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수산 정책 분야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분석을 통해, 그간 언론에 노출된 해양·수산 분야의 사회이슈를 식별하고, 향후 해양·수산 정책 분야에서 비중 있게 다뤄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37467
2017
-
300
학술저널
1-3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수산 정책 분야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분석을 통해, 그간 언론에 노출된 해양·수산 분야의 사회이슈를 식별하고, 향후 해양·수산 정책 분야에서 비중 있게 다뤄져�...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수산 정책 분야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분석을 통해, 그간 언론에 노출된 해양·수산 분야의 사회이슈를 식별하고, 향후 해양·수산 정책 분야에서 비중 있게 다뤄져야 할 정책이슈 도출에 관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0년 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중앙일간지에 게재된 9,535건의 언론기사를 대상으로 Text Mining 기법에 의한 다빈출 주제어 분석과 SNA를 활용한 주제어 간 상호 연계성 분석, 그리고 기사에 대한 내용분석 방법을 병행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전체 기사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첫째, 해양에 관한 보전 이슈 보다는 개발 이슈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둘째, FTA, 동중국해 패권경쟁과 같이 중국, 일본 등 주변국과의 관계에 관한 이슈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세부 정책분야별로 살펴보면, 첫째, 해양정책 영역에서는 국제관계와 산업영역을 중심으로 이슈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둘째, 수산정책 분야에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수산물 안전이슈와 수산업 안정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이슈들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항만물류 분야에서는 해양플랜트와 같은 신산업 분야와 북극항로 개발 이슈가 확산되고 있으며, 넷째로 해사안전 분야에 있어서는 중국어선의 불법조업문제, 동북아패권경쟁에 따른 주변국과의 관계정립 등이 증가하는 이슈로 확인되었다.
정책선거 기반조성 기획1: 대선후보 정책공약평가 경제·산업 (에너지)
정책선거 기반조성 기획2: 대선후보 정책공약평가 국가거버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