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회의 노년기 연령규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ge Norms in Later lif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16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 노년기 연령규범이 형성되어 있는지, 만약 형성되어 있다면 어느 시기에 적용되는 것인지, 어느 정도 확고하게 형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바람직하게 여겨지고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 노년기 연령규범이 형성되어 있는지, 만약 형성되어 있다면 어느 시기에 적용되는 것인지, 어느 정도 확고하게 형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바람직하게 여겨지고 있는 연령규범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 대구, 대전, 광주지역의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8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밝혀진 한국사회의 노년기 연령규범의 적용시기는 70세가 32.4%, 65세가 28.8%로 나타났으며, 노년기를 인지하게 된 계기로는 신체적 변화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 역할의 변화, 그리고 심리적 변화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 노인들은 노년기 연령규범의 각 영역에서 활동이론을 지지하는 활동지향적/독립적/긍정적 규범들을 매우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동시에 분리이론을 지지하는 소극적/상호의존적/수동적 규범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 사회의 노년기 연령규범은 활동이론과 분리이론의 규범들이 혼재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요한 사실은, 노년기 연령규범의 혼재에도 불구하고 한국 노인들은 자신이 처한 사회ㆍ인구학적 지위나 환경에 알맞은 연령규범들을 차별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의 노인은 어제의 노인과 다르며, 내일의 노인은 또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것이다. 우리 사회는 변화하고 있는 노인들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노인들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구시대의 연령규범이 노년기의 보람되고 활기찬 사회활동을 통해 '제 3의 시대(the third age)'를 추구하려는 노인들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ge norms in later life in Korea. In this study, age norms include five sub-areas such as work, family relationship, sexuality and remarriage/divorce, intergenerational transfers, and social activities in 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ge norms in later life in Korea. In this study, age norms include five sub-areas such as work, family relationship, sexuality and remarriage/divorce, intergenerational transfers, and social activities in later life. Each area is composed of norms which support activity theory and disengagement theory respectively - work, intergenerational transfers, and social activity (encouraging activity versus discouraging activity) / sexuality, remarriage, and divorce (positive versus negative) / family relationship (independent versus dependent relationship). In addition, norms of traditional sex-role are employ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gender on age norms. Study population is 822 persons aged 60 and older who are using multi-purpose senior center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such as Busan, Kwangju, Daejeon, and Daegu. The results show that respondents show very positive attitudes toward all areas of age norms supporting activity theory except the norms of sexuality and remarriage/divorce. Interestingly, they also agreed to age norms of disengagement theory, but they are more positive toward age norms of activity theory than those supporting disengagement theory. The responses to age norms vary with socio-demographic status. In sum, age norms in later life are vague and confused among Korean elders, though age norms supporting activity theory are more prevalent than those of disengagement theory. Socio-demographic variab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cognizing age norms in later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복, "현대사회문제" 사회문화연구소 1991

      2 모선희, "현대노인복지론" 학지사 2005

      3 이금룡, "한국노인의 사회활동:노년기 여가활동과 봉사활동을 중심으로" 5 (5): 1-22, 2001

      4 한정란, "청소년과 노인간의 세대차이 분석 상호지향성 및 중요도-실행도 분석모형을 기초로" 170-191, 2004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8) : 1999

      6 통계청,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05

      7 O, "Trends and dilemmas in life-course research Theoretical advances in life-course research" 22-57, 1991

      8 Riely,M.W, "The lives of old people and changing social roles" 503 : 14-28, 1989

      9 Hooyman N.,, "Social gerontology: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1999

      10 Atchely, R. C,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2001

      1 고영복, "현대사회문제" 사회문화연구소 1991

      2 모선희, "현대노인복지론" 학지사 2005

      3 이금룡, "한국노인의 사회활동:노년기 여가활동과 봉사활동을 중심으로" 5 (5): 1-22, 2001

      4 한정란, "청소년과 노인간의 세대차이 분석 상호지향성 및 중요도-실행도 분석모형을 기초로" 170-191, 2004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8) : 1999

      6 통계청,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05

      7 O, "Trends and dilemmas in life-course research Theoretical advances in life-course research" 22-57, 1991

      8 Riely,M.W, "The lives of old people and changing social roles" 503 : 14-28, 1989

      9 Hooyman N.,, "Social gerontology: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1999

      10 Atchely, R. C,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2001

      11 Kyuers,J.A, "Social breakdown and competence" 16 : 181-201, 1973

      12 Mead, "Philosophy of the ac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8

      13 Culter, S. J.,, "Emerging social trends" Academic Press 462-480, 2001

      14 Moo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10-717, 1965

      15 Johnson, "A sociology of age stratification"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