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식초의 청징화를 위한 pectinase 처리조건을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최적화하고 처리조건에 따른 탁도, 갈색도 및 총 탄닌함량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감식초 청징화에 따른 탁도, 갈색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058185
1999
Korean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810-815(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감식초의 청징화를 위한 pectinase 처리조건을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최적화하고 처리조건에 따른 탁도, 갈색도 및 총 탄닌함량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감식초 청징화에 따른 탁도, 갈색도 ...
감식초의 청징화를 위한 pectinase 처리조건을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최적화하고 처리조건에 따른 탁도, 갈색도 및 총 탄닌함량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감식초 청징화에 따른 탁도, 갈색도 및 총 탄닌함량의 변화에 대한 반응표면 희귀식의 R²는 모두 0.91 이상으로 유의성이 5% 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인정되었다. 감식초의 탁도에 대한 pectinase 처리조건의 영향은 처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탁도의 최소치는 온도 49.38℃, 시간 73.08 min 및 pectinase 농도 55.57ppm에서 0.021O.D)로 나타났다. 감식초의 갈색도에 대한 최소치는 온도 48.39℃, 시간 71.74 min 및 pectinase 농도 65.69ppm에서 나타났다. 감식초의 총 탄닌함량은 온도 40.05℃, 시간 66.02 min 및 pectinase 농도 65.26ppm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탁도가 낮으면서 갈색도와 총 탄닌의 함량이 낮은 조건을 만족시켜 최소공배수를 나타내는 조건범위는 온도 40~50℃, 시간 60~7O min 및 pectinase 농도 55~70ppm의 범위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ectinase treatment conditions for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were optimized and monitor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by pectinase treatment with variations in temperature, time and concentration...
The pectinase treatment conditions for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were optimized and monitor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by pectinase treatment with variations in temperature, time and concentration,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s(R²) of the models were above 0.91(p<0.05) in turbidity, browning color intensity and tannin content. The turbidity of persimmon vinegar was decreased along with an increase of pectinase treatment temperature. The minimum value of turbidity by pectinase treatment was 0.0021(absorbance at 660㎚) in 49.38℃ of pectinase treatment temperature, 73.08 min of pectinase treatment time and 55.57ppm of pectinase concentration. The minimum value of browning color intensity by pectinase treatment was 0.27(absorbance at 660㎚) in 48.39℃, 71.74 min and 65.69 ppm. The minimum value of total tannin contents by pectinase treatment was 43.72㎎/100ml in 40.05℃, 66.02 min and 65.26ppm. The optimum conditions of pectinase treatment that satisfies the least common multiple of turbidity, browning color and tannin content were 40~50℃, 60~70 min and 55~70ppm.
살균방법이 철분강화 우유의 저장중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홍삼첨가 고추장의 관능적 특성 및 미생물과 효소력의 변화
배추품종 및 숙성온도를 달리한 김치의 발효 및 비타민 C의 변화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