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사상이 지배적이었던 명청시기 여성들의 사회적 활동을 제약하였던 전족이라는 관습이 존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유교사상이 지배적이었던 중국에서 여성에 대한 지위와 평등이 주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1118
-
2014년
Korean
전족 ; Footbinding customs ; movement campaign Footbinding ; Church school ; 여성계몽운동 ; 청말 ; 태평천국 ; 개혁운동 ; 전족반대론 ; 여성교육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교사상이 지배적이었던 명청시기 여성들의 사회적 활동을 제약하였던 전족이라는 관습이 존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유교사상이 지배적이었던 중국에서 여성에 대한 지위와 평등이 주장...
유교사상이 지배적이었던 명청시기 여성들의 사회적 활동을 제약하였던 전족이라는 관습이 존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유교사상이 지배적이었던 중국에서 여성에 대한 지위와 평등이 주장되었고 나아가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생활의 변화가 있었던 시점은 언제부터인가. 또 그러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었던 배경과 움임의 단초는 무엇이었는가를 전족반대운동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전족의 시작은 명대에 이르러 성행하였고 특히 청대는 전족이 최고 성행을 이룬 시기이다. 청조 후반기를 기준으로 하여 남방보다는 북방에서 전족이 훨씬 널리 유포되었다. 고통을 감수하며 행한 전족은 여성 자신의 주체적 인격이 상실되고, 남성 중심 사회의 관상물 내지 애완물로 격하되어 버린다. 이러한 전족의 반대는 이미 북송말엽 거양수와 정이로부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정작 가장 성행하였던 청조 시기의 전족 금지령은 한족에 대한 반감을 가져왔다. 이후 개항 지식인층 사이에서 전족문제를 제기하였다.
아편전쟁이후 선교사들이 비인간적 풍습을 규탄하였다. 전족반대운동이 실행으로 옮기기 시작한 것은 바로 태평천국시기라고 할 수 있다. 范文瀾의 말을 빌면 “세계사상 일찍이 보지 못한 인류의 가장 빛나는 가장 선진적인 여성해방”은 태평천국 과정에서 실현되었다고 하였다.
태평천국에 시작되었던 여성운동은 변법시기 이론이 제시되고 단체계몽활동을 통해 본격화되었다. 태평천국의 여성 운동은 광서지역 여성들이 여성들에게 직접 민중운동에 참여을 권유하면서 중국 여성, 나아가 아시아 여성의 현대사의 막이 열렸다는 특수한 역사적인 의의를 가지고 있다. 특히 변법파의 주도아래 여성 종속의 상징인 전족폐지를 주장하기 위한 계몽단체 조직인〈不纏足會〉를 설립하였다. 변법시기의 여성운동의 특징은 남성들이 여전히 중심이 되어 조직을 만들기는 하였지만, 전족을 한 여성 자신이 주체가 되어 전족을 실시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와 당위성을 깨닫게 하였다. 나아가 학회 및 報刊을 통해 여학을 중시하고 여성을 위한 복지시설을 설립하여 여성운동을 한층 발전적 형태로 이끌어내었다.
결국 중국은 1912년 정부에서 전족을 금지시켰고, 민중학교, 농민교육관, 강연소, 관보사 등에서 전족을 풀 것을 권하였으며, 신문, 일간지 등의 광고를 통해 여성의 전족으로부터의 해방을 끊임없이 강조하여 1937년 항일전쟁 후에는 전족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주제어 : 전족, 여성계몽운동, 청말, 태평천국, 개혁운동, 전족반대론, 여성교육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ate Q'ing criticism of Footbinding customs and Female education -the central of a movement campaign Footbinding and Church school- Lee-YoungRan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when Confucianism dominated society, there was a custom of foo...
The late Q'ing criticism of Footbinding customs and Female education -the central of a movement campaign Footbinding and Church school-
Lee-YoungRan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when Confucianism dominated society, there was a custom of foot binding which limited the social activities of women. This study aims to speculate on when claims started for women's status and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s well as changes in their social positions and lives in China and the background causes of those changes, and movements, based on the opposition to foot binding.
Foot binding prevailed in the Ming Dynasty and in particular, the Qing Dynasty experienced the peak of the foot binding custom.
It spread much farther in the northern area than in the southern area in the late period of The Qing Dynasty. Through painful foot binding, the subjective personality of women was lost and they were reduced to objects of enjoyment or pets in a male-oriented society. Opposition to foot binding began from Jiruoshui and Chengyi of the late Northern Sung. However, a foot binding prohibition decree during the Qing Dynasty brought antipathy to the Han race. Then, the issue was presented by the intellectuals who proposed opening ports to western forces.
After the Opium war, missionaries con