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획밀집도 인지가설의 검증 = The Test of Hypotheses about Stroke Density Eff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120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discovery of word superiority effect, many students have tried to prove word shape effect. Nevertheless, word shape effect has never been corroborated yet. Bonyoung Koo indicated one of the reasons of fail to prove word shape effect is from narrow interpretation of whole image of word, mentioned as potent factors of word shape effect. He formulate hypotheses that stroke density also works as one of factors of whole image of word and proved it. However, it was possible that unexpected factors affected his experiment. The text that the stroke density was strengthened stands out visually. Consequently, this study prepared an experiment to cut off unexpected factors; the darkness of the parts of strokes was manipulated according to stroke density.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ext that stroke density effect was exaggerated was more readable than that was reduced(P>0.05). Although it was not enough to prove stroke density effect, the stroke density effect is supported by the experiment, considered with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hypotheses.
      번역하기

      Since discovery of word superiority effect, many students have tried to prove word shape effect. Nevertheless, word shape effect has never been corroborated yet. Bonyoung Koo indicated one of the reasons of fail to prove word shape effect is from narr...

      Since discovery of word superiority effect, many students have tried to prove word shape effect. Nevertheless, word shape effect has never been corroborated yet. Bonyoung Koo indicated one of the reasons of fail to prove word shape effect is from narrow interpretation of whole image of word, mentioned as potent factors of word shape effect. He formulate hypotheses that stroke density also works as one of factors of whole image of word and proved it. However, it was possible that unexpected factors affected his experiment. The text that the stroke density was strengthened stands out visually. Consequently, this study prepared an experiment to cut off unexpected factors; the darkness of the parts of strokes was manipulated according to stroke density.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ext that stroke density effect was exaggerated was more readable than that was reduced(P>0.05). Although it was not enough to prove stroke density effect, the stroke density effect is supported by the experiment, considered with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hypothe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단어우월효과의 발견 이래 100여 년간 서구의 연구자들은 단어윤곽인지론의 증명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아직까지 확증적 결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구본영은 단어우월효과에서 도출된 단어의 총체적인 이미지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 단어윤곽 인지론이 정립되지 못한 원인의 하나로 판단하였다. 그는 획밀집도 역시 단어의 총체적인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로 판단하고 실험을 통해 증명한바 있다. 그러나 그의 획밀집도 인지실험에 사용된 획밀집 강화형 문장은 본문이 배경에 비해 두드러져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 실험목적 외적요인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적요인의 개입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획밀집 영역과 그 외 영역의 획의 명도를 달리하여 독서 수월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획밀집효과 강화형 문장의 독서속도가 약화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선행연구결과와 함께 해석 하면 획밀집도 역시 단어의 인지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단어우월효과의 발견 이래 100여 년간 서구의 연구자들은 단어윤곽인지론의 증명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아직까지 확증적 결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구본영은 단어우월효과...

      단어우월효과의 발견 이래 100여 년간 서구의 연구자들은 단어윤곽인지론의 증명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아직까지 확증적 결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구본영은 단어우월효과에서 도출된 단어의 총체적인 이미지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 단어윤곽 인지론이 정립되지 못한 원인의 하나로 판단하였다. 그는 획밀집도 역시 단어의 총체적인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로 판단하고 실험을 통해 증명한바 있다. 그러나 그의 획밀집도 인지실험에 사용된 획밀집 강화형 문장은 본문이 배경에 비해 두드러져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 실험목적 외적요인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적요인의 개입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획밀집 영역과 그 외 영역의 획의 명도를 달리하여 독서 수월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획밀집효과 강화형 문장의 독서속도가 약화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선행연구결과와 함께 해석 하면 획밀집도 역시 단어의 인지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우현, "한글 낱자 지각에서의 단어 및 글자 우월효과"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8 (18): 139-156, 2006

      2 구본영, "풀어쓰기한글의 타당성 고찰 - 주시경, 김두봉, 최현배의 풀어쓰기 안을 중심으로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9 : 31-38, 2009

      3 구본영, "본문용 한글서체의 구조와 인지요인 상관성 연구" 단국대학교 2010

      4 구본영, "네모틀한글서체의 획밀도 차이가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학회 21 (21): 279-287, 2008

      5 구본영, "word shape 인지론의 不正立원인" 2009

      6 Paap, K. R, "Word shape’s in poor shape for the race to the lexicon" 10 : 1984

      7 Beech, J.R, "The word shape hypothesis re-examined: evidence for an external feature advantage in visual word recognition" 28 (28): 2005

      8 Cattell,J, "The time taken up by cerebral operations"

      9 Larson, K, "The Science of Word Recognition: or how I learned to stop worrying and love the bouma, Advanced Reading Technology, Microsoft Corporation"

      10 McClelland, J, "Preliminary Letter Identification in the Perception of Words and Nonwords" 2 (2): 1976

      1 정우현, "한글 낱자 지각에서의 단어 및 글자 우월효과"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8 (18): 139-156, 2006

      2 구본영, "풀어쓰기한글의 타당성 고찰 - 주시경, 김두봉, 최현배의 풀어쓰기 안을 중심으로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9 : 31-38, 2009

      3 구본영, "본문용 한글서체의 구조와 인지요인 상관성 연구" 단국대학교 2010

      4 구본영, "네모틀한글서체의 획밀도 차이가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학회 21 (21): 279-287, 2008

      5 구본영, "word shape 인지론의 不正立원인" 2009

      6 Paap, K. R, "Word shape’s in poor shape for the race to the lexicon" 10 : 1984

      7 Beech, J.R, "The word shape hypothesis re-examined: evidence for an external feature advantage in visual word recognition" 28 (28): 2005

      8 Cattell,J, "The time taken up by cerebral operations"

      9 Larson, K, "The Science of Word Recognition: or how I learned to stop worrying and love the bouma, Advanced Reading Technology, Microsoft Corporation"

      10 McClelland, J, "Preliminary Letter Identification in the Perception of Words and Nonwords" 2 (2): 1976

      11 Reicher,G.M, "Perceptual recognition as a function of meaningfulness of stimulus material" 81 : 1969

      12 Haber, R.N, "Errors in proofreading: Evidence of syntactic control of letter processing?" 7 : 1981

      13 Rumelhart, D.E, "An interactive activation model of context effects in letter perception: Part 2. The contextual enhancement effect and some tests and extensions of the model" 89 : 1982

      14 Grainger, J., "A dual read-out model of word context effects in letter perception: Further investigations of the word-superiority effect" 20 :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6-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시각디자인학회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Cdak Sociert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4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