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자 <도덕경> 으로 본 동아시아 미적 교육의 현대적 가치에 대한 탐구 = Exploration of the modern value of aesthetic education in East Asia viewed as Laozi <Taote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9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자 <도덕경>은 고전으로 실제로 지혜와 사유능력을 형성해가는 주체로서 인간의 사유능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논고는 노자의 <도덕경>의 고전적 가치를 통해 일상의 고정...

      노자 <도덕경>은 고전으로 실제로 지혜와 사유능력을 형성해가는 주체로서 인간의 사유능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논고는 노자의 <도덕경>의 고전적 가치를 통해 일상의 고정된 틀을 벗어난 동아시아 미적 교육의 현대적 가치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현실의 미적 교육은 자신의 시시한 감정조차도 인식하지 못한 채 짜여진 프로그램 속에서 수동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자사상은 갖춰진 체계 안에서의 움직임을 지극히 제한함에 있어서 인간을 이해하는데 폭넓은 문화적 관점을 수용하게 해준다. 기존의 노자사상 연구들의 다양한 관점의 접목은 그의 사유에서 심미적인 이상을 발견하고, 미적 교육과의 연계를 통해서 열린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동아시아의 공통 미적 관점인 노자 사상인 도를 통해 예술적 가치를 찾고, 예술을 바라보는 직관능력을 키우는 게 이 논고의 목적 중의 하나이다. 하나의 경험이 일상의 삶에서 연속되는 의미와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모든 활동에서 신뢰하고 헌신할 만한 삶의 이상적인 목표가 있어야 한다. ‘무엇이 아름다운 삶인가’라는 명제 앞에서 답이 아닌 삶 속에서 그 질문을 심화시키고 그 질문으로 나아가는 과정 속에서 노자의 미적 사상이 함축되어 되새겨지는 순환의 과정을 통해 질문의 보편성을 넘어 자신만의 특수성을 구해가는 탐구의 과정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aozi <Taoteching> is a classic that actually plays a role in enhancing human thinking as a subject that forms wisdom and thinking ability.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modern value of East Asian aesthetic education outside the fixed frame...

      Laozi <Taoteching> is a classic that actually plays a role in enhancing human thinking as a subject that forms wisdom and thinking ability.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modern value of East Asian aesthetic education outside the fixed framework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classical value of Laozi s <Taoteching> In real-life aesthetic education, passiv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a program designed without even recognizing one s trivial emotions. The idea of Laozi allows us to embrace a wide range of cultural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humans in extremely restricting movement within a system. The incorporation of various perspective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idea of Laozi discovered aesthetic ideals in his thoughts and enables open reflection through linkage with aesthetic education. In addition, one of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find artistic values and develop the intuitive ability to see art through Tao, a common aesthetic perspective of East Asia. In order for an experience to have a continuous meaning and value in everyday life, it must have an ideal goal of a life that can be trusted and dedicated in all activities. In front of the proposition What is a Beautiful Life, it will be a process of exploring beyond the universality of questions through the process of deepening the question in life, not the answer, and reflecting on Laozi s aesthetic id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Ⅱ. 노자철학의 미적인 핵심가치 Ⅲ. 노자사상의 동아시아 미적 교육의 철학적 함의 Ⅳ. 동아시아 미적 교육의 현대적 가치실천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 Ⅰ. 들어가는 말 Ⅱ. 노자철학의 미적인 핵심가치 Ⅲ. 노자사상의 동아시아 미적 교육의 철학적 함의 Ⅳ. 동아시아 미적 교육의 현대적 가치실천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유진, "탈현대사회, 전환학습으로서 평생 학습적 관점에서 『논어』 읽기" 새한철학회 101 (101): 43-74, 2020

      2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원 2006

      3 葉朗, "중국 미학과 노자 미학" 7 (7): 641-676, 1991

      4 양은아, "인문학과 평생학습" 교육과학사 2010

      5 劉熙載, "역주 예개" 소명출판 2010

      6 한병철, "아름다움의 구원" 문학과지성사 2016

      7 최진석,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위즈덤하우스 2020

      8 이종한, "배움에 관한 노자의 철학과 성인교육학적 시사점: 『도덕경』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회 (64) : 87-115, 2017

      9 Vyāsa, "바가바드 기타" 물병자리 2015

      10 朱良志, "미학으로 동양인문학을 꿰뚫다" 도서출판 알마 2015

      1 송유진, "탈현대사회, 전환학습으로서 평생 학습적 관점에서 『논어』 읽기" 새한철학회 101 (101): 43-74, 2020

      2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원 2006

      3 葉朗, "중국 미학과 노자 미학" 7 (7): 641-676, 1991

      4 양은아, "인문학과 평생학습" 교육과학사 2010

      5 劉熙載, "역주 예개" 소명출판 2010

      6 한병철, "아름다움의 구원" 문학과지성사 2016

      7 최진석,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위즈덤하우스 2020

      8 이종한, "배움에 관한 노자의 철학과 성인교육학적 시사점: 『도덕경』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회 (64) : 87-115, 2017

      9 Vyāsa, "바가바드 기타" 물병자리 2015

      10 朱良志, "미학으로 동양인문학을 꿰뚫다" 도서출판 알마 2015

      11 Francois Jullien, "무미예찬" 웅진씽크빅 2010

      12 김문주, "동아시아 전통 사상의 미학적 자질 연구(2)-노자의 -도덕경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22) : 267-288, 2005

      13 陳炎, "동아시아 미의 문화사: 중국 역사 속의 아름다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7

      14 박석, "대교약졸 - 서툰 것처럼 보이는 중국문화" 들녘출판사 2007

      15 도이명, "노자사상의 예술철학적 함의" 계명대학교 2018

      16 老子, "노자 도덕경 : 버려서 얻고 비워서 채우는 무위의 고전" Humanist(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8

      17 전민희, "노자 『도덕경』에 나타난 포용교육의 평생교육적 의미 탐색"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647-662, 2020

      18 유병래, "道家 審美意識의 基底 이해에 관한 試論(1) - 『老子』를 중심으로" 동서사상연구소 (8) : 85-129, 2009

      19 고유섭, "美學과 美術評論" 열화당 2013

      20 李澤厚, "中國美學史"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21 김재경, "“유무상생(有無相生)”의 노자 철학에서 본 인문학적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의 인식 제고와 전망"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8 (18): 131-158, 2017

      22 Bongsoo Kang, "Rereading Lao-tzu's Educational Ideas :Wordless Teaching and Intuitive Perception"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and Ethics Education 41 (41): 97-125, 2013

      23 Jung Jae-Geol, "Lao-Ze and the Design of After-modern Education"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19 (19): 191-,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