale is analyzed the cheapes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Bio-retention cell is analyzed the highes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 efficiency of runoff reduction. As a result, Bio-retention cell to be applied in target area can be most effectively reduced runoff.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에서의 LID의 적용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ID 요소기술의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 대비 유출저감 효율을 분석하였다. LID 요소기술의 유출저감 효율분석은 새롭게 개선된 SWMM 5.1 ver.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은 Washington State Univ.에서 제시한 값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총 유출량 저감효율은 투수성포장이 가장 높았으며,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은 식생수로가 가장 저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대비 총유출량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LID 요소기술은 생태저류장치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대상유역은 생태저류장치를 시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우수유출수를 저감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에서의 LID의 적용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ID 요소기술의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 대비 유출저감 효율을 분석하였다. LID 요소기술의 유출저감 효율분석은 새롭게 개선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에서의 LID의 적용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ID 요소기술의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 대비 유출저감 효율을 분석하였다. LID 요소기술의 유출저감 효율분석은 새롭게 개선된 SWMM 5.1 ver.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은 Washington State Univ.에서 제시한 값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총 유출량 저감효율은 투수성포장이 가장 높았으며,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은 식생수로가 가장 저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대비 총유출량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LID 요소기술은 생태저류장치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대상유역은 생태저류장치를 시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우수유출수를 저감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형, "투수성 아스팔트포장 구조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13 (13): 39-49, 2011

      2 임용균,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을 통한 비점오염원 저감 및 비용효율 분석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1-14, 2014

      3 이상염, "서울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기능적 평가 연구" 한국도로학회 14 (14): 33-39, 2012

      4 주진걸, "도시지역 우수유출 저감을 위한 식재박스형 침투시설의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5330-5336, 2011

      5 주진걸, "가로수목공간 조성기술의 적용을 통한 장기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한국방재학회 12 (12): 193-197, 2012

      6 Chris, C., "Virfinia Street Tree Box Filters Demonstration Project" 1-40, 2007

      7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Type of Runoff Reduction Facilities, Structure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Standards 2010

      8 Korea Environmental Coperation, "The Study Report od Zeroing the Feasibility for Non-point Source Pollutant in Urban Areas" Korea Environment Corporatio 183-261, 2009

      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tormwater pumping stations operating system improvement project" 1-2, 2010

      10 Boston Water and Sewer Commission, "Stormwater Best Management" Guidance Document 2013

      1 이수형, "투수성 아스팔트포장 구조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13 (13): 39-49, 2011

      2 임용균,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을 통한 비점오염원 저감 및 비용효율 분석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1-14, 2014

      3 이상염, "서울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기능적 평가 연구" 한국도로학회 14 (14): 33-39, 2012

      4 주진걸, "도시지역 우수유출 저감을 위한 식재박스형 침투시설의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5330-5336, 2011

      5 주진걸, "가로수목공간 조성기술의 적용을 통한 장기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한국방재학회 12 (12): 193-197, 2012

      6 Chris, C., "Virfinia Street Tree Box Filters Demonstration Project" 1-40, 2007

      7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Type of Runoff Reduction Facilities, Structure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Standards 2010

      8 Korea Environmental Coperation, "The Study Report od Zeroing the Feasibility for Non-point Source Pollutant in Urban Areas" Korea Environment Corporatio 183-261, 2009

      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tormwater pumping stations operating system improvement project" 1-2, 2010

      10 Boston Water and Sewer Commission, "Stormwater Best Management" Guidance Document 2013

      11 Unu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User’s Manual Version 5.0"

      12 신동수, "SWMM-LID를 이용한 상습침수유역 내 유출저감효과 분석" 한국방재학회 13 (13): 303-309, 2013

      13 A. Palla, "Modelling storm water control operated by green roofs at the urban catchment scale" 2008

      14 Washington State University, "Low Impact Dvelopment Technical Guidance Manual for Puget Sound"

      15 이정민, "LID 기법 적용에 따른 물순환 효과분석" 한국습지학회 16 (16): 411-421, 2014

      16 Ministry of Environment, "LID Techniques Utilizing Naturally-Nonpoint Source Management Plan Prepared" 2008

      17 Eugene K, "Hydrologic Evalu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Using a Continuous" Spatially-Distributed Model 2008

      18 Ministry of Environment, "Guidance Revised Ecological Area Ratio(Draft)"

      19 조선주, "EPA-SWMM을 이용한 LID 기법의 비점오염 저감효과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9 (29): 466-475,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